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_생활문화예술동아리의 역할

1) 개인의 행복감 향상

생활문화예술동아리의 기능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개인적 차원에서 생활문화예술은 행복도와 자존감 등을 높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다. 불안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현대사회 구성원들이 삶의 공간에서 예술을 체험함으로 써 자기결정력, 창조성, 자율적인 의사소통력이 높아진다(민인철, 2013). 호기심에 기반 한 창조적 문화행위는 저항과 구원을 통해 자기만의 내면을 통합하고 자아를 실현하게 한다(조현성, 2012). 이는 개인의 행복도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

한국은 경제적, 사회적 발전 정도에 비하여 국민들이 느끼고 있는 행복감이 매우 낮다.

OECD 34개 국가들의 삶의 질과 연관된 19개 지표의 가중 합계인 ‘행복지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10점 만점에 4.20점으로 32위에 올라 최하위권에 위치하고 있다(이내찬, 2012).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OECD 국가 청소년들의 행복도를 비교하였는데, OECD 평 균 100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일반 청소년의 행복도가 74점인 반면, 동아리 활동을 하 는 청소년들의 행복도는 107점으로 그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자료: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초중고 동아리 활동과 행복지수의 국제 비교 연구결과」.

[그림 2-5]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 여부와 행복도 비교

삼성경제연구소(2013)의 연구에서도 동아리 활동이 개인의 행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 을 밝혔다. 즉, 동아리에 참여하고 있는 직장인의 행복도는 61점으로 그렇지 않은 직장인 의 행복도 52점에 비해 9점이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 를 맺고 즐거움을 느끼는 과정에서 행복감이 상승하는 것이다.

출처: 삼성경제연구소, 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SERI 연구보고서, p.38.

[그림 2-6] 직장인의 동호회 가입 여부에 따른 행복도 차이

이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생활만족이 높다는 활동이론(activity theory)으로 설명 가능하다. GDP나 개인의 소득증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 인데 비해 사회자본이나 사회적 관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더 유의미하다는 것이 최근 사회학적 연구의 성과이다(남은영 등, 2012: 8~9). 「여가활동실태조사」를 분석하 여 개인이 참여하는 여가유형에 따라 여가만족 및 행복도에 차이가 있음을 밝힌 이명우 외 (2016: 280)의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문화예술 관람이나 스포츠 관람과 같은 수동적 인 여가활동을 한 사람보다 문화예술 참여, 스포츠 참여, 취미․오락 활동과 같이 활동적이 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한 사람의 여가만족도와 행복도가 특히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 사회통합에 기여

문화예술의 속성인 표현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이웃과의 공감과 소통을 가능케 한다.

문화예술에 의해 이루어진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주민들은 커뮤니티 현안에 대한 정보획

득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과 참여의식도 높아질 수 있다. 문화예술 은 타인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해 주고, 공동체적 연대감을 체험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공동체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자본 형성의 환경을 마련해 줄 수 있다(한상 우·이은진, 2011). 다른 이들과의 상호작용은 공동체의식 형성의 기반이 되며, 동아리 활 동을 통한 자긍심과 자존감 제고는 다른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동력이 된다.

공통의 관심분야를 가진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의 활동을 통해 공동체적 유대관계가 깊 어지고, 이는 세대 간 격차를 넘어선 교감이 가능하게 하여 사회의 결속력을 높인다. 성남 시 문화클럽 조성에 대한 연구결과, 문화클럽 활성화 사업을 통해 교류관계 형성 및 소통 관계가 구축되었음이 밝혀졌다(윤소영, 2010).

