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와 관련된 농업․농촌 에너지에 대한 연구는 크게 ① 신재생에너 지 생산․보급․정책 관련 연구 ②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 관련 연구 ③ 농 촌의 생활에너지 생산 및 이용실태 ④ 농업․농촌 생활에너지 순환형 마을 관련 연구로 분류하였고,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다루었다.

3.1. 신재생에너지 생산 ․보급․정책 관련 연구

국내외 에너지 현황과 정책, 에너지 수급,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는 다 수 존재하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안지운(2013), 유재국(2010), 서선재(2010), 서창석․박진원(2010), 김연중 외(2011), 서세욱(2009) 등이 대표적이다.

안지운(2013)은 세계적인 에너지 소비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이 확대되면 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 및 소비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 해 에너지 소비절감,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유재국(2010)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도의 변화를 다루고, 2012년 1월부 터 실시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와 기존 발전차액지원제도를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김연중 외(2011)는 청정에너지의 개념이 신재생에너지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정의하였다. 농업부문 청정에너지 사용의 경제성을 분석 하고, 지역별 청정에너지 시스템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서세욱(2009)은 청정에너지 중의 하나인 바이오매스 관련 정책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바이오매스 이용확대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3.2.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 관련 연구

농업부문의 에너지 이용 관련 연구는 에너지 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설난방용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이용과 관련된 연구와 농업․산림․

축산 부문에서 발생하는 바이오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었다.

박현태․한혜성(2011)은 농업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원별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에너지원별(지열 및 공기열 히트 펌프, 목재펠릿) 보급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지열 히트펌프와 공기열 히트펌트의 경우 기존 경유난방에 비해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난방비 절감효과는 높지 않지만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면에서는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상민 외(2011)는 편익․기회비용과 위험–계층분석법(Benefit, Opportunity, Cost and Risk-Analytic Hierarchy Process: BOCR-AHP)을 이용하여 농축산 농가의 시설난방용 에너지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지열 히트펌프의 선호 도가 가장 높았고, 공기열 히트펌프, 목재펠릿 보일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 다. 또한 농가 입장에서 경영성과와 바로 연계되는 초기 투자비, 운영비, 매 출액 효과가 난방용 에너지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론 5

김연중․박현태․한혜성(2009)은 연차별 시설원예 분야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설정하고, 연차별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정부 의 재정지출효과, CO2 절감효과, 농가의 난방비 절감효과, 증수효과 등을 계측하였다.

정인환․고순철(2004)은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 현황과 농업용 면세유제 도, 심야전기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농업용 에너지 공급 체 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에너지 공급관리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고 주장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농가 성격에 따라 에너지 공급 차별정책과 에너지 자립 방안을 제안하였다.

3.3. 농촌의 생활에너지 생산 및 이용 실태

농촌지역 생활에너지 관련 정책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연구는 기존 의 정부 정책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 과제, 주 택구조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방안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유진(2012)은 에너지 자립마을이라는 관점에서 저탄소 녹색마을의 시 범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단기적 시설 설치보다는 장기적으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 명하였다.

성주인 외(2012)는 농촌 생활에너지와 관련하여 저탄소 녹색마을을 조 성하고, 농가주택의 난방용으로 목재펠릿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하였다. 또한 농업용 저수지를 활용하여 소수력 발전사업 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김강섭 외(2008)는 농촌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과제로 에 너지 절약형 시설 보급을 제안하였다.

주택 구조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연구에는 이광노(1977)의 농촌 주택의 낙후성 개선에 관한 연구, 농촌 표준주택(25평형)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을 시 뮬레이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대안 연구(임경업 외 2009) 등이 있다.

3.4. 농업 ․농촌 에너지 순환형 마을 관련 연구

김연중 외(2011)는 정부 및 민간 주도 에너지 자립마을의 국내외 사례를 정리하였다. 또한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발표한 전국 시도읍면별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광, 태양열, 수력, 풍력, 지열, 바이오에너지의 공급 잠재량을 계측하였다. 계측된 공급잠재량을 통해 농산부산물이 많은 지역, 임산부산 물이 많은 지역, 축산폐기물이 많은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에 맞는 에너지 이용시스템도 제시하였다.

남상운․김대식(2008)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농촌마을 정비방안 을 모색하고자 대표적인 유형으로 3개 지역을 선정하였다. 3개 농촌마을은 금산군 진산면, 당진군 우강면, 당진군 합덕읍이다. 이 마을들을 대상으로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에너지 자원을 분석하고 태양광 발전량과 태양열 온수 생산량을 예측하여 농촌마을의 에너지 사용실태와 비교하였다.

김지성(2007)은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기술현황과 금산군 진산면, 당진 군 우강면, 당진군 합덕읍의 3개 마을에 에너지 사용 현황을 실증 분석하 고, 대상 마을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각각 설정 하여 시나리오별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박순철(2008)은 바이오에너지 국내외 개발현황과 농촌 적용실태(그린 빌 리지사업, 시범 및 일반 보급사업, 시설원예 태양열, 지열, 땔감, 난방시설, 축산분뇨 메탄가스화, 바이오작물)를 정리하였다.

김강섭 외(2008)는 에너지 자립마을 조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실 태 및 성과를 살펴보고, 에너지 절약형 시설 보급의 필요성과 기본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2008년까지 수행된 중앙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 련 정책과 지방정부와 공공기관의 노력을 살펴보고,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 급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서선재(2010)는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별 횡단면자료와 2004~

2007년의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과 재정능력 요인 들이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과 보조금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린홈 보급사업의 1,000가구당 보조금 지급은 유의미한 긍정

서론 7

적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변수들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보조금 배분결정은 정치․제도적 요인의 영향력이 크 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석태문(2010)은 경상북도의 농작물 재배지역과 다양한 바이오매스 자원 을 근거로 시설원예형, 경축복합형, 과수경종형의 3가지 녹색농업타운 유 형을 제시하였다.

김효진(2010)은 탄소순환마을 시험대상지인 경상북도 봉화군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수요를 분석하여 이 지역 산림 흡수원과 비교분석하 였다.

3.5. 선행연구와 차별성

지금까지 농업부문 에너지와 관련된 연구들은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시설원예 분야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도입방안, 시설원예의 에너지 절감시 설 보급 및 효과, 지역 특성에 맞는 순환농업시스템 구축, 정부 및 민간 주 도의 에너지 자립마을, 주택 에너지 절감 방안 등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농업경영을 하면서 이용하고 있는 모든 에너지를 대상으로 하 는 것이 특징이다. 에너지원별로 어디에 얼마나 이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 고 에너지 절감 방안 및 화석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정책방안 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농업부문뿐만아니라 농촌 생활에너지 부 문까지 확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