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집·활용 및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 설문조사를 통한 업무 현황

◦ 각 분야별 환경정보·통계를 구축·운영하고 있는 시스템 및 환경정보를 활용 하고 있는 업무자를 대상으로 수집·활용 및 수요에 대한 설문 인터뷰를 수행 하여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환경정보 및 수요에 대하여 분석함

◦ 설문의 내용은 크게 업무·정책 수립에 필요한 공간정보 수집 및 활용 부분과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관련 수요로 나누어지며 공간정보의 수집 및 활용분야 10개 문항,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관련 수요 부분 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조사지는 보고서의 부록으로 수록([부록 5] 참조)

<표 2-5> 설문지 구성 개요

구분 주요 항목

업무·정책 수립에 필요한 공간정보 수집 및 활용

- 환경공간정보의 활용 경험 - 업무·정책 수립 시 애로사항

- 공간정보 활용에 있어 정부의 지원방향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관련 수요 - 국가환경지도시스템 수요 및 당위성 - 업무수행에 필요한 환경공간정보

◦ 설문 대상자는 환경부 각 실/국 및 산하·유관기관에서 환경정보·통계를 구축·

운영 및 업무에 활용하는 업무자로 환경부 각 실/국 10명, 국립환경과학원 1명, 한국환경공단 1명으로 총 12명을 대상으로 수행

◦ 설문기간은 2013년 9월 4일부터 9월 12일까지이며 전화섭외, 이메일로 설문지 송부 후 방문 인터뷰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함

<표 2-6> 설문 대상자

구분 담당부서 대상자

토양지하수종합정보시스템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남궁현 주무관

대기오염도실시간공개시스템

(Airkorea) 한국환경공단 대기환경처 박수미 과장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환경부 수도정책과 윤태근 사무관

물환경정보시스템 환경부 물환경정책과 박혜진 주무관

국가소음정보시스템 환경부 생활환경과 노연옥

환경공간정보서비스

환경부 정보화담당관

박진형 주무관

환경통계포털 정희영 사무관

화학물질 정보시스템 환경부 화학물질과 조광연 주무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환경부 국토환경평가과 조영준 주무관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부 국토환경평가과 연경화 주무관

생태자연도

환경부 자연정책과 이정준 사무관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신영규 연구관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 설문조사 분석 및 결과

◦ 업무·정책 수립에 필요한 공간정보의 수집방법 및 활용여부

­ 환경부 각 부서에서 전체 설문대상자의 과반수가 공간정보를 활용하고 있으며, 필요한 공간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 공문요청을 통한 수집이 87%로 대부분을 차지

<그림 2-2> 공간정보의 활용 여부 및 자료 수집 방법

­ 공간정보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으며, 자료 수집 시 애로사항으로는 정보에 대한 위치·내용 파악이 힘들고 자료 수집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점 등이 있음

<그림 2-3> 공간정보의 접근성 및 자료 수집 시 애로사항

◦ 공간정보의 주요 활용 분야 및 애로사항

­ 업무상 공간정보는 정책수립·이행, 정책수립 기본자료 등 주로 정책과 관련 하여 활용되고 있으며 민원관련 업무에도 활용되고 있음

­ 현재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데 있어 정보 부족, 2개 이상 정보에 대한 상관 관계 분석, 타 자료와의 연계에 대해 애로사항이 발생

<그림 2-4> 공간정보의 주요 활용 분야 및 활용 시 애로사항

◦ 공간정보의 내용적 보완사항 및 공간정보 미 구축 사유

­ 구축·운영 중인 시스템이나 정보에서 부족한 정보 분야는 공간정보, 통계정보, 정보에 대한 설명, 출처에 대한 내용이 고르게 나타났으며, 필요 공간정보에 대한 미 구축 사유는 예산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그림 2-5> 부족한 정보 분야 및 미 구축 사유

◦ 시스템·공간정보 업무의 인력 형태

­ 부서 내 시스템 및 공간정보를 담당하는 인원 중 59%가 타 업무와 병행하여 업무를 수행

<그림 2-6> 시스템 및 공간정보 업무 수행 인력 구성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시 요구되는 시스템 및 정보의 형태

­ 업무 및 정책 수립 시 통합관리 및 분석시스템과 자료제공 시스템이 요구됨

­ 원하는 자료제공의 형태는 다양한 환경 주제별 지도와 가공하여 표준화된 자료임

<그림 2-7> 요구되는 시스템 형태 및 자료제공 형태

◦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수요

­ 업무 및 정책수립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관·부서의 지도화된 정보제공 시스템이 있다면 이를 사용할 것이며, 시스템 활용 시 업무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

­ 정책결정 및 업무활용 시 환경공간정보(환경지도)의 필요성을 느낌

<그림 2-8> 국가환경지도시스템 수요

□ 중분류 작성 시 고려사항 및 시사점

◦ 현재 구축 운영 중인 시스템 및 공간정보에 대한 문제점

­ 공간정보에 대한 위치·내용 파악이 어렵고, 수집 시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접근성이 낮음

◦ 다양한 형태의 환경주제도 및 표준화된 공간정보의 제공이 요구

­ 다양한 기관의 표준화된 자료와 이를 지도화(공간정보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시스템 구축 시 정책, 민원 업무 등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 정책결정과 업무에 있어 다양한 주제도(환경공간정보) 구축이 요구

­ 환경매체별 통계자료 상관분석 및 거동 예측, 중앙정부 및 지자체간의 환경 보호지역 경계, 토이지용현황, 토지피복지도와 타 정보간의 연계자료 등 상관관계를 가진 2개 이상 자료에 대한 주제도 혹은 다양한 기관·부처의 자료가 활용된 주제도가 요구됨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