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4. 선행연구의 고찰

이벤트분야의 기존 연구는 대부분 거시적 분야에 편중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이벤트와 관련이 큰 호텔 또는 컨벤션, 광고, 방송 등의 미시적 연구를 참조하게 되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강진형(1999) - ‘레포츠 리조트 종사자 직무만족을 통한 내부마케팅 방안’

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 및 강원 권에 있는 리조트에 있는 종사자들의 직무만 족도를 조사했는데 적합한 업무분위기 및 동기부여, 업무의 공정성 및 보상, 긍 정적 업무환경를 독립변인으로 볼 때 성별, 결혼여부, 연령별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의 경우 업무분위기와 동기부여, 공정성과 보상 등을 통해 직무만족이 나타 나고 있었으며, 성별 특성에서도 업무의 공정성 및 보상을 통해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 최재포(1992) - ‘호텔판촉부서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전체적인 직무만족도가 보통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요인으로는 임금이 다

른 직업에 비해 낮고 승급자체에도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으로 볼 때 남성보다 여성의 만족이 높았으며 호텔관련이 전공일수록 높았으나, 입사 한지 3-6년 정도 된 집단이 가장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오창훈(2005) - ‘호텔식음료부서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현 연구’에서 허즈 버그의 2요인 이론을 적용하여 근무업장, 성별, 규모의 특성과 동기부여요인, 작 업환경요인, 이직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전반적 직무만족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동기부여요인중 하위요인에서 특1급은 직무자체, 특2급은 급여, 관광1-2급은 승 진부분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작업환경 요인중 하위요인에서 특1급은 복리후생, 특2급은 직무환경, 관 광1-2급은 리더쉽과 동료관계부분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성별에서는 전반 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근무업장 중 커피숖, 레스토랑, 연회 장인 경우 연회장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 광고계 동향(2005.10) - 총 21명의 CF프로덕션 광고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CF프로덕션 광고인 직장만족도 조사’에서 타 업종 직무와 연봉수준과 사회기여 도, 자부심, 전문성, 자율성을 비교하였을 경우 이들은 전 부분에서 보통으로 여 기고 있었고, 사회기여도를 가장 높은 부분으로 보았고 자율성을 가장 낮은 부분 으로 보았다. 직무선택 동기는‘ 일이 좋아서’와 ‘창의적인 업무에 대한 선호’가 가 장 많은 응답을 받아 일에 대한 흥미와 제미, 창조성에 대한 평가가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또한 21명 중 16명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고 있다고 하였다.

● 박재관(2004) - ‘이벤트업계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관한 연구’

에서 ‘각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 는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직무만족 및 이직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를 인구사회학 적변수, 근무환경의 변수, 직무특성변수, 개인특성변수로 분류하였다.

조사도구로 Peter와 Steers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독립 변수를 측정하는 부분에서는 업무환경, 임금, 복리후생, 승진, 기술의 다양성, 직 무의 정체성, 직무의 중요성, 성취욕구 등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이 되었다.

또한 종속변수는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으로 구성되었으며, 직무만족은 별도의 문항없이 독립변수의 응답에 의해 결정을 하였다.

설문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사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이벤트 팀 종사

자 총 1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개념타당성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각 요인들 분석을 위해 피어슨 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무환경특성으로 이벤트업계 종사자들이 소속회사의 복리후생제도 및 승진이나 교욱의 기회 등에 만족도가 다소 낮았으며, 직무특성상으로는 만족 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적특성으로 내적통제가 가장 높아 종사자들이 자신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감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이벤트회사 종사자 중 학력이 높고 미혼일수록 이직성 향이 강하며 주요요인은 타 전문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수준의 정도 라고 하였다. 결론에서는 종사자들의 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교육 및 연수에 적극 적인 참여 유도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통합된 보수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종사자들의 직무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업무의 고유능력을 지정하여 직 무의 중요도를 높이고 다양한 전문기술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줘야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특성변수와 관련하여 종사자들의 복리후생 및 정확한 업 무분장을 통한 자율성과 책임성을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하였다.

● 홍성용(2005) - ‘이벤트 PD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에서 ERG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이벤트PD들은 직무만족에 영 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하위욕구인 존재욕구에서 봉급 및 수당, 경제적 안정 성을 들었고 이것은 회사의 구조적 영세성과 이벤트 PD들이 대부분 연령층이 낮 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관계욕구에서는 소속감과 사회관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꼽혔으며 상위욕구인 성장욕구에서는 보람 등 자아실현 욕구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 김은성(2001) - ‘ 제작 프로듀서의 업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는데 이 연구는 지상파 TV와 케 이블 TV를 비교 측정 한 결과 제작비용이나 시설 면에서는 지상파 TV에 뒤지 는 케이블 TV프로듀서들이 TV 프로그램을 기획․제작 시 자율성이 보장되고 자기 개발을 위한 시간 등이 많을 경우 오히려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조직의 유연성을 인하여 창조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고 따라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경 우 조직 규모와 무관하게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전근호(2006) - ‘이벤트 기획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서울의 이벤트기획사에 근무하는 종사자 총 1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이벤트기획가들의 인구통계 학적 일반적 특징,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 직무만족의 요인, 근무환경 및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분석하면서 이벤트기획가 스스로 자신들의 위상을 어떻 게 생각하고 있는 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일반적 분석으로 성별, 연령별, 교육 수준별, 근무경력별, 직위, 급여수준, 이직 경험, 이직횟수, 직업선택 동기, 작업시간, 야근횟수, 지방행사 관련으로 총 12항 목이었으며, 직무태도로는 창의적이고 예술적 감각 여부, 문화산업 발전에 역할 여부, 회사발전에 기여 여부, 이벤트기획가직의 도전여부 등 총 4항목이었다.

또한 근무 환경 분석의 요인으로 급여, 인사관리․ 승진, 성과급, 회사경영방 침, 재충전․재교육, 업무량을 들었으며 커뮤니케이션 환경 분석 요인으로 팀 내 의 기획회의, 자기개발, 상사와의 관계, 팀원간 커뮤니케이션, 회사동료간 커뮤니 케이션을 들었다.

그 결과 남성이 70%로 여성보다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근무경력은 5-10 년차가 36.2%로 가장 많은 분포와 동기분석결과 적성이 맞아서가 가장 높았다.

또한 이벤트를 수행하는데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감각을 중요시 여겼으며 이벤 트기획가의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팀원 간의 커뮤니케이 션을 가장 크게 보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팀,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과 성과급 지급이 직무만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어 그에 따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위 선행논문 중 본 논문과 관련이 깊은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2-8>와 같다.

연구자 연구주제 연구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