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규모 광산

문서에서 머 리 말 (페이지 14-0)

◦ 100여개의 군소 광산 프로젝트가 있음.

◦ Mt. Suckling Gold 프로젝트 : Goldminex Ltd가 개발 중인 Mt.

Suckling 지역의 3개 광산을 시추하는 단계에 있음.

◦ Amazon Bay Iron Sands 프로젝트 : Titan Mines가 동남부 파푸아 해안의 iron sands의 조사 단계에 있음. 추정 매장량은 445 백만 톤의 iron sands(철 40%, 티타늄 10%, 바나듐 0.4 %)

◦ Platinum PGM 프로젝트 : Papuan Precious Metals Ltd가 백금, 금, 구리를 탐사

◦ Chromium 프로젝트 : OM materials Holdings Ltd가 2008년부터 크 롬을 시추

가스 분야 개발 현황

1. ExxonMobil사 주도 LNG 프로젝트

◦ ExxonMobil사 주도로 연간 660만톤의 LNG를 생산하는 150억불의 프 로젝트

◦ 개발지역: Southern Highlands 주 Hides, Juha, Gobe, Moran 등

◦ 개발 내용

- 가스정, 가스 1차 처리시설, 가스매집시설 등 육상시설 건설

- 육상 파이프라인(직경 32인치, 길이 265Km) 건설: Juha - Hides - Kopi 연안

- 해저 파이프라인(직경 34인치, 길이 448Km) 건설: Kopi 연안 - LNG 플랜트

- 걸프만 연안(Port Moresby에서 북서쪽으로 20Km)에 LNG 플랜트 건설( 연간 660만톤을 30년간 생산)

- LNG 플랜트에서 가스를 액화하여 LNG 선으로 중국, 일본, 대만으 로 수출

◦ 개발 과정

- 2009. 12 최종 투자 결정

- 2010년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약 10억불 소요) 개시 - 2010년 LNG 플랜트 건설 개시

- 2013년 말(또는 2014년 초) 생산 개시 예정

◦ 대우건설은 LNG 플랜트의 process 부분 건설공사 하청계약을 체결 (2010.9)하고 2011.3부터 train 2기의 공사(2.5억불)를 수행 중. 공사 절정기에 총 4,000명의 근로 인력(우리 인력 170명, PNG 인력 800명, 기타 제3국인)을 소요 예정

2. InterOil사 주도 LNG 프로젝트

◦ InterOil사 주도로 연간 500만톤의 LNG를 생산하는 60억불의 프로젝트

◦ 개발 지역: 걸프 주 Elk, Antelope 지역

◦ 개발 내용

- Elk, Antelope 가스전의 개발 - 파이프라인 360Km의 건설 - 플랜트 건설

◦ 개발 과정

- 2009. 12. InterOil 및 협력사(Pacific LNG Operation, Petromin)간 LNG 프로젝트 추진 기본 계약 체결

- 당초 2011년말 최종투자결정이 예정되었으나 계약 이행 조건 관련 정부와의 이견으로 지연되고 있음

◦ KOGAS가 일본 Japex와 합작으로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추진 중이며, 파이프라인, 항만 시설 건설 관련 한국업체가 입찰 참여 중

3. 제3 LNG 개발 프로젝트

◦ Western 주의 석유, 가스 개발을 위해 NGE, Talisman Energy Inc., Mitsubishi, Esso PNG Exploration Ltd., Oil Search Ltd 등 에너지 회사들은 투자하고 있음.

◦ 2011.10 NGE가 Talisman과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는 광구의 개발 허 가 및 탐사 프로그램이 연장 승인된 바 있음. 이 두개의 회사는 앞으 로 5년간 허가권에 최소 55백만불의 지출을 예상하고 있음.

◦ 2012. 2 Talisman은 Mitsubishi와 합작관계를 맺고 연간 약 300만톤 의 LNG 수출을 위한 천연가스 개발을 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함.

◦ NGE는 2012. 3 일부 광구의 지분을 Esso PNG Exploration Ltd와 Oil Search에 매각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함. 이는 35백만불의 현금 및 로열티가 될 것임.

◦ 지난 1년간에 걸쳐 이루어진 Stanley, Ubuntu, Elevala, Ketu Appraisal 광구의 탐사 결과에 대해 대단히 긍정적임.

4. LNG-FPSO 설비 프로젝트

◦ 대우조선해양 E&R사의 LNG-FPSO 설비 프로젝트(연산 300만톤, 22 억불 소요)가 2010.12. 내각의 승인을 받음

◦ 국영 Petromin사는 노르웨이 Hoegh LNG사 및 대우조선해양 E&R사 와 PNG Floating LNG Ltd라는 3개국 Joint Venture를 2011.11 설립

◦ 2011.11.30 Port Moresby에서 개최된 제1차 한.PNG 자원협력위에서 feed-gas 확보를 위한 상류 운영권자와의 협력, 정부와의 최종 프로젝 트 계약 체결, 환경영향평가 등 향후 추진 절차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

5. Stanley 콘덴세이트 프로젝트

◦ Western주의 콘덴세이트 개발을 위한 Stanley 프로젝트에 대해 조건 부 최종투자결정이 내려짐

(개발업체 및 참여 지분)

◦ 호주에 소재하는 Horizon Oil사(개발업체)가 Talisman Energy(캐 나다 소재)와 합작으로 Western주에서 추진하는 Stanley 가스 콘 덴세이트 개발 프로젝트(3억불)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를 금융 대부를 받는 조건으로 내림.

