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 연구

문서에서 사회복지비전연구 (페이지 78-83)

1) 청소년기의 자원봉사의 관한 연구

청소년기에 자원봉사는 사회활동이 적은 학교생활 중인 학생들에게 자원봉사는 사회적 활동의 하나로 책임감을 가지고 의무감에 의한 활동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에 의한 자발적인 활동으로서

청소년기 자원봉사활동이 사회복지학부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범수, 이진주, 임동진, 임수진, 황수민 79

자발성을 지닌다. 또한 본인이 의지로 지속적, 계획적으로 활동을 해나가면서 개인화되는 사회에서 공동체적인 활동을 하면서 커나갈 수 있는 활동이라고 본다. 이런 자원봉사의 특성으로는 자발적 활동, 발달 단계를 감안하여 각 학급별로 적절한 활동이 이루워 져야하고, 학교의 승인을 받은 개인 계획에 의한 자원봉사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자원봉사자수가 점점 늘어나는 한해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이다. 수가 늘어나는 만큼 문제점도 나타난다. 자발적인 모습보다는 강제성이 더 크고 기존에 봉사의식들이 희박해지면서 봉사활동들이 단순한 업무보조에 집중된 점이 한계로 보여 지고 있다. 자원봉사의 총 시간이 해가 지나갈수록 남학생수보다 여학생수가 더욱 높게 나타나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준비 – 실행- 평가단계의 절차가 정착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 가지 항목으로 봉사활동이 편중되있던 것이 2006년 조사에서는 편중되지 않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진다. 그리고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조직이 형성되고 그 조직에서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봉사활동 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되었고 봉사활동 참여시기가 차츰 낮아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박명수, 2007).

2) 사회복지학과생의 진로에 일반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이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시간적 경제적인 제약이 외적으로 많기 때문에 진로 장벽을 더 높에 지각하고 있다고 밝힌 선행연구들(서석육, 2012; 이기엽, 2012; 강윤심, 2010)과 일치한다. 학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3학년이 4학년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낸다. 연구에서는 무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에서는 진로장벽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느껴진다. 그리고 사회복지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가장 큰 동기는 적성이 맞을 것 같아서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관 및 시설 취업의 경우 전공 살린 취업이 1학년에 비해 2,3,4학년으로 갈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전공 선택 동기에 따라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 흥미에 맞을 것 같아서처럼 자발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경우는 기관 및 시설에 취업하고자 하였고, 권유로 학과를 선택한 경우 공무원 시험 준비을 하겠다는 응답이 있다.

80 제15회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술제 사회복지비전연구 제6권(2018년)

연 구 방 법

1. 연구모형

< 독립변수 > < 종속변수 >

청소년기의 자원봉사 경험 자원봉사 지속성 자원봉사 만족도 자원봉사 동기 자원봉사 내용

진로결정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진로선택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원봉사 경험이 사회복지학부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행해졌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18일부터 10월11일까지 서울·경기·충청·강원 지역대학에 재학중인 사회복지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원봉사활동 경험 대학생 20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34부를 제외한 총 166부를 최종 분석되었다.

조사에는 청소년기 봉사활동 참여유형 척도, 참여태도 척도, 사회적 책임성 척도, 봉사활동 지속성 척도, 기대효과 척도, 진로결정 척도가 사용되었다.

청소년기 자원봉사활동이 사회복지학부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범수, 이진주, 임동진, 임수진, 황수민 81

3. 측정도구

1) 독립변수: 청소년기의 자원봉사활동 경험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청소년기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다. 자원봉사 경험의 하위영역은 선행연구 등을 통해 도출된 자원봉사 지속성, 자원봉사 만족도, 자원봉사 동기, 자원봉사 내용 등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정순자(2013)이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 였다.

척도는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고 채점 방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하고 ‘아주 그렇다’를 4점으로 채점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원봉사 참여경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표 1> 자원봉사 참여경험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척도 명 문항번호 문항 수 신뢰도

자원봉사 참여태도(자발성, 무보수정) 8(1,2,3,4,5*,6*) 6 .724 자원봉사 사회적 책임성(이타성, 헌신성, 봉사성) 9(1,2,3,4,5,6,7) 7 .904

자원봉사 지속성 10(1,2,3) 3 .863

자원봉사 유익성(기대효과) 11(1,2,3,4,5,6,7,8,9) 9 .930

계 25

*역채점 출처: 영남대학교 정순자(2013)

2) 종속변수: 진로결정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원봉사 경험이 사회복지학과생의 진로결정(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정순자(2013) 개발한 진로결정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내용은 진로결정( 15문항), 진로선택(11문항)으로 총 2개 요인을 보고 진로결정 정도를 측정하였다.

척도는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발 당시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고 채점 방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하고 ‘아주 그렇다’를 4점으로 채점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과 전공선택에 대한 확신감, 만족감, 목적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각 척도 명, 문항구성과 신뢰도는 <표 2>와 같다.

82 제15회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술제 사회복지비전연구 제6권(2018년)

<표2>진로결정과 전공선택확신검사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역채점 문항 출처: 영남대학교 정순자(2013)

4.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사회복지학과생의 진로결정(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 앞서 회수된 설문지는 코딩 작업 및 오류검토 작업 후 통계 처리 및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주요 변인들의 평균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비교분석을 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진로결정 수준의 평균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분석을 하였다.

넷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참여횟수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진로결정 확신과 전공선택 확신의 하위변수들을 종속변인 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척도 명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진로결정* 1,2,3,4,5,6,7,8,9,10,11,12,13,14,15 15 .887 전공선택 1,2,3*,4,5,6*,7,8,9,10,11 11 .860

계 26

청소년기 자원봉사활동이 사회복지학부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범수, 이진주, 임동진, 임수진, 황수민 83

연 구 결 과

문서에서 사회복지비전연구 (페이지 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