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계적 분석

1. 분석방법

가. 데이터

분석 대상이 된 자료는 2013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 석(Ⅳ): 중학교’ 조사 자료이다(남중지영 외, 2013). 이 조사 자료를 사용한 이유는 학생들 의 객관적인 학업성취도가 측정되었고 학습 관련 변인들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 이다. 또한 다양한 학교 경험 및 특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학업 유형 분석 이후 추가적인 심층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 연구 목적에 맞게 문항이 개발된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활용하고자 의도한 것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문항이 없어 그 것과 유사한 것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도 있다.

학생 학업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의견은 기존 자료를 통해 드러내기가 어려워 학생 데이터 분석과 면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별도로 수행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나. 분석 방법 1) 학업 유형 범주화

학생들의 학업 유형을 나누는 방법으로는 준거 변인을 기계적으로 상, 하 또는 상, 중, 하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편리하고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준점 설정 이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 너무 많은 범주가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준거변인의 관계에 따라서 집단을 나누었다. 학생 들의 학업 유형을 나누기 위해서 성취도와 학업 참여를 고려하였다. 학업참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업태도, 학습의욕에 해당될 만한 변인을 활용하였다. 성취도 변인과 위의 두 변 인을 고려한 학업 참여를 준거로서 활용하였다. 학생들의 학업과 관련하여 성취도는 결과 의 측면을 나타내고, 학업 참여는 과정의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앞 장의 선행 연구에서 검토하였듯이 학업 참여는 인지적, 행위적, 심리적 차원 등 다차원적 요소를 지닌다. 인지 적 참여는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이라 여기에서는 행위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 두 가지를 학업 참여 변인으로 삼았다. 즉, 학업 참여 중 수업태도는 행동과 태도의 측면을, 학습의욕은 심리적 동기 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

군집분석 방법으로는 비위계적 K-평균 군집화 방법을 실시하였다. 군집수의 결정은 이후 분석의 적정성을 고려하여 3~5개의 범위 내에서 행위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경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군집 간에 실제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량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2) 학업 유형과 학생 특성의 관계 분석

학생들의 학업 유형에 따라 학생 배경과 특성, 학교경험 등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 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 배경, 특성, 학교경험 등의 변인에 대해서 F검증 또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은 군집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학업 유형이다.

3) 학업 유형과 학교 특성의 관계 분석

학교 수준의 특성 변인들과 학생들의 학업 유형 비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친구 관계, 교사-학생 관계, 교사 특성(열의, 협력 등), 학교의 교육 강조점(성적강조, 인성강조) 등 과 같은 제반 학교의 특성은 학생들의 학업 유형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교별로 그 학교의 주된 학업 유형을 선정하였다. 분류 기준은 전체 평균값과 비교한 상대적인 비율을 사용하였다. 즉 비율을 표준화하였을 때 가장 높은 비 율을 보이는 유형을 그 학교의 주된 학업 유형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절대 비율을 사용할 경우 학생 수준의 비율을 거의 그대로 반영하게 되고 학업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요 인이 학교특성으로 반영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렇게 산출된 학교유형에 따라서 학교 특성이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F검증 또는 교차분석). 그 다음으로는 학교의 학업 유형별 비율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학교수준 의 특성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 학생의 학업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기에서는 앞서 살펴본 학생 수준 변인과 학교 수준 변인이 학생들의 학업 유형을 구분 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4개 범주로

된 학업 유형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학생 및 학교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일반화된 다 층모형(Generalized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사용하였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인은 기준 유형에 대비하여 비교유형에 속하게 될 가능성이다. 예를 들어, 기준유형을 A집단이라고 하고 비교하는 유형을 B집단이라고 한다면, 기준유형(A)에 속하게 될 확률에 비추어 비교하려는 유형(B)에 속하게 될 확률의 비(odds ratio: P(B)/

P(A))를 자연로그 값으로 전환한 것이다. 따라서 이 분석은 특정 유형에 속하게 될 확률 이 학생과 학교특성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된다.

학교 수준 변인 중 사회경제적 배경(ses), 친구관계, 학생교사 관계 등 3개 변인은 학생 수준 변인을 학교별로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이 변인들은 학생수준에서는 집단 평균을 중 심으로 조정하였다(group mean centering).