◦ 2개의 호주 은행이 1.6억불을 대부하는 조건으로 협상을 진행 중임.

◦ 상기 양사가 각기 50%의 지분을 공유하다가 PNG 정부의 PDL 허 가 후에는 Horizon Oil(38.75%), Talisman(38.75%), PNG 정부 (22.5%)가 됨.

(매장량 및 생산 계획)

◦ Stanley 프로젝트 개발지역에는 3,610억 입방 피트의 가스와 11.4 백만 배럴의 콘덴세이트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됨

◦ 이 프로젝트는 1일 1.4억 입방 피트의 가스를 추출하여 2기의 train plant를 이용하여 1일 콘덴세이트 4,000 배럴을 생산하는 목 표를 가지고 있음.

◦ 2013년 말에 생산을 개시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음. 금년도 2/4 분 기에 PNG 정부에 생산개발허가(PDL)를 신청하고 3/4 분기에 PDL 을 받을 것으로 기대함.

◦ 이 콘덴세이트는 40 km의 파이프라인으로 Kiunga 소재 60,000배 럴 저장소에 운송, 보관될 예정임.

◦ 33,000 배럴을 수송하는 운반선을 설계, 제작하여 수출하게 됨.

6. 석유 개발 프로젝트

◦ 1980년대부터 유전 개발이 시작되어 1992년 Kutubu 유전에서 생산된 원유를 최초로 수출하였으며 1998년 Gobe 유전에서도 원유 생산이 개 시됨.

◦ Kutubu 유전은 1994년 일산 14만 배럴로 최고조에 달하였으나 이후 Kutubu, Gobe, Moran 3개 유전의 총생산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음 (2010년: 10.9 백만 배럴 수출).

신재생 에너지 현황 및 개발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원이 풍부한 편이나 지형이 험준하고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개발이 용이치 않은 바, 신재생 에너지 현황은 아래와 같음(정보출처: REEEP(The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Patnerhsip) 발간 자료)

1. 분야별 현황

(지열에너지)

◦ 지열 에너지 생산량(2010년) : 56MW

◦ 지열에너지협회는 PNG의 지열 잠재력을 21.92 terawatt 시간으로 산정함. 동 협회는 이론적으로는 지열 에너지원으로 미래의 모든 전기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음.

(수력)

◦ PNG는 강수량 및 큰 하천 등 수력 발전이 용이한 지형을 가지고 있음.

◦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고산지대의 연평균 강수량은 2,000mm-8,000mm이며, 도서지방의 경우 3,000mm-7,000mm임.

◦ 큰 강으로 Sepik, Fly, Markham 등이 있으며 9개의 배수분지가 있음.

◦ 이론적으로 총 수력잠재력은 연간 175TWh 임.

◦ 수력공급원 인근에서의 실질적 수요 부족으로 대규모 수력 발전의 경제적 가치는 그리 높지 않으며 대신에 소규모의 수력 발전을 개 발할 필요성은 많음.

(해양 에너지)

◦ 조류 또는 파도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의 잠재력에 대한 연구는 거 의 없음.

◦ 대체로 조수차가 1.1-1.6m이며 Port Moresby 인근은 2.7m, Torres 해협은 6m임.

◦ 부겐빌 인근의 Buka만에 조류발전 시험을 위한 제안이 있음.

(풍력)

◦ 풍력의 잠재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음. Central, Western, Milne Bay, New Ireland주 및 Port Moresby에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음.

◦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Duke of York섬에서 풍력발전 시험 프로젝 트가 진행되고 있음.

(태양광)

◦ 태양광은 PNG에서 가장 잠재성이 있는 에너지원임. 1일 4.5-8 시 간의 일조량을 보임.

◦ 조사가 수행된 23개 지역중 Port Moresby는 연 2,478 일조시간으 로 가장 높으며, Tambul은 1,292 시간으로 가장 낮았음. 태양광 발전 적지로는 남부지방과 도서지역임.

(바이오매스)

◦ PNG의 2/3가 산림으로 덮혀있으나 접근이 가능치 않으며 에너지원 으로 이용하기 어려움. 국토의 58%가 침식되기 쉬우며 18%는 물 에 잠겨 있거나 수시로 잠김.

◦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으로는 벌채 및 농업 생산과 관련된 영역임.

원목의 수출 금지 선언으로 국내에서 목재 가공업이 발전할 여지는 있음.