사람들이 서로 어울리고 소통하며 사회적 참여와 상호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여가활동을 관계형 여가라고 한다. 관계형 여가 중에서도 특히 사회공헌형 여가는 사적인 즐거움이나 재미를 추구하는 것을 넘어서, 사회공헌적인 가치와 내적 보람을 찾기 위한 활동이며, 대 표적인 것이 자원봉사활동이다. 남은영 등(2012)은 여가유형과 자원봉사활동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가운데 문화예술 참여를 즐기는 사람들, 그리고 다양한 동호회활동과 사회관계 활동에 적극적인 사람들에게서 자원봉사 참여가 활발한 것을 밝혀냈다. 즉, 문화예술 참 여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 40%가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다양한 여가활동 참여자들 중에서 자원봉사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문화예술관람(26.4%), 스포츠 참여활동(22.5%)을 하는 사람들로서, 이 사람들이 관광이나 취미오락활동을 즐기는 사 람에 비하여 자원봉사활동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일수록 자원봉사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석하는 동아리의 수가 많고 모임에 자 주 참석할수록 자원봉사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다4).

윤소영(2010)은 Linda Heuser(2005)와 Gray Crawford(2003)의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개인의 자발적 여가활동이 사회공동체 활동으로 확대되고 지속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즉, 어떤 활동에 흥미를 가지게 되면 그 활동에 몰입하게 되고, 정기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적극성을 가지게 되며, 마지막으로 그 분야에서 조직적 역할을 맡음으로써 전문성을 띠게

4)남은영․이재열․김민혜, 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6(5), pp.21~27.

되고 이를 통해 사회공동체를 위한 활동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5). 이러한 연구들은 생활문화예술동아리 참여가 단순히 사적인 만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활동과 나눔으로 이어지며, 결국 사회공동체 형성과 사회통합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림 2-7] 생활문화예술동아리 참여의 효과

3) 예술생태계 선순환

시민들의 생활 속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원은 전문 문화예술단체 성장의 토양을 가꾸고 저변을 확대하는 밑거름이 되어 예술생태계 선순환(창작·매개·수용)을 이끄는 역 할을 하게 된다. 생활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수요가 확 산되고, 전문 문화예술단체와 아마추어 문화예술모임이 서로 연계된 사업이 다양하게 이 루어질 수 있다(민인철, 2013: 10~11). 특히 생활문화예술동아리들은 마니아 관객층이 되어 전문예술작품을 지속적으로 소비할 수 있으며, 전문가에게 배우고자 하는 욕구가 높다. 이는 전문예술가의 일자리와 직접 연계가 되어 활동의 장이 확대되는 효과를 낳는 다. 전문예술가와 생활문화예술동아리들의 상생관계가 구축되는 것이다. 한편, 전문예술 가와 생활문화예술동아리의 연계가 지역의 문화공동체 형성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매개

5)윤소영, 2010, 「동호회 활동 실태 및 활성화 방안-시설에 기반한 문화예술동호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20~26.

자 또는 기획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생활문화예술동아리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매개자는 동아리 활동 중 홍보, 기획, 행정, 교육 등 동아리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부분에 대해 동아리 참여자들이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아리 네트워크가 자발성과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동아리 네트워크 내 시민리더를 발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동아리 네트워크가 지역사회와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지역공동체 예술 활동을 기획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2-8] 생활문화예술동아리와 예술생태계의 선순환

다른 한편, 생활문화예술동아리는 공간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다. 따라서 생활문화예술 동아리 활성화는 문화시설의 활발한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지역문화시설에 대한 주요한 비판 중 하나는 시설(인프라)은 갖추어져 있는데, 콘텐츠가 부족하고 실제 이용자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생활문화예술동아리의 활성화는 이와 같은 문화시설의 프로그램을 다양 화하고 적극적 참여자 발굴을 촉진한다는 의미를 지닌다(조현성, 2012: 10~11). 단지 지 역문화시설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생활문화예술동아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공 유휴공 간 및 민간 공간들을 적극 발굴할 필요도 있는데, 이는 동아리의 활동 형태와 욕구가 매 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생활밀착형 문화공간의 확대에 기여하여 지역 예 술생태계가 더욱 활발히 작용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