•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출조직 운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2.1. 분석 모델

본 절에서는 농식품(신선농산물) 수출조직 운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을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수출조직 운영의 성과 제고를 위한 수출활동 요인을 규명하였다. SUR 모형은 2개 이상의 회귀방정식을 추정함에 있어서 각 회귀모형의 오차항이 상호연관성 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활용 가능한 방법이다. Gauss-Markov의 이론에 의하면 GLS(Generalized Least Squares)를 바탕으로 한 SUR 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할 경우 OLS(Ordinary Least Squares)를 통한 회귀식을 독립적으로 추정하 는 것에 비해 더 효율적인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Moon and Perron 2006: 1-9).

있거나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개별 수출활동 항목들이 비선도조직에 비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수출선도조직의 수출활동을 위해 일정액 이상의 고정비용이 투입되더라도 일정규모 이상의 수출액 성과를 달성하지 못 해 해당 투입요소에 대한 운영효율성이 비선도조직에 비해 반드시 높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분석에서 수출조직의 운영성과 지표로 설정한 수출액과 수출단가에 미치는 (Kronecker product)을 의미한다(신강원 외 2014: 83-92).

(5)    

(6)   ⊗

SUR의 추정량은 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LS 기법을 기반으로 한 SUR 추정량은 OLS 기법을 적용한 회귀계수의 값보다 효율적(efficient)이다.

식 (7)에서 , , 는 각각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는 N개의 모형별 T 개의 개체를 가지는 종속변수 벡터(× )를 의미한다. SUR 추정량   는 공분산 행렬 를 오차항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의 OLS 추정 을 통해 도출된 잔차를 이용하여 추정한 후 순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7)        ⊗

효율적인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는 점 외에도 교차방정식 제약에 대해 가설검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SUR 모형의 또 다른 강점이다. N개의 방정 식을 독립적으로 추정했을 경우 동일한 외생변수 에 대한 모수의 동일성 검정(   , 모형 1과 2에서 추정된 외생변수 의 추정계수 비교) 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지만, SUR 모형을 활용할 경우 두 회귀계수의 제약 조건을 다음의 식 (8)에 제시한 t 검정통계량을 이용하여 검정 가능하다.

(8)   

   

 

2.2. 변수 설정

수출조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활용가능 변수는

<표 4-3>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이 변수들 중에서 수출조직 운영성과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수출량, 수출액, 수출단가, 물류비용 등의 네 가지 종속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수출물량 확보 측면에서는 계약재배물량, 수 확 후 관리기술, 계약재배 이행률, 공동정산 물량, 공동브랜드 출하물량, 신상품 수를, 수출품목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안전성 검사 시스템 보유 여 부, 안전성 관리 전문인력, 클레임 건수, 수출농가교육 횟수, 시행 중인 품

질관리 실시제도 수, 시행 중인 품질관리 매뉴얼보급 관련 제도 수를 설명

농식품 수출조직 운영성과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다. 따

수 있다는 점에서 종속변수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수출단가는 수출물량의 안정적 공급과 품질관리, 마케팅활동을 통해 수출시장에서 우리 농식품의 가 격교섭력을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변수라고 판단된다. 수출단가는 양 적인 측면의 성과제고를 나타내는 수출액과 더불어 질적인 측면에서의 수출 성과를 대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속변수로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설명변수로 선정한 변수는 물량확보 측면에서는 공동정산 물량,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농가교육 횟수와 품질관리 전문인력, 마케팅활동 측면에서는 수 출박람회 참여 횟수와 마케팅 전담인력, 조직운영 측면에서는 수출선도조직 여부와 품목별 더미변수이다.

공동정산 물량은 조직화를 통해 물량확보를 계획적으로 수행하고 엄격한 선별 및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출액과 수출단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출 농식품의 재배, 병충해 관리, 농약 사용 등과 관련된 농가교육 과 담당분야 전문인력 보유인원은 수출품목의 품질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 하며 수출액과 수출단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출시장 소비자들 에 대한 우리 농식품의 인지도 제고와 바이어 발굴을 위해 수출박람회 참여 는 중요하며, 마케팅 전담인력 수는 마케팅활동 측면에서 수출액과 수출단가 를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변수라고 판단된다. 수출조직 지원사업과 관련 해서는 수출선도조직 지원사업 수혜여부가 중요하다. 품목별 더미는 품목고 유의 특징으로 인한 차이를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직화로 인한 효과가 품 목별로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하여 수출선도조직 여부 더미변수와 품목더미의 교차항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였다.

2.3. 분석 결과

수출조직 운영성과의 추정을 위하여 설정한 각각의 회귀방정식은 다음의 식 (9), 식 (10)과 같다. 수출액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변수는 공동정산 물량, 농가교육 횟수, 품질관리 전문인력 수, 마케팅 전담인력 수, 수출박람회 참여 횟수, 수출선도조직 여부이다. 공동정산 물량은 물량확보

측면, 농가교육 횟수와 품질관리 전문인력 수는 품질관리 측면, 마케팅 전담 인력 수, 수출박람회 참여 횟수는 마케팅활동 측면, 수출선도조직 여부는 조 직운영 측면을 대표한다. 품목의 특징으로 인한 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품목 별 더미변수를 포함하였으며, 선도조직여부 더미와 품목더미의 교차항은 품 목별 조직화 효과를 나타낸다. 수출단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변수는 공동정산 물량, 농가교육 횟수, 마케팅 전담 인력 수, 수출박람회 참 여 횟수, 수출선도조직 여부이다.

