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민과 전문가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주거환경요소에 대한 인식은 다음 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첫째, 일조시간에 대해서는 모두 3시간 이상이 1순위로 대답하였다. 이는 현행 의 규정보다 강화된 것이기도 하지만, 설문조사가 연속해서 2시간, 또는 3시간 등으로 질문한 것에 대해 오해가 있기도 한 점이 있다. 일본의 규정은 연속해서

99) 5점 척도 응답결과를 중요도 순서대로 가산점(1~5점)을 곱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여 계산함, 즉 매 우 중요 5점, 중요 4점, 보통 3점, 중요하지 않음 2점, 전혀 중요하지 않음 1점 순서임. 분석결과, 전체 설문응답의 평균점수가 4.21로 모든 주거환경 고려요소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다. 그러나 본 분석은 각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각 요소별 중요도 순위와 응답대상자별 중요 도 평균점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2시간 또는 3시간이 아니라 하루 중(8~14시) 2~4시간인 것이다. 실제로 이 개념 은 약간의 차이를 유발하나 대체적으로 유사하다고 간주할 수도 있다.

둘째, 공동주택의 선호층고에 대해서는 대개 엘리베이터가 있는 6~15층 사이 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저층과 초고층에 대한 선호도는 일부계층에 지 나지 않았다. 특히 전문가 그룹은 초고층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이미 15층 정도의 높이는 오히려 바람직한 주거층수라고 간주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도시의 규모에 따라 5층에서 초고층까지 가능 하다고 답하였지만 중소도시에서는 5층 이하라고 대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주로 도시의 이미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주민의 의사와는 다를 수 있는 부 분이다.

셋째로, 아파트의 향에 대해서는 남향이 아닌 경우 동서향보다는 동남향으로 답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심리적으로 오후햇살보다는 아침햇살을 더 좋아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일사량과 관계없이 아침햇살을 더 좋아하는 경향은 일본의 경우에도 동일한 조사결과가 있는데100),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유사한 경 향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통풍에 관해서도 주민들은 자연통풍이 중요하다고 답하고 있고, 조망에 관해서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는 대답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조망차폐율의 경우에는 주민들은 대략 40% 정도를 요구하고 있어 현행 경기도의 규정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라이버시와 관련되어 마주보는 아파트 주동과의 거리에 대해서는 대개 1~1.5h 정도의 반응을 보였다. 이는 일조시간과도 관련되는 것이지만, 이것 과 관계없이 넓은 이격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아파트 배치시에 일자형 또는 타워형 배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위요형 배치가 일조나 통풍, 조망,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불리함과 연 관되어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전문가그룹은 위요형 배치도 피로티 등으로 바람

100) <참고자료1> 의 일본국회 제76회 중의원건설위원회의록 제3호(1975.12.3)에서 쿠니 주택국 참사관 의 답변참조

통로를 확보하는 경우 무방하다는 의견을 보여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전문 가그룹은 위요형 배치에 대해 전통적으로 선호하여왔던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

<그림 4-11> 주거환경 요소별 중요도 분석

개별 주거환경요소에 대한 주민 및 전문가의견조사는 대체적으로 현행의 규정 보다는 더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었는데, 현재의 건축법에 의해 지어진 거주 지역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대체로 만족과 부분적으로 불만족이 아주만족보다 는 월등히 많이 나타난 것에서도 타당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결론적으로 주민 이나 전문가들이 원하는 최적의 전형적인 주거환경단지로 유형화하여 요약한다 면 I) 건물층고는 6~15층, ii) 일조시간은 2~3시간 이상, iii) 아파트배치는 일자형 또는 타워형, iii) 인동간격은 1~1.5h 이상, iv) 조망차폐율은 40%이상, v) 건물의 향은 남향 및 동남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조시간 조건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아파트배치를 일자형을 기본으로 한다면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인동간격이나 조망차폐율의 수준은 이 조건 속에 충분히 포함되는 것이어서 실질적으로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일조시 간과 아파트배치유형이 될 것이다.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주거환경요소별 기준 하에서 결과적으로 산출될 수 있

는 개발밀도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하기로 하고 이번 연구가 시사하는 것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5

C ․ H ․ A ․ P ․ T ․ E ․ R ․ 5

결 론

이번 장에서는 제4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거환경요소별로 이번 연구에 의해 새로 이 제시된 기준에 따라 주거단지를 조성할 경우에 결과적으로 어떤 용적률이 나오게 되는지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여 향후 주거지역 의 개발밀도를 설정하는데 어떻게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시하고, 앞으로 남 겨진 과제를 정리하였다.

1. 주거환경요소에 의한 개발밀도 산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