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2.1. 분석자료

본 분석은 식이보충제 소비자의 특성, 특히 건강과 관련된 소비자 의 태도가 식이보충제 소비와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할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6기 1차년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 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시행하는 국민의 건강행태, 만성질환 유병현황, 식품 및 영양섭취실태 등에 관한 법정조사로, 1998년 이래 3년 주기로 조사 를 실시하다 2007년 이후 매년 실시하고 있다. 2013년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경우 표본 가구 3,182가구에서 총 참여자수가 8,018명인 것 으로 집계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 중 만 19세 이상 성인인 5,388명 (남 2,246명, 여 3,142명)의 데이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2). 설문참여 자의 기본적인 인구통계적 특성은 다음 <표 2-6>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2-6> 설문참여자 기본현황

단위 : 명, %

2) 6기 2차년도(2014년) 원자료도 최근 공개되었으나, 조사 참여자가 7,550명으로 1차년도 자료보다 500여 명 정도 적어 1차년도 자료를 우선적으로 분석에 활용 하였다.

구 분 빈도 비중

50대 989 18.4

60대 864 16.0

70대 이상 863 16.0

교육

초졸 이하 1,151 24.3

중졸 495 10.5

고졸 1,635 34.6

대졸 이상 1,447 30.6

소득

1분위 1,106 20.7

2분위 1,418 26.5

3분위 1,364 25.5

4분위 1,460 27.3

섭취 경험 있음. 2,532 47.0

없음. 2,856 53.0

주 1)‘섭취 경험’은 정확히는 ‘지난 1년 간 2주 이상 섭취 경험’을 뜻함.

주 2) 분석대상자가 총 5,388명이나, 문항별 미응답자의 존재로 인하여 변수별로 총 인 원 수가 다를 수 있음.

자료 : 보건복지부(2015),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재가공

동 조사의 설문문항은 매 기 조금씩 다른데, 이중에서도 ‘식이보 충제’와 관련한 문항은 특히 잦은 변동을 거친 결과 현재는 ‘지난 1 년간 2주 이상 식이보충제3) 섭취 여부’를 묻는 문항, 단 하나만 존 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이 문항에 대한 소비 자의 응답을 중심으로 식이보충제를 섭취하는 소비자 그룹과 그렇 지 않은 소비자 그룹의 특성과 차이를 통계학적 방법으로 검정하였 다.

2.2.2. 분석결과

3) 참고로 2013년에 한국영양학회 주관으로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이보충제 DB 구축 및 적용방안 개발’ 연구에 따르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2010년 -2012년) 기준으로 전체 식이보충제의 24.1%가 의약품, 75.9%가 건강기능식 품인 것으로 나타난다.

구 분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

소득 1분위 478(43.2) 628(56.8) 34.849 0.000***

우선 소비자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의

구 분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

p

섭취 미섭취

2분위 621(43.8) 797(56.2) 3분위 642(47.1) 722(52.9) 4분위 777(53.2) 638(46.8) 주) 괄호 안은 % 비중. 단, 무응답자는 제외

건강에 대한 주요 태도를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에 따라 구분한 그룹별로 살펴보면, 우선 ‘음주수준’변수5)는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식품 구입 시 ‘영양표 시’를 확인하고 이용하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그리고 비 흡연자 그룹이 흡연자 그룹보다 식이보충제의 섭취 비율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난다. 이는 직장회식이나 사회생활 등의 여건과 강하게 결 부되어 있는 ‘음주수준’보다는 ‘금연’이나 ‘영양표시 확인’과 같은 행 위가 좀 더 개인이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통제할 수 있는 보건 행 위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식이보충제 섭취 역시 이렇듯 개인에 의하 여 통제 가능한 보건 행위의 맥락에서 행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 로 풀이된다.

한편 식이보충제 섭취 그룹은 미섭취그룹보다 평균적으로 1일 음 식섭취량6)이 많고, 운동7) 역시 많이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주관적 체형인식’ 변수나 ‘주관적 건강인식’ 변수는 그룹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음주수준’ 변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내의 음주와 관련된 몇 개 문항을 주성분분 석 후 새로 생성한 변수로, 관련 문항은 ‘음주 후 취중 일의 망각 빈도’, ‘음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빈도’, ‘음주 자제 안 된 경우 빈도’, ‘음주 후 후회빈도’다.

6)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실시하는 측에서 식품섭취에 대한 개인별 24시간 회 상조사 자료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변수다.

7) ‘운동수준’도 ‘음주수준’변수와 마찬가지로 운동과 관련된 몇 개 문항을 주성분 분석 후 새로 생성한 변수다. 관련 문항은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1주일간 유연성운동 일수’, 1주일간 격렬한 신체활동 일수‘다.

구 분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

p

섭취 미섭취

영양표시 활용 653(54.9) 536(45.1)

62.018 0.000***

미활용 1,208(47.6) 1,332(52.4) 흡연 흡연 325(37.8) 535(62.2)

44.251 0.000***

비흡연 1,940(50.3) 1,915(49.7)

구 분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

t값 p

섭취 미섭취

평균 운동수준(일) 2.39(1.53) 2.24(1.60) -3.363 0.001***

평균 1일섭취량(g) 1,598(857) 1,492(879) -4.447 0.000***

<표 2-8> 식이보충제 섭취와 건강에 대한 주요 태도 변수들 간 교차분석 결과

주) 괄호 안은 % 비중. 단, 무응답자는 제외

<표 2-9> 식이보충제 섭취와 건강에 대한 주요 태도 변수들 간 t-검정 결과

주) 괄호 안은 표준편차. 단, 무응답자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