(9)  





(10)  





공동정산 물량은 물량확보 측면, 농가교육 횟수는 품질관리 측면, 마케팅 전담인력 수 및 수출박람회 참여 횟수는 마케팅활동 측면, 농가 수와 수출선 도조직 여부는 조직운영 측면을 대표한다. 품목의 특징으로 인한 효과를 통 제하기 위해 품목별 더미변수를 포함하였으며, 선도조직여부 더미와 품목더 미의 교차항은 품목별 조직화 효과를 나타낸다.

식 (9)와 식 (10)으로 표현한 수출액과 수출단가를 종속변수로 하는 두 개 의 회귀방정식을 SUR 모형을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는 <표 4-5>와 같다. 수 출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경우 농가교육 횟수와 마케팅 전담인력 수, 선도 조직여부 더미변수와 버섯류 품목더미변수의 교차항 변수가 수출액에 99%

신뢰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농가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마케팅활동 측면에서는 마케팅 전담인력 수가 많을수록 수출액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직운 영 측면에서는 버섯류의 경우 조직화의 수출액 증가 효과가 기준 더미인 화 훼류에 비해 유의하게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동정산 물량, 품질관리 전문

인력 수, 수출박람회 참여 횟수는 수출액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출단가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에서는 마케팅 전담인력 수가 유의한 양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동정산 물량, 농가교육 횟수, 수출 박람회 참여 횟수, 농가 수, 수출선도조직 여부 등 다른 변수들은 유의한 영 향을 주지 못하거나 양(+)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과채 류의 수출단가가 기준더미 품목인 화훼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5. 수출조직 운영성과 영향요인 추정결과

변수 종속변수: 수출액 종속변수: 수출단가

계수값 표준오차 z값 계수값 표준오차 z값

상수항 -247.63 1451.946 -0.17 14.82*** 6.723 2.21 공동정산물량 0.041 0.059 0.69 -0.0003 0.00028 -1.18 농가교육 횟수 30.60*** 5.229 5.85 -0.031 0.020 -1.55

품질관리 전문인력 -107.83 311.022 -0.35 - -

-마케팅 전담인력 874.6*** 356.43 2.45 3.650** 1.688 2.16 수출박람회 참여 횟수 16.48 262.261 0.06 -0.295 1.257 -0.23 수출선도조직 여부 668.23 3103.34 0.22 -12.73 14.792 -0.86 과실류 품목더미 1765.38 1657.44 1.07 -9.957 7.944 -1.25 과채류 품목더미 782.04 1713.37 0.46 -14.864* 8.202 -1.81 버섯류 품목더미 539.15 1881.4 0.29 -8.826 9.020 -0.98 선도조직

-과실류 더미 교차항 -1574.83 4556.01 -0.35 2.506 21.610 0.12 선도조직

-과채류 더미 교차항 645.009 4005.36 0.16 7.401 19.215 0.39 선도조직

-버섯류 더미 교차항 25813.9*** 5107.19 5.05 15.118 24.448 0.62

Sample 120 120

RMSE 5467.929 26.223

1) ***, **, *은 각각 1%, 5%, 10% 수준에서 유의함.

2) Breusch-Pagan 검정 결과를 통해서 등분산성이 기각됨을 확인함.

1. 이탈리아 남티롤 사과 수출조직(VI.P)

27

VI.P는 이탈리아 남티롤 사과 수출조직이다. 이탈리아 농업여건은 국내 농 업여건과 비슷하여 생산규모가 영세하지만 VI.P는 수출조직 운영이 활성화 되어 품질관리와 마케팅활동을 성공적으로 유도하는 조직이므로 국내 수출 조직 육성에 벤치마킹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탈리아는 사과생산량이 EU 생산량(2009년 1,075만 톤)의 20%를 차지하 여 유럽 제2의 생산국이다. 남티롤 지역은 이탈리아 북쪽 끝의 알프스산맥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Bolzano 지역을 주도로 하는 자치주이다. 사과 평균 재배면적은 평균 2.16ha에 불과하여 유럽 기준으로 비교하여 볼 때 매우 영 세하고 농지면적이 좁기 때문에 기술 중심 집약영농과 겸업중심의 경영구조 이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협동·단결해야 생존할 수 있는 여건이다.

남티롤 지역에는 32개의 사과판매 전담 협동조합이 있고 이를 통해 지역 생산량의 90%가 판매되고 있다. 1990년에 12개의 협동조합을 결합하여(현 재는 7개로 통합) 비영리법인인 VI.P(Verband der Vinschgauer Produzenten

27 이탈리아 남티롤 사과 수출조직 운영사례의 현황 및 실태는 위탁연구(경북대학 교 윤태명 교수)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하였고, 현황 및 실태 보완사항과 시사 점 도출은 현지조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7.) 결과를 활용하여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