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차분석

문서에서 사회복지비전연구 (페이지 58-76)

58 제15회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술제 사회복지비전연구 제6권(2018년)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민준, 어처, 이다빈, 임은비, 차수연 59

4. 평균비교

<표 18> 거주지에 따른 사회활동참여 평균비교

<표 18>은 거주지에 따른 사회활동참여의 평균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분석결과 학력은 충청권에 비해 서울 수도권 노인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연세, 성별, 배우자유무, 생활수준, 누구와 함께 사는지, 사회활동참여정도(횟수, 기간, 시간)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9> 거주지에 따른 사회활동참여를 통한 삶의 만족 평균 비교

거주지 N 평균 표준편차 F값 유의확률

연세 서울 수도권 105 3.1048 1.12595

4.303 .039 충청권 88 3.5227 1.20323

성별 서울 수도권 105 1.6571 .47694

6.440 .012 충청권 88 1.5568 .49961

배우자유무 서울 수도권 105 1.4095 .49410

1.354 .246 충청권 88 1.5455 .50078

학력 서울 수도권 105 3.5429 1.21709

.445 .506 충청권 88 2.6591 1.29443

생활수준 서울 수도권 105 2.9905 .49020

30.311 .000 충청권 88 2.7841 .83664

누구와 함께 사는지

서울 수도권 105 2.2476 .90703

.042 .839 충청권 88 1.8977 .91022

사회활동 참여횟수

서울 수도권 105 3.3619 1.33102

2.896 .090 충청권 88 3.2500 1.49520

사회활동 참여기간

서울 수도권 105 3.6762 1.34089

.022 .882 충청권 88 3.2727 1.36228

사회활동 참여시간

서울 수도권 105 3.5333 1.21740

.227 .634 충청권 88 3.4432 1.25815

거주지 N 평균 표준편차 F값 유의확률

요즈음 나는 매사가 짜증나고

귀찮다

서울 수도권 105 2.3524 1.09176

5.159 .557 충청권 88 2.4545 1.32100

요즈음 슬픈 일보다는 기쁜

일이 더 많다

서울 수도권 105 3.1905 1.00092

4.749 .15856 충청권 88 3.1932 1.20209

60 제15회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술제 사회복지비전연구 제6권(2018년)

<표 19>는 거주지에 따른 사회활동참여를 통한 삶의 만족의 평균 차이에 대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삶의 만족에 대한 평균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 N 평균 표준편차 F값 유의확률

요즈음 화나는 일만 점점 더

많아진다

서울 수도권 105 2.2857 .95791

13.438 .16352 충청권 88 2.3977 1.30903

요즈음 나는 지쳤다고 느낀다

서울 수도권 105 2.8286 1.12196

2.384 .17310 충청권 88 2.8523 1.28242

나는 오래 살고 싶다

서울 수도권 105 3.0286 1.07826

17.623 .17972 충청권 88 3.1705 1.41601

앞으로 살아가는데 희망이 있다

서울 수도권 105 2.9429 1.06363

1.108 .15453 충청권 88 2.9432 1.07594

요즈음 우울함을 자주 느끼고

있다

서울 수도권 105 2.5143 1.10170

1.125 .16505 충청권 88 2.3864 1.18837

앞으로 내 주위에 재미있고 즐거운

일이 많이 생길 것이다

서울 수도권 105 3.1810 .89637

7.160 .14996 충청권 88 2.8977 1.18457

나는 가치 있는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을 것이다.

서울 수도권 105 2.3714 .98310

6.019 .15874 충청권 88 2.4659 1.22192

누구도 내 마음을 알아주지

않아 소외감을 자주 느낀다.

서울 수도권 105 2.4476 1.10053

3.229 .16790 충청권 88 2.5455 1.23091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민준, 어처, 이다빈, 임은비, 차수연 61

5. 상관관계 분석

**P<0.01

A: 사회활동참여 횟수 B: 사회활동참여기간 C: 사회활동참여 시간 D: 현재 행복감 E: 오래 살고 싶은 마음 F: 우울감 G: 미래 생활에 대한 기대감

위의 표는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노인들의 삶에 만족에 대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전 이를 변수 사이의 관련성 정도 및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위의 표는 사회활동참여의 하위 요인과 노인들의 삶의 만족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이다.

