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7-90)

I. 서 론

Ⅴ. 실증분석

5.1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정에 앞서 가설검정에 필요한 각 구성개념들이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측정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가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가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신뢰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반복하여 측정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같은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항목을 이용하는 경우 측정도구 내의 항목별 평균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신뢰성을 확인하려는 것이 내적 일관성 검정법이다. 일반적으로 신뢰성을 저해하는 항목을 찾아내 측정도구에서 제외시 킴으로써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Cronbach's Alpha계수 를 이용한다. Cronbach's Alpha에 의한 신뢰성 검정은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 방법으로 측정수단들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타당성은 측정하려고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 가의 문제이다. 즉, 특정개념이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측정도구가 그 속성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은 여러 변수들의 저변에 존재하는 하나의 혹은 여러 개의 요인들을 찾아내는 통계적 기법으로 여러 개의 변수들을 그 보다 적은 수의 요인으로 정리한다 는 점에서 자료를 축소하고 요약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병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요인으로 묶이지 않거나, 전체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수정된 총 점수와의 상관관계가 낮고 Alpha값을 상당히 개선시키는 항목은 최종분석에서 제외되었다.

5.1.1 변수의 탐색적 요인 및 신뢰성분석

타당성은 그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였는가를 의미하게 된다. 타당성의 평가는 그 방법에 따라 개념 타당성, 기준관련 타당성, 내용 타당성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용 타당성은 특정한 측정도구의 대표성에 관한 개념이며, 기준 관련타당성은 특정 변수간의 통계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개념 타당성은 변수들의 특성 측정과 관련한 것으로서 측정자체의 정확 성에 관련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개념타당성을 검증하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흔히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 간 의 판별타당성과 개념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추출에 있어서는 구해진 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요인의 수를 적절히 줄이 기 위한 주성분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방식을 사용하였고, 요인의 회전으로는 직각회전방식(Varimax)을 선택하였다. 변수에 대한 요인 분석결과는 <표 5-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4개 문항 중 12개(기술적 역량 1,2, 창의적 역량 4, 6, 창업의지 3,4, 창업행동 2,5,7 창업교육 1,3,4.)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22개 문항이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변수의 삭제된 문항은 각 요인별로 적재치(Factor Loading)를 살펴 0.6이상인 변수들만 추출하였는 데, 그 결과 창의적 역량, 기술적 역량, 창업의지, 창업교육, 창업행동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창업가의 창의적 역량을 설명해주는 설명 분산은 16.911%, 기술적 역량을 설명해주는 설명 분산은 13.742%, 창업의지를 설명해주는 설명 분산은 15.392%, 창업교육 요인의 설명 분산은 12.277%으로 도출되었고, 창업행동 요인의 설명 분산은 11.530%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인 누적 분산 설명비율은 69.853%로 나타났다.

또한 도출된 차원들의 내적 신뢰성 검증을 위한 Cronbach's Alpha 분석결과 모든 차원들이 일반적으로 기준값 0.6을 초과함으로써 각 문항에 대한 신뢰성 이 높게 나타났다. 반복 유사한 질문은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구해서 상관관계 가 낮은 값을 제거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ronbach's Alpha 분석결과 창의적 역량은 α=0.931, 기술적 역량은 α=0.8743, 창업의지는 α=0.883, 창 업교육은 α=0.862, 창업행동은 α=0.812로 나타났다.

<표 5-1> 변수의 탐색적 요인 및 신뢰성 분석 창의적

역량 창업의지 기술적

역량 창업교육 창업행동

창의적 역량2 .867 .138 .141 .027 .078

창의적 역량1 .855 .132 .175 .036 .063

창의적 역량3 .820 .189 .147 .106 .146

창의적 역량5 .769 .161 .214 .130 .032

창의적 역량7 .740 .148 .260 .070 .059

창업의지2 .090 .799 .225 .081 .128

창업의지1 .072 .771 .225 .068 .147

창업의지7 .211 .753 .043 .128 .181

창업의지6 .197 .717 .052 .101 .151

창업의지5 .189 .711 .191 .126 .068

기술적 역량4 .178 .132 .871 .056 .049

기술적 역량5 .211 .165 .856 .049 .025

기술적 역량6 .212 .148 .835 .073 -.005

기술적 역량3 .323 .226 .686 .118 .089

창업교육6 .071 .145 .016 .839 .102

창업교육7 .046 .138 .108 .830 -.009

창업교육5 .113 .166 .090 .776 .148

창업교육2 .064 -.018 .038 .723 .181

창업행동2 .091 .095 .078 .160 .871

창업행동1 .001 .016 .074 .156 .842

창업행동3 .130 .371 -.054 .140 .679

창업행동4 .134 .336 .019 .008 .632

고유치 3.721 3.386 3.023 2.701 2.537

설명분산(%) 16.911 15.392 13.742 12.277 11.530

누적분산(%) 16.911 32.303 46.046 58.323 69.853

Cronbach's

Alpha .931 .883 .874 .862 .812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