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혁신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데 참고가 될 만한 최근의 주요 선행연 구로서 다음의 보고서와 논문이 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5), 2006년도 국가 균형발전사업 예산신청(안) 평가보고서, 산업연구원(2005), 지역혁신기관 역할분 담과 연계・효율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05), 지역혁신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역혁신사업의 효과성 제고방안, 권영섭외(2005), 지역특성화 발전을 위한 혁신 클러스터 육성방안 연구, 이성근・박상철・이관률(2003), 한국 국가지원 지역혁신

사업의 성과요인분석 등이 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을 보면, 지금까지 지방도시 관련 연구는 많이 이 루어졌으나 지역혁신사업 차원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있 다. 선행연구는 개별사업 혹은 주요한 몇 개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도출하거 나 지역의 혁신지원기관간 연계 및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는 과제였다. 국가균형 발전특별회계내 대부분의 사업이 특정지역에 입지하여 사업이 추진되고 있고, 입지지역의 특성 및 혁신역량이 사업의 성패에 중요한 영향요인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도시규모나 입지지역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이 사업이 선정・추진되 고 있다.

더욱이 지방도시를 규모와 혁신잠재력 차원에서 구분하여 지방도시들이 1단 계 상향 발전할 수 있고, 지역혁신사업도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서로 윈-윈 할 수 있도록 지역혁신사업의 효율적 추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유사하 게 이루어진 연구는 대부분 지역혁신기관 역할분담과 연계・효율화 방안(산업연 구원 2005) 및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국가균형발전사업을 평가한 정도이다 (2005).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05)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본 연구와 연구대상이 같으나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연구의 공간적 단위가 다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05년 연구와 지역혁신사업 을 대상으로 연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위 연구가 전국적 차원에서 각 부처 지역혁신사업들을 대상으로 관계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인식과 효율성 을 조사한 뒤 효율성 제고방안을 도출한데 비해 본 연구는 지역에서 혁신이 빈번 히 창출되고 이것이 지방도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공간단위별 특히 도시유형별, 주체별로 효율적인 추진방안이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방안 도 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 분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내용

본 연구에서는 지방도시를 규모별로 구분하고 각 규모별로 지방도시들이 현 단계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도록 지역혁신사업들을 신규추진・유기적 연계・통합토록 유도함으로써 지역혁신사업들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방 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 도출을 목표로 한 다. 첫째, 지방도시들이 각 도시의 혁신잠재력과 지역여건에 맞는 지역혁신사업 들을 채택하여 바람직한 사업추진체계를 갖추고 도시의 혁신성과 경쟁력을 강화 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둘째,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상의 지역혁신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단위 특히 도시유 형별, 주체별 효율화 방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