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석유 개발 프로젝트

문서에서 머 리 말 (페이지 18-0)

◦ 1980년대부터 유전 개발이 시작되어 1992년 Kutubu 유전에서 생산된 원유를 최초로 수출하였으며 1998년 Gobe 유전에서도 원유 생산이 개 시됨.

◦ Kutubu 유전은 1994년 일산 14만 배럴로 최고조에 달하였으나 이후 Kutubu, Gobe, Moran 3개 유전의 총생산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음 (2010년: 10.9 백만 배럴 수출).

신재생 에너지 현황 및 개발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원이 풍부한 편이나 지형이 험준하고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개발이 용이치 않은 바, 신재생 에너지 현황은 아래와 같음(정보출처: REEEP(The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Patnerhsip) 발간 자료)

1. 분야별 현황

(지열에너지)

◦ 지열 에너지 생산량(2010년) : 56MW

◦ 지열에너지협회는 PNG의 지열 잠재력을 21.92 terawatt 시간으로 산정함. 동 협회는 이론적으로는 지열 에너지원으로 미래의 모든 전기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음.

(수력)

◦ PNG는 강수량 및 큰 하천 등 수력 발전이 용이한 지형을 가지고 있음.

◦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고산지대의 연평균 강수량은 2,000mm-8,000mm이며, 도서지방의 경우 3,000mm-7,000mm임.

◦ 큰 강으로 Sepik, Fly, Markham 등이 있으며 9개의 배수분지가 있음.

◦ 이론적으로 총 수력잠재력은 연간 175TWh 임.

◦ 수력공급원 인근에서의 실질적 수요 부족으로 대규모 수력 발전의 경제적 가치는 그리 높지 않으며 대신에 소규모의 수력 발전을 개 발할 필요성은 많음.

(해양 에너지)

◦ 조류 또는 파도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의 잠재력에 대한 연구는 거 의 없음.

◦ 대체로 조수차가 1.1-1.6m이며 Port Moresby 인근은 2.7m, Torres 해협은 6m임.

◦ 부겐빌 인근의 Buka만에 조류발전 시험을 위한 제안이 있음.

(풍력)

◦ 풍력의 잠재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음. Central, Western, Milne Bay, New Ireland주 및 Port Moresby에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음.

◦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Duke of York섬에서 풍력발전 시험 프로젝 트가 진행되고 있음.

(태양광)

◦ 태양광은 PNG에서 가장 잠재성이 있는 에너지원임. 1일 4.5-8 시 간의 일조량을 보임.

◦ 조사가 수행된 23개 지역중 Port Moresby는 연 2,478 일조시간으 로 가장 높으며, Tambul은 1,292 시간으로 가장 낮았음. 태양광 발전 적지로는 남부지방과 도서지역임.

(바이오매스)

◦ PNG의 2/3가 산림으로 덮혀있으나 접근이 가능치 않으며 에너지원 으로 이용하기 어려움. 국토의 58%가 침식되기 쉬우며 18%는 물 에 잠겨 있거나 수시로 잠김.

◦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으로는 벌채 및 농업 생산과 관련된 영역임.

원목의 수출 금지 선언으로 국내에서 목재 가공업이 발전할 여지는 있음.

2. 개발 및 이용 현황

◦ Lihir Gold Ltd가 2003년 이래 지열발전소를 운영, 현재 56MW를 생 산, 수요량의 약 75%를 충당하고 있음. 동 회사가 최초로 지열에너지

발전을 시작함.

개발회사는 75MW의 지열 발전소를 가동하여 금광 채굴에 사용하 고 주변의 공동체에도 공급하고 있음.

◦ 농작물의 바이오 에타놀 추진 동향이 진행됨(Central주 Rigo 지역 소재 창해 카사바 농장의 바이오 에타놀 공장 추진 계획 등)

기타 자원 개발 현황

1. 쌀 생산 증대 추진 현황과 문제

쌀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면서 최대의 수입품이 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생산을 증대하여 수입을 줄이고 식량안보를 추구하려는 노력을 전개하고 있는 바, 쌀 생산, 소비 현황과 문제는 아래와 같음

(일반적 사항)

◦ 쌀은 PNG의 전통적인 식량은 아니나 지난 100년 이상 경작되어 왔 으며 최근에 연간 20만톤 정도를 소비하면서 점차 주식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 쌀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쌀이 호주 등으로부터 수입됨 으로 인해 식량정책상의 논란을 불러 일으킴. 1990년대 이래 쌀 생 산 증가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했으나 여러 사회, 경제, 기술, 제도 상의 요인으로 인해 별 진전이 없었음. 가변적인 농업제도, 낮은 노동 생산성, 병충해 등이 주된 제약이 됨.

