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V. 성폭력 피해 아동의 특성

7. 분석결과

가. 성폭력 피해아동의 특징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일반화된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성폭력 피해경험과 가정환경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해 아동은 비피해아동에 비해 가정환경에서 한부모 가정에서 양육 중에 있거 나 가계의 경제적 지위가 낮고 일반적인 가계부양자로 추측할 수 있는 부 친의 경제활동 종사률이 낮은 등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요소에 노출되어있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가정환경적 변인의 경우 대부분의 항목 에서 피해아동과 비피해아동의 구성비는 1~4%의 미미한 수준에서 그 차이 를 노정시키고 있었으나, 전체 4685명의 응답아동에서 성폭력 피해아동이 5%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체 모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로 나타나 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성폭력 피해경험 아동의 심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피해아동 은 비피해아동에 비해 대인관계에서 더 부정적인 태도가 나타나고 우울도 가 높으며 공격성 역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교하여 볼 때 심리적 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의 가족관계에서의 특징에서도 이러한 부정적 인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은 비피 해아동에 비해 부모와의 빈번한 의사소통 정도가 낮은 편이고 부모나 가정 으로부터 충분한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방임되고 있다는 점이 나타났다. 또 한 더욱 심각하게는, 성폭력 피해아동일 경우 일반아동에 비해 부모로부터 의 폭력에 노출되어있는 경우가 높았다. 이를 통해 부모와 가정으로부터 안 정된 정서적 유착관계와 충분한 돌봄을 유지하고 있지 못하는 아동일수록 성폭력 피해에 더 취약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93

5

성폭력 피해아동의 지역안전의식을 살펴보면 피해아동은 비피해아동에 비해 현재 거주 중인 지역을 더 위험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학교와 집 사이의 통학길에서도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이 더 안전에 대한 위 협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혼자 있을 때 낯선 외부인이 문을 열어달라고 하는 등의 접촉을 경험한 경우도 피해아동의 비율이 더 높았다. 인적이 드문 장소 등이나 공중화장실 등 위험공간에 머물었던 경험 역시 피해아동에게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아동은 대 체로 거주지역, 주거환경, 등하교길 등에서 공간적으로 안전에 취약한 환경 에 놓여져 있다는 점이 간접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성폭력 피해아동이 공간적 혹은 행동적으로 더 위험에 취 약한 환경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성폭력에 대한 예방안전교육을 이수받 은 경험은 비피해아동에 비해 더 저조한 편으로 드러났다. 즉, 피해아동은 특히 가정으로부터 성폭력 피해시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낮 게 나타났으며 그 외 학교로부터의 교육이나 아동안전지킴이집과 같은 제 도적 대응에 대해서도 잘 인지하고 있지 못한 편이었다.

종합해보면,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은 비피해아동에 비해 개인심리 적 특징, 가정환경 및 가족관계, 거주공간의 지역적 안전성, 위험대처를 위 한 교육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부정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피해아동은 개인심리적으로 위기를 경험하고 가정환경적으로 잘 보호받 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거주지역의 공간적 위험성도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 는데, 특히 이러한 주변환경의 높은 위험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와 가정 등지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의 안전교육을 습득하고 있다는 점이 크 게 문제시되는 부분이라 하겠다.

나. 성폭력 피해아동의 가해경험

아동기에 있어서 폭력의 피해경험이 특히 심각한 문제가 되는 이유는 이 러한 폭력피해가 피해자에게 스스로 내면화되고 가해자가 되어 이러한 폭

94

5

력피해를 다시 되물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폭력의 내면화 문제가 성폭력 피해아동에게서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성 폭력의 피해를 한 가지라도 경험한 아동일 경우 한번도 피해를 입은 적 없 는 아동에 비해 모든 성폭력 유형에 있어서 높은 가해경험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성폭력 피해아동은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다양한 유형의 성폭력 가해경험을 중첩하고 있을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폭력의 피 해와 가해는 항상 밀접한 상관성을 갖고 있으며, 한 가지 유형의 폭력에 노출될 경우 여러 종류의 폭력피해경험과 가해경험들이 중첩적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동성폭력은 단일한 경험이 아 니라 폭력에 취약한 환경으로부터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이 중층적으로 나타 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성폭력 피해아동이 또 다른 성폭력 가해자나 성폭력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보호조치와 예방교육을 할 수 있는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K I H A S

06

A

지역사회 아동안전 관련

문제점 및 정책욕구

97

6

VI. 지역사회 아동안전 관련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