5) 교사의 학생 학업 유형에 대한 인식 및 대응

학생들의 학업 유형 실태와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근무하는 학 교에서 학생들의 학업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학교의 주된 학 업 유형에 따라서 수업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F검증 또는 교차분석).

교사가 인식한 재직 학교의 주된 학업 유형은 교사별 응답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제시 된 유형으로 하였다. 다만, 먼저 교사별로 각 유형별 비율의 합이 79% 이하이거나 120%

가 초과되는 사례는 제외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 비율이 동일한 경우도 어떤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인지 판단하기가 어려워 제외하였다. 이런 이유로 당초 1,805명이 조사되었으 나 최종 분석에는 1,344명이 포함되었다. 단, 기술통계나 주된 학업 유형을 사용하지 않 는 분석에서는 전체 사례수가 모두 사용되었다.

다. 변인 구성

1) 학업 유형 구분을 위한 준거 변인

학생들의 학업 유형을 범주화하기 위해서 학업성취도와 수업태도, 학업의욕(학교만족) 등 학업 참여를 드러내는 변인을 사용하였다. 세 변인을 구성한 문항 내용을 제시하면 다 음과 같다.

학업성취도는 국어, 영어, 수학 점수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학업 참여의 행위적 차원을 드러내는 수업태도 변인은 국어, 영어, 수학 수업시간의 태 도와 수업 집중도를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수업시간의 태도에 사용된 문항은 ‘수업시간에 질문을 많이 한다’, ‘수업시간에 딴 생각을 하지 않고 열심히 듣는다’등 2개 문항이고, 수 업 집중도는 ‘수업시간 중 집중해서 공부하는 시간 정도’를 10단위의 5개 급간(10분 이하,

…, 41분 이상)으로 질문한 문항이다. 이들 문항은 국어, 영어, 수학 세 과목별로 질문되었 다. 9개 문항의 신뢰도(Cronbach α)는 .875로 나타났다.

학업 참여의 심리적 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는 학업의욕은 학교만족도 문항 중 비교적 학업 의욕과 내용적으로 유사한 2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문항 은 ‘학교에 다니고 싶지 않다’, ‘학교생활이 따분하다’, ‘학교를 계속 다니는 것이 괴롭다’

등이다. 이 변인의 신뢰도 값은 .855로 나타났다.

세 개의 준거 변인들은 각 변인들이 측정된 척도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서 평균이 0이 고 표준편차가 1인 Z점수로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2) 학생 배경 및 특성

학생의 배경과 특성은 크게 배경, 학습태도, 심리정서적 특성, 일상생활, 학교경험 등 으로 구성하였다.

가) 학생의 배경

학생 배경으로는 성별, 지역, 가정 배경을 포함하였다. 가정 배경에는 가정의 소득, 부 모와의 관계 등이 검토되었다.

나) 학습 성향과 전략

학생들의 학업 유형은 학생들이 공부하는 성향이나 방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여기 에서는 학업 유형의 실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향과 학 습전략의 측면을 검토하였다.

학습 성향에서는 협력적 태도와 경쟁적 태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협력적 학습 성 향은 ‘다른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기를 좋아한다’, ‘다른 친구들이 공부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좋아한다’ 등의 문항을 검토하였고, 경쟁적 학습 성향은 ‘다른 친구들보다 앞서려고 노력한다’, ‘다른 친구들보다 잘 하려고 할 때 공부가 더 잘 된다’ 등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학습전략은 통제전략, 암기전략, 동화전략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변인은 몇몇 문항을 통합하여 생성된 변인이다.

통제전략은 배워야 할 내용을 파악하고 자신의 이해 정도를 확인하면서 학습하는 전략 이다. 통제전략에는 ‘우선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한다’, ‘배운 것을 기억 하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아직 확실히 이해하지 못한 내용이 있는지 파악하려고 노력한 다’, ‘가장 중요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있으면 확 실히 이해하기 위해 다른 정보를 찾아본다’ 등의 문항이 사용되었다(신뢰도= .918).

암기전략은 단순히 암기하는 것을 주요 전략으로 삼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모든 내용을 다 외우려고 애쓴다’, ‘가능한 많은 것을 암기한다’, ‘새로운 내용이 있으면 암송할 수 있을

암기전략은 단순히 암기하는 것을 주요 전략으로 삼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모든 내용을 다 외우려고 애쓴다’, ‘가능한 많은 것을 암기한다’, ‘새로운 내용이 있으면 암송할 수 있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