2. 개발 및 이용 현황

◦ Lihir Gold Ltd가 2003년 이래 지열발전소를 운영, 현재 56MW를 생 산, 수요량의 약 75%를 충당하고 있음. 동 회사가 최초로 지열에너지

발전을 시작함.

개발회사는 75MW의 지열 발전소를 가동하여 금광 채굴에 사용하 고 주변의 공동체에도 공급하고 있음.

◦ 농작물의 바이오 에타놀 추진 동향이 진행됨(Central주 Rigo 지역 소재 창해 카사바 농장의 바이오 에타놀 공장 추진 계획 등)

기타 자원 개발 현황

1. 쌀 생산 증대 추진 현황과 문제

쌀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면서 최대의 수입품이 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생산을 증대하여 수입을 줄이고 식량안보를 추구하려는 노력을 전개하고 있는 바, 쌀 생산, 소비 현황과 문제는 아래와 같음

(일반적 사항)

◦ 쌀은 PNG의 전통적인 식량은 아니나 지난 100년 이상 경작되어 왔 으며 최근에 연간 20만톤 정도를 소비하면서 점차 주식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 쌀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쌀이 호주 등으로부터 수입됨 으로 인해 식량정책상의 논란을 불러 일으킴. 1990년대 이래 쌀 생 산 증가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했으나 여러 사회, 경제, 기술, 제도 상의 요인으로 인해 별 진전이 없었음. 가변적인 농업제도, 낮은 노동 생산성, 병충해 등이 주된 제약이 됨.

(쌀 시장 현황)

◦ 2006년 이래 매년 18만톤의 쌀이 판매되고 있음(2010년도 판매고 는 17만톤임).

◦ 국내 쌀 생산은 지난 4년간에 걸쳐 연 평균 1만톤임. 연간 약 20만 톤에 이르는 쌀(2.2억미불)을 호주, 태국 등으로부터 수입함.

(미작 연혁)

◦ 독립이전에 선교단체, 식민지 당국에 의해 벼농사가 실시됨.

◦ 1975년 독립 후 국내 미작은 변동이 있었으나 연 1,500만톤에 불과 하였으며 건작 방식이었음. 각종 원조 농업투자 프로젝트에 의해 Central주에서 벼농사가 시도되었으며 1970년대 말 ADB 지원으로

East Sepik Rural Development Project를 추진, 4,000만톤을 목

(쌀 생산의 문제)

됨. 전체 경작지 13만 헥타르에서 plantation 방식이 약 60%(2009 Industry Corporation, Oil Palm Research Association이 있음.

◦ PNG 생산 주종 수출 농작물중 커피, 코코아, 코프라에 비해 야자

3. 커피 농사 현황

R. Carpenter Estates Ltd of Mt Hagen 등이 있음.

(커피 농업 일반)

◦ 소규모농장(smallholder), 블록농장(blockholder), 대규모농장 (plantation)으로 구분됨.

◦ 소규모농장은 커피 농사의 72%를 차지하며 약 2.5백만이 종사함.

◦ 블록농장은 세계은행의 지원으로 1970년대 말에 “20ha block" 계

획이 개시됨. 630개의 block 농장에서 전체 커피 생산량의 약 4%

를 생산함.

◦ 플랜테이션은 약 24%의 비중을 차지하며 플랜테이션 그룹의 평균 농 장 크기는 약 300ha이며 전체적으로 1.5만ha의 면적에 이름.

(커피의 종류 및 수출)

◦ 아라비카 커피와 Robusta 커피와 같은 두 종류를 생산하며 이중 아라비카 커피가 약 95%의 비중을 차지함. 아라비카 커피는 Eastern, Simbu, Western Highlands 등 고산내륙 지방에서 재배 되며 Robusta 커피는 Sepik, Milne Bay, East New Britain과 같 은 저지대에서 생산됨.

◦ 수출은 두가지 형태로 green bean과 roast & ground임.

◦ 1998-99년에 수출량이 1.3백만 포에 이르는 최대치를 기록한 이래 대체로 1백만-1.2백만 포를 수출함.

(생산 지원 프로젝트)

◦ 커피 생산 기반시설과 능력개발을 위한 국내외의 지원 프로젝트가 있음.

◦ 정부지원 프로젝트로는 국가농업개발계획(NADP)을 시행, 커피를 포함하여 농산물 분야에 대한 자금 지원을 함.

◦ EU, AusAID 등 외국기관이 다양한 커피 프로젝트에 기술 향상, 능력 배양 등을 위해 지원함.

4. 산림업 현황

세계 2위의 열대목재 수출국인 산림업 현황은 아래와 같음 (개관)

◦ 약 3,900만 헥타르의 국토가 산림으로 덮혀 있고, 이중 1,500만 헥

◦ 약 3,900만 헥타르의 국토가 산림으로 덮혀 있고, 이중 1,500만 헥

문서에서 머 리 말 (페이지 1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