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거주지역에 따른 세대간 지원교환 유형의 분포는 성별에 따른 분포만큼이나 뚜렷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견된다. 다음의 <표 4-3>에 의하면, 도시노인(41.6%)에 비해 농어촌노인(34.7%)에서 일방적 수급형 비율이 약간 더 높은 대신 상호교환형 비율은 약간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우 선 거주지역에 따른 자녀동거율의 차이와 연결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노인에 비해 농어촌노인이 자녀와 별거하는 비율이 높 다. 세대간 지원교환은 자녀와의 동거상황에서 더 쉽게 일어나므로, 자녀별거율 이 높은 농어촌노인들에게서 상호교환형은 적게 발견될 수 있다.

〈표 4-3〉 노인의 거주지역별 세대간 지원교환 유형 분포

(단위: %, 명)

구분 농어촌 도시 전체

무교환형 6.9 6.7 6.8

일방적 제공형 1.6 2.7 2.3

일방적 수급형 41.6 34.7 37.0

상호교환형 49.9 55.8 53.9

계 (명)

100.0 (917)

100.0 (1,869)

100.0 (2,786)

노인전체에 대한 세대간 지원교환 유형의 분석에서 거주지역별 차이는 발견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와 농어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지역에 따라 세대간 지원교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의 <표 4-4>와 <표 4-5>는 농어촌노인과 도시노인 각각에 대하여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농어촌노인들의 경우, <표 4-4>에 나

194

타난 바와 같이 무교환형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가구형태, 아들유 무, 소득 등에 그치고 있다. 홀로 살거나 부부끼리 사는 농어촌노인들은 자녀와 동거하는 농어촌노인들보다 무교환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아들이 없는 농어촌노인들은 아들이 있는 농어촌노인들보다 무교환형의 확률이 높다. 즉, 딸 만 있는 농어촌노인들은 자녀와 지원을 주고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다. 농어촌노인들 중에서 경로연금과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를 받는 노인들의 무교환형 확률 또한 높다.

농어촌노인들이 자녀로부터 일방적으로 도움을 받을 확률(vs. 상호교환형)은 무교환형의 확률분석에서보다 더 다양한 변수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난다. 여기 에는 노인 가구형태, 성,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아들유무, 소득 등이 포함 된다. 농어촌노인들이 홀로 살거나 부부끼리만 살 경우 이들이 자녀로부터 일 방적으로 도움을 받을 확률은 높다. 또한 농어촌노인 중에서도 여성노인이 남 성노인보다 일방적으로 도움을 받을 확률은 낮다. 한편, 연령에서는 고령층에서 일방적 수급형의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교육수준에서는 중간 학력의 노인들의 일방적 수급형 확률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농어촌노인 중에서 유배우 노 인들이 무배우 노인들보다 일방적 수급형에 속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 다. 또한 딸만 있는 농어촌노인이 아들이 있는 농어촌노인보다 일방적 수급형 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있는 농어촌노 인이 일방적 수급형에 속할 확률은 낮게 나타난다.

농어촌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195

〈표 4-4〉 농어촌노인의 세대간 지원교환에 관한 다항로짓분석결과

변수 무교환 vs. 상호교환 일방적 수급 vs. 상호교환

b exp(b) b exp(b)

가구형태(자녀동거 기준) : 노인독신 1.775 *** 5.899 2.169 *** 8.747

노인부부 1.102 *** 3.010 1.087 *** 2.965 성(남성기준) : 여성 -0.580 0.560 -0.436 ** 0.647

연령(65~69세 기준) : 70~74세 -0.061 0.941 0.146 1.158

75세 이상 0.054 1.055 0.421 ** 1.523

교육수준(글자모름 기준) : 글자해독 0.250 1.284 -0.102 0.903

초등학교 -0.107 0.899 -0.501 ** 0.606 중고등학교 0.345 1.412 0.159 1.172 대학교 0.330 1.390 -0.901 0.406

결혼상태(무배우 기준) : 유배우 0.928 2.531 0.940 *** 2.560

자녀수 -0.107 0.899 0.066 1.068

자녀성별(아들만 있음 기준) : 딸만 있음 1.436 * 4.203 1.274 ** 3.576

근로 및 부업소득(없음 기준) : 있음 -0.133 0.876 -0.441 ** 0.643

재산/금융소득(없음 기준) :있음 -0.076 0.926 -0.093 0.911

공적/사적연금(받지 않음 기준) : 받음 0.409 1.506 -0.032 0.968

경로연금/ 기초생활(수급 아님 기준) : 수급 1.685 *** 5.393 0.243 1.275

기능상태제한(없음 기준) : 있음 -0.444 0.641 -0.073 0.929

상수 -2.857 *** -1.641 ***

주: *=p<0.1, **=p<0.05, ***=p<0.01

농어촌노인들에 비해 도시노인들의 경우는 세대간 지원교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더욱 다양한 한편, 그 관계성도 좀 더 분명하다. 다음의 <표 4-5>에 의하면 도시노인들 중에서 무교환형의 확률은 가구형태, 성, 배우자유 무, 자녀수, 소득 등에 의해 다름을 알 수 있다. 도시노인들 중에서 자녀와 별 거하는 노인들은 세대간 지원교환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남성노인 에 비해 여성노인들의 무교환형 확률은 더 높게 나타난다. 배우자 유무에 따라 서도 무교환형의 확률은 다른데, 무배우 노인들보다 유배우 노인들에게서 이 확률이 높다. 자녀수의 경우, 자녀가 많을수록 무교환형의 확률은 낮다. 또한 도시노인들 중에서의 무교환형 확률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그리고 재산소득과 금융소득이 있는 노인들에게서 높으며, 경로연금과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를 받는 노인들에게서도 높다.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