적극적인 사회활동참여는 노인들의 삶의 행복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우울감과 미래 생활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 B C D E F G

A 1

B .339** 1

C .407** .534** 1

D .120 .097 .072 1

E -.076 .022 -.078 .209** 1

F .018 -.014 -.005 .013 -.232** 1

G -.025 -.077 -.121 .497** .301** .067 1

62 제15회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술제 사회복지비전연구 제6권(2018년)

Ⅴ 결 론

1. 연구결과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노인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정도와 삶의 질이 어떠한지, 이러한 변수들은 서울(수도권), 충청권 거주노인별로 차이가 있는지,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정도는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은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내에 소재한 노인복지관을 설정하고, 농촌지역은 마을회관과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 수정·보완 후 서울(수도권)지역 105부, 농촌지역 88부를 회수한 후 모호한 응답, 연령 범위를 벗어난 설문지가 없으므로 총 193부를 회수 및 통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70세 이상 75세미만이 가장 많고, 성별은 여자 노인이 다수이며 배우자와 동거하는 노인이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초졸(또는 중퇴)과 고졸(또는 중퇴)이 가장 많고, 생활수준은 보통수준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 분포는 충청권지역 45.6%(88명), 서울(수도권)지역 54.4%(105명)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 농촌지역별 사회활동 참여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참여정도의 하위요소인 참여빈 도, 참여기간, 참여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수도권)지역 노인과 충청권지역 노인이 비슷한 사회활동 참여빈도를 나타냈고 참여기간과 참여시간 또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농촌지역별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 생활만족도 하위요소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울(수도권)노인과 충청권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에 따른 삶의 질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성별, 연령, 학력, 생활 수준 등과 같은 일반적 특성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민준, 어처, 이다빈, 임은비, 차수연 63

2. 제언

일반적으로 60세를 기준으로 평균수명을 고려할 때 은퇴 후 노년기를 보내는 기간이 20년 이상이 된다. 갈수록 노령인구는 늘어나고 노인들의 복지 수요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성을 띠면서 날로 증가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노인의 문제는 이제 일반적인 문제 이상으로 국가적 사회적 문제로 변해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에도 노인복지 수요 증가에 따른 재정부담,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인한 생산성 감소 등 국가발전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는 점에 이의가 없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제는 노인을 단순히 부양 또는 보호의 대상 등 의존적 존재로만 보아서는 안 되며 국가적 사회적 인적자원으로 보아야 하는 노인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정신적 신체적 건강과 기능 유지 차원에서 개인의 삶의 질 향상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기존의 선행연구결 과는 물론 이 연구에서도 어느 정도 규명되었다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국가적 재정부담완화는 물론 인적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정부의 노인사회활동 지원 정책의 정당성은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생각하며 노인복지의 정책적 차원에서도 미래지향적이고 예방적이며 생산적인 핵심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노인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매우 낮은 것이 사실이며 더욱 큰 문제점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의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을 떨치기 어렵다. 한편 기존의 노인사회활동과 관련한 연구에서도 늘 아쉬움과 한계가 있다는 생각에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차원에서 제언하고자한다. 첫째는 학계 등 향후 연구하는 분들에게 제언하고 싶다.

그 동안 선행에서는 지나치게 학문적 접근은 아니었는지 하는 생각하며 향후 노인사회활동과 관련한 연구 시 본 연구자가 연구의 한계로 제시한 점을 반영하여 연구해 주길 진심으로 바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의 성과라고 할 수 있는 내용 중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이 사회활동 참여 동기 의향 등 보다 중요한 새로운 요인으로 정책인지도라는 변수가 발견되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노인 사회활동 등 정책의 효과성 등 다양한 연구주제에 변수로 반영되길 바란다.

둘째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생산한 노인사회활동 정책에 대한 정책마케팅 등으로 노인사회활동에 대한 집행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제언의 근거는 본 연구결과 밝혀진 노인들의 정책인지도가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공공서비스 공급자의 책임과 역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부연하면

64 제15회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술제 사회복지비전연구 제6권(2018년)

만약 기업이 아무리 좋은 제품을 생산하고도 진열만 해놓고 가만히 있는 다면 그 제품이 저절로 소비자들에게 팔리진 않을 것이다. 즉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어떻게 하는지를 똑바로 볼 수 있다면 이제는 어떻게 해야만 할지 답이 나온다. 고로 이와 같은 차원에서 노인사회활동 지원 정책의 집행 등 공공서비스 수행기관에서는 노인 사회활동 정책에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이고 공격적 인 정책 마케팅을 하는 등 집행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끝으로 본 연구 역시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모쪼록 조금이나마 이 연구가 노인의 사회활동 정책 발전에 도움이 되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간절히 바란다.

3. 한계점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서울(수도권)노인과 충청권노인 삶의 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해결하지 못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여 연구 한계에 대해서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과 마을회관을 이용하는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결과를 분석한 것이므로, 노인복지관과 마을회관을 이용하지 않는 노인들의 사회활동의 참여정도 를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추후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줄이고 전체집단의 대표성을 더 높게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집을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지역변인만을 살펴봄으로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성별, 학력, 건강상태, 경제수준 등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고려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도시 및 농촌지역만을 대상으로 연구했으므로, 두 지역 이외에 어촌, 산촌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지역 특성에 따른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서울(수도권)노인과 충청권노인의 삶의 질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밝혀냈다

문서에서 사회복지비전연구 (페이지 5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