(쌀 시장 현황)

◦ 2006년 이래 매년 18만톤의 쌀이 판매되고 있음(2010년도 판매고 는 17만톤임).

◦ 국내 쌀 생산은 지난 4년간에 걸쳐 연 평균 1만톤임. 연간 약 20만 톤에 이르는 쌀(2.2억미불)을 호주, 태국 등으로부터 수입함.

(미작 연혁)

◦ 독립이전에 선교단체, 식민지 당국에 의해 벼농사가 실시됨.

◦ 1975년 독립 후 국내 미작은 변동이 있었으나 연 1,500만톤에 불과 하였으며 건작 방식이었음. 각종 원조 농업투자 프로젝트에 의해 Central주에서 벼농사가 시도되었으며 1970년대 말 ADB 지원으로

East Sepik Rural Development Project를 추진, 4,000만톤을 목

(쌀 생산의 문제)

됨. 전체 경작지 13만 헥타르에서 plantation 방식이 약 60%(2009 Industry Corporation, Oil Palm Research Association이 있음.

◦ PNG 생산 주종 수출 농작물중 커피, 코코아, 코프라에 비해 야자

3. 커피 농사 현황

R. Carpenter Estates Ltd of Mt Hagen 등이 있음.

(커피 농업 일반)

◦ 소규모농장(smallholder), 블록농장(blockholder), 대규모농장 (plantation)으로 구분됨.

◦ 소규모농장은 커피 농사의 72%를 차지하며 약 2.5백만이 종사함.

◦ 블록농장은 세계은행의 지원으로 1970년대 말에 “20ha block" 계

획이 개시됨. 630개의 block 농장에서 전체 커피 생산량의 약 4%

를 생산함.

◦ 플랜테이션은 약 24%의 비중을 차지하며 플랜테이션 그룹의 평균 농 장 크기는 약 300ha이며 전체적으로 1.5만ha의 면적에 이름.

(커피의 종류 및 수출)

◦ 아라비카 커피와 Robusta 커피와 같은 두 종류를 생산하며 이중 아라비카 커피가 약 95%의 비중을 차지함. 아라비카 커피는 Eastern, Simbu, Western Highlands 등 고산내륙 지방에서 재배 되며 Robusta 커피는 Sepik, Milne Bay, East New Britain과 같 은 저지대에서 생산됨.

◦ 수출은 두가지 형태로 green bean과 roast & ground임.

◦ 1998-99년에 수출량이 1.3백만 포에 이르는 최대치를 기록한 이래 대체로 1백만-1.2백만 포를 수출함.

(생산 지원 프로젝트)

◦ 커피 생산 기반시설과 능력개발을 위한 국내외의 지원 프로젝트가 있음.

◦ 정부지원 프로젝트로는 국가농업개발계획(NADP)을 시행, 커피를 포함하여 농산물 분야에 대한 자금 지원을 함.

◦ EU, AusAID 등 외국기관이 다양한 커피 프로젝트에 기술 향상, 능력 배양 등을 위해 지원함.

4. 산림업 현황

세계 2위의 열대목재 수출국인 산림업 현황은 아래와 같음 (개관)

◦ 약 3,900만 헥타르의 국토가 산림으로 덮혀 있고, 이중 1,500만 헥 타르에서 양질의 열대수가 생장함.

◦ 말레이시아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열대 원목의 수출국가임. 연 200만 입방 미터의 원목이 수출됨.

◦ 산림은 GDP의 약 7%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 2010년도에

전체 수출액의 약 4%인 1.9억불을 수출함.

◦ conifer 플랜테이션은 Morobe, Eastern & Western Highlands 주에 소재함.

◦ PNG 산림청(PNG Forest Authority)은 2030년까지 24만 헥타르의 조림 플랜테이션 개발을 계획하고 있음.

(관련 법규)

◦ PNG 산림청은 산림법(Forestry Act, 1991)에 의거 설립되었으며 산림 개발을 위한 토지의 취득 및 할당에 관한 규정을 명시함.

◦ 두 종류의 목재 면허를 발급하고 있으며, 대형 목재 컨세션용 면허

와 소규모 운영용 면허로 나누어짐.

