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존 환경정보와의 상생방안

제4장 환경부 주요 시스템 분석

2. 기존 환경정보와의 상생방안

□ 기존 환경정보 구축 및 운영 특성

◦ 현 환경부 환경매체별 환경정보(시스템 및 환경주제도)는 정보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실·국의 담당과 에서 수치위주의 환경정보 및 Raw Data 구축

­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을 아우르는 “環境”이라는 특성상 단일 매체별 정보만으로 과학·정량적 환경행정 선진화 미흡

­ 더불어, 현 정부의 “정부 3.0”의 정보 공동 활용의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효율적 “정보 공유”를 위한 방안 제안

◦ 현 환경정보 연계 방법은 Open API 및 클라우드 기법 등의 최신 기술 적용을 통하여 구현 가능

­ 궁국적으로 개별 시스템의 구축 목적, 운영방안 등의 기존 시스템을 현상 유지 가능

­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부분 정보만을 추출하고 연계하는 기술적 구현 가능

□ 개별 시스템과 국가환경지도시스템과의 관계

◦ 실·국 담당과, 산하 및 유관기관에서 전문성을 고려한 환경매체별 전체 Data 구축

­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공간정보는 전체 환경부 구축 정보 중 공간정보로 구현 가능한 Data로 한정

­ 실·국 담당과에서 기 구축 정보시스템 및 주제도의 역할 확대로 인하여 공간정보 구축 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기 구축 공간정보 제공 및 공동 활용

<그림 3-30> 개별 시스템과 국가환경지도시스템과의 관계

국가환경지도시스템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의 정보와 자료를 활용하나 개별 시스템 자료의 융합 활용, 환경정책·업무 중심의 주제도 제공으로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된 환경지도 구축

­ 구축된 환경지도는 오픈 API를 통하여 개별시스템에 제공되며 각 시스템에서 고도화 분석을 통해 실무 정책지원 가능

◦ 따라서, 국가환경지도시스템과 개별 시스템의 역할은 다르며, 국가환경지도 시스템과 개별 시스템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정책의 선진화·과학화를 위한 시너지효과 창출

<그림 3-31> 개별 시스템과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상호 보완적 효과

◦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매체별 수치위주의 환경정보를 공간정보로 구축 및 활용하는 환경행정의 과학화 및 선진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역할 정립

­ 지속적인 환경행정 지원을 위한 기획 및 업무분석을 통하여 신규 업무지원 주제도를 작성하고 발굴

­ 이를 통하여, 기존 시스템 및 주제도의 활용 방안 강화를 지원 및 신규 환경행정 지원 업무지원 주제도 발굴을 통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상생 추진

◦ 환경공간정보서비스와의 관계

국가환경지도시스템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구축 목적은 현업에서 수행하는 환경행정 지원이며,

국가환경지도시스템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통계정보, 지역별 측정값 등의 정보는 대부분 전문적인 공간정보로 구현이 가능(타 정보 연계 및 중첩 등)

­ 최종적으로, 국가소음정보시스템은 소음 및 진동의 현황을 모델링 또는 측정망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소음 발생 주변의 환경 현황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못함

­ 이를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구축된 타 환경정보를 활용하고, 국가환경지도 시스템의 소음 부문은 국가소음정보시스템의 결과를 활용하는 방안 필요

◦ 환경통계포털

­ 환경토계포털은 통계정보 중 일부를 통계지리정보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나, 전체 구축 통계자료를 공간정보로 구축하여 제공하지 못함

­ 향후, 시스템의 고도화로 예상되는 부분은 누적된 분야별 통계정보를 개별 항목별 주제도로 구축

­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이 구축되면, 전체 Data 중 48%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및 수계별 각종 환경통계 등의 정보는 대부분 전문적인 공간정보로 구현이 가능(타 정보 연계 및 중첩 등)

­ 최종적으로, 환경통계포털은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이 가장 많은 정보의 출처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오픈 플랫폼 기반의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과정을 통하여 환경통계포털 내부 정보를 재가공 필요

­ 더불어 최종적으로 환경통계포털의 공간정보 비용 및 노력을 국가환경지도 시스템 구축에서 수행하여 결과물에 대한 공동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