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업 수행상의 문제점 및 장애 요인

문서에서 가족보건사업 활성화 방안 (페이지 150-154)

가. 민간 의료기관의 협조 부진

민간 의료기관의 접종자 명단을 본 의료원에서 인쇄한 엽서를 이용 하여 통보해 주도록 요청하였으나 지연 통보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예방 접종 안내에 차질이 생겼으며 통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대상자 관 리가 잘되지 않았다.

냐. 주민의 이용 편라성과 읍·면 사업의 위축

대상자가 작은 읍·면의 예방접종과 지역적으로 진료부가 교통이 펀 러한 지역의 대상자들이 진료부를 이용하면서 읍·면 사업이 위축되었 다. 대표적으로 BCG 예방접종은 대상자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 과적으로 판단되어 진료부로 통일하였다. 그러나 BCG 접종 후에 계속 예방접종을 진료부에 와서 접종합으로 인하여 읍·면의 사업이 위축되어 읍·면 단위 사업의 시작을 빨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명가되었다.

다. 약품의 조달 문제

예방접종 약품은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부족하게 되었으며, 읍·면간 의 약품 조정과 전체 불량 조절이 필요하여 도의 추가 배정 빛 전배를 요구하였으며, 자비부담 접종에 대한 처리 방안이 번거로워 주민에게 약품을 사오도록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튜베르쿨린 반웅검사 약은 시중에서 구할 수 없어서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였다.

라. 보건지소의 보건사업 수용 태도의 문채점

예방접종에 대한 사·후처리 및 신체검사 퉁에 의사가 참여하면서 진 찰료 문제가 거론되었다. 일반의원에서 비보험처리하고 있는 현실에서 영유아 관리에 관한 모든 서비스가 보건지소의 수입과 무관하게 되어 관심이 적었다. 특히 보건지소로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선별검사 항목(헤모그로빈)의 검사항목은 미처 보건지소에 검사장비가 부혹한 까 닭에 검진을 할 수 없었다.

마. 목표량 위주 사업관라체계와 상충

정부의 목표량 빛 국고보조에 의한 사업에만 관심이 주어지고 그와 무관하거나 예산이 없는 경우 사업을 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사업에 대 한 인식이 부족한 탓으로 보인다. 지방 보건행정 담당자들의 자세도 문 제가 되며 이러한 사업의 예산 확보가 군부담이 가중되는 방향이나 그 총액은 그리 크지 않아 군당국의 설득 작업이 모자란 것으로 보였다.

바. 사업의 평가와 감독, 보상체계의 미벼

사업의 감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졌다면 보다 정확한 명가를 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군단위에서 자체 사업을 명가하기에는 능력 이 따라가지 못하였다. 이와 아울러 충분히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못 하고 사업 지시 혹은 잘못에 대한 직접적인 문책은 불가능한 까닭에 강

력한 지도력을 발휘하기가 힘들었다.

8.

교훈

가. 군단위의 기획의 중요성

일련의 사업과정에서 군단위의 보건사업에 있어서 지역관리 (district

health management) 란 개넘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보건사업 영역은 항

상 민간의료기관의 경제적, 지리적 제한이 있는 계층에 국한한다는 개 념이 지배척이었다. 영유아 관리사업도 같은 개념으로 민간의료기관의 역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민간의료기관의 예방 접종실적을 받아 정리하고 전체 군지역의 예방접종 상태를 파악하는 과 정에서 영유아 관리라는 것이 지역 전체를 관리한다는 개념으로 전환되 어야 함을 확신할 수 있었으며 접종건수보다 접종완료에 춧점이 두어져 개인별 관리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지역관리란 개념 이 본질적인 보건소의 역할로 보이며 이를 위한 전산화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나. 군단위 교육 및 훈련의 중요성

보건사업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군단위에서 교육과 훈련이 중요하다 는 것을 느꼈다. 이러한 교육과 훈련은 일반 공무원이 보건소의 계장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더욱 필요하며 공중보건의사도 마찬가지로 영유아에 대한 임상지식과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의료원에서는 이러한 것을 위해 조직적인 방법을 접근하였다. 공중보건의 집담회 혹 은 영유아 관리지침(예- Infant Acute Respiratory Infection) 을 개발 하여 보급하였고 이러한 업무 담당율 보건교육계로 일원화하였다. 또한 직원의 보수교육에 관한 총괄업무를 맡기어 교육과정, 교육방법을 개 발, 시행하도록 유도하였다.

다. 보건지소 및 공중보건의 역활의 제고가 필수적

농·어촌 지역의 보건의료의 중요 인력인 공중보건의사를 단순이 진 료만 잘하고 자리만 지키면 된다는 인식하에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하 기 힘들다. 보건지소가 보건소의 하부 조직화되면서 보건지소장의 역할 로 영유아관리를 책입지고 이들에 대한 보건사업 요원의 임무률 부여하 지 않으면 이러한 서비스 위주의 사업은 실행되기 어렵다.

〈부록 VI-l)

문서에서 가족보건사업 활성화 방안 (페이지 150-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