(정부 기관)

◦ PNG 산림청은 19개 주에 지방청을 두고 이외에 3개의 주요 기관, 즉 자문기구인 National Forest Board와 Provincial Forest Management Committee, 집행 기관인 National Forest Service 를 설치하고 있음.

(산림업의 과제)

◦ 고율의 세금과 로열티로 인해 이익의 현지 사회 환원을 제약하며 투자에 역효과를 초래함.

◦ 광업 분야에 비해 산림 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미미하며 열악 한 교통기반 시설로 인해 고비용을 초래함.

◦ 이러한 단점이 있는 반면에 중국, 일본, 호주 등 주요 수출시장에 인 접하며 양질의 목재와 이용가능한 노동력이 장점으로 나타남.

◦ 기후변화상의 REDD(산림벌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의무) 를 이행하는 방안에 관해 정부, 토지소유부족간의 이견을 조율하는 복잡한 과정이 남아 있음.

◦ 원목 수출을 금지하는 국내입법 및 정책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적으 로 이행하지는 못하고 상당한 유예 사항으로 남아 있음.

(우리 관련 사항)

◦ 목재 사업을 하는 외에는 산림업에 진출하지 않음.

5. 무선 통신 시장의 개혁과 혜택

APEC에서 발간한 PNG 무선 통신 시장의 개혁 현황과 그 혜택은 아래 와 같음.

(일반적 사항)

◦ PNG처럼 험준한 지형을 가진 국가에서는 휴대전화를 통해 상호 소 통할 수 있는 이익이 상당히 큼. 휴대전화 서비스의 이용으로 사회 적인 상호 소통면에서 뿐만 아니라 의료 비상시에도 도움이 되고

있음. 무선 금융 서비스는 지방에서는 아주 제한적으로 이용되었으

의 2.7%에서 2008년의 5.1%로 늘어났음. 2008년에는 전체 GDP 성장의 20% 이상을 기여함.

6. 기후변화에 대한 PNG의 입장과 국제적 노력

산림 벌채로 부터 야기되는 온실가스 감축(REDD) 문제에 있어서 국제 적으로 개념을 제기, 정립하는 선도적 위치에 있는 PNG의 입장과 문제점 은 아래와 같음.

(기후변화에 관한 국․내외적 활동)

◦ PNG는 경제발전 정도에 비해 토지의 사용, 산림 벌채로부터 생기 는 온실 가스배출량이 많은 편임. 해수면 상승, 홍수, 산사태, 말라 리아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아서 PNG 국민들의 생활에 위협을 제기함.

◦ PNG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상의 REDD(Reducing Emission from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of forest), REDD+(산림의 보호, 지속적 관리, 탄소량 증가)에 관한 협상에 있어서 주요한 역 할을 수행함. REDD+는 2005년 COP11에서 PNG와 코스타리카에 의해 처음 제안됨.

◦ PNG는 UNFCC의 과학기술자문보조기구(SBSTA)에서 의견 제출 등 활동을 전개하고 있음. PNG는 2011.1까지 잠정 REDD+ 파트너쉽 사무국의 공동 의장국 역할을 수행함.

◦ 내각은 2010.3 PNG에서의 기후변화에 대한 활동을 조정하기 위한 정부기구 편제의 개편을 승인함. 기후변화문제는 National Climate Change Committee(NCCC)에 의해 전 정부적 접근으로 조정이 이 루어지고 각료급 위원회, 자문위원회에 의해 보완됨.

◦ NCCC는 PNG의 기후변화 활동과 정책에 관해 조정하고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수석 차관(chief secretary)이 의장직을 수행함.

◦ 기후변화개발사무국(OCCD, Office of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은 NCCC의 사무국 기능을 수행함.

(REDD에 관한 문제 및 입장)

◦ PNG에는 85%의 인구가 농업에 종사하며 생계를 위해 토지와 산림 에 의존함. REDD가 시행되면서 산림과 토지 사용에 대한 기회비용 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으면 생활수준이 저하되게 됨.

◦ 정부의 서비스가 거의 미치지 않는 이들 농촌지역에서는 벌목회사, 팜 오일 회사들이 고용기회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형편으로 적어 도 REDD의 시행으로 얻게 되는 경제, 사회, 환경적 이득이 기존에

◦ 정부의 서비스가 거의 미치지 않는 이들 농촌지역에서는 벌목회사, 팜 오일 회사들이 고용기회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형편으로 적어 도 REDD의 시행으로 얻게 되는 경제, 사회, 환경적 이득이 기존에

문서에서 머 리 말 (페이지 18-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