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실증분석

2. 모형의 적합도 분석

구조방정식모델은 구조모형(이론모형이나 잠재모형)과 측정모형으로 이루어지 며, 이들 모형이 서로간의 관계를 이루어서 서로간의 영향력과 연관성을 하나의 관계식으로 설정되어 분석을 이루는 분석기법이다. 구조방정식 모델은 기존의 다 변량분석기법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데,72) 이는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에 대해 측정오차를 포함시켜 다룰 수 있고, 잠재변수를 포함하는 모델 을 구축할 수 있으며, 각 잠재변수에 대해 하나 또는 다수의 관측변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론이나 모델을 연립방정식으로 설정해 놓고 모수를 동시에 추정 할 수 있으며, 쌍방향 인과관계, 순환적 인과관계, 제약모수의 도입 등 모델의 표 현방법이 다양하고, 동일 자료를 이용하여 축적된 지식과 이론적 바탕 하에서 모 델을 단계적으로 수정, 개량이 용이하다.

제시된 모형의 상관성을 가진 모수가 존재할 경우 이들 간에 공분산을 허용해 줌으로써 분석모형의 자유도 수치는 감소하게 되어 χ2통계량이 감소하게 된다.

AMOS는 이를 위해 수정지수(MI Modification Index)를 제공하며, 본 연구에서 는 다음과 같은 공분산의 허용기준에 따라 내생변수 측정값의 오차항간(e6↔e7, e6↔e8, e11↔e14)에 공분산을 허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원인변수의 측정변수 오차항과 결과변수의 측정변수 오차항간에는 공분 산 허용안한다. 둘째, 측정지표의 오차항과 구조방정식의 오차항간에 공분산 허용 안한다. 셋째,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구조방정식의 오 차항간에도 공분산 허용하지 않는다. 넷째, 한 구성개념과 타구성 개념의 오차항 간에 공분산을 허용하지 않는다.

적합도 지수들은 표본 및 자료가 전부 독립적이고, 모든 관계는 선형적이며, 무작위적이어야 한다는 가정을 충족시켜야 한다. 특히 전체적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절대적합지수(Absolute Fit Measures), 증분적합지수(Incremental Fit Measures) 그리고 간명적합지수(Parsimonious Fit Measures) 등 3가지 유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들 주요 적합도 지수73)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모형의 추정값과 관측값의 차이를 통해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 정도를 알아보는 절대적합지수로는 χ2통계량, GFI(Goodness-of-Fit Index; 기초 부합지수), RMSR(Root Mean Square Residual; 제곱근 평균제곱 잔차),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근사제곱근 평균제곱오차) 등이 포함되며, 이중 χ2은 “모형이 적합하다”는 귀무가설을 채택해야 좋으므로 유 72) 조현철, 구조방정식모델, 도서출판 석정, 2003, p.3.

73) James L. Arbuckle and Werner Wothke, Amos 4.0 User's Guide, SmallWaters Corporation, 1999, pp.395-416.

의수준이 비유의한 값일수록 좋은 모형이다. 즉, 확률값이 0.05보다 크면 5%의 유의수준에서 모델과 관측데이터가 같다고 하는 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고 판단하 며, 모델이 관측데이터에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것이다74). 그러나 표본수가 200개 이상으로 증가하면 χ2검정은 유의한 확률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어 모델이 적 합하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기 쉬우며, 반대로 표본수가 100개 이하로 감소하면 유의하지 않은 확률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어 귀무가설이 기각되지 않기 쉽 다.75) 한편 GFI는 구성한 모델이 표본공분산행렬을 설명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일반적으로 0.90을 기준으로 한다.76)

적합도지수가 권장기준을 완전히 충족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일부 지수들이 권장수준 내에 있다면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수용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χ2 값을 자유도로 나눈 값이 1~2일 때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인정되나, 통상적으로 3보다 작으면 상당히 좋다77)고 할 수 있다.

RMSR은 모델이 설명할 수 없는 표본공분산 행렬의 잔량을 한 셀당 평균으로 나타낸 지표이므로 작을수록 좋은데, 일반적으로 0.05 이하이면 좋은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RMSEA는 근사제곱근 평균제곱오차로써 이 역시 대체적으로 0.05 에서 0.08 이하이면 적당하다.

둘째, 모형 평가시 기초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그 증가분을 가지고 모형을 평 가 검정하게 되는데, 그 정도를 알아보는 지수가 증분적합지수인데, 여기에는 0과 1사이의 값을 갖는 AGFI(Adjusted Goodness-of-Fit Index; 수정기초부합지수)가 대표적이며, 1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적합도를 이루며, 증분적합지수에는 표준적합 지수로 NFI도 1에 가까우면 완벽한 적합을 나타내는데, 통상 0.90 이상이면 양호 한 적합도를 나타내고, 그 외 표본크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비표준 적합지수 로 NNFI가 있는데, 이 값은 간혹 1보다 큰 경우도 있다.

셋째, 모형이 각 추정계수에 필요한 적합도에 최대로 도달하는 정도를 나타내 는 것이 간명적합지수인데, PGFI, PNFI, AIC 등이 여기에 속하며, PGFI, PNFI 는 대체로 0.6 이상이면 적절한 적합도를 나타내고, AIC는 낮을수록 좋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적합도 지수들중 주요한 지수들 을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가설에 나타난 영향과 함께 제시하 였다.

먼저 전체적인 모형 적합도를 보면, <그림 4-4>와 <표 4-6>에 나타난 바와

74) 노형진,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형설출판사, 2002, p.274.

75) R. E. Schumacker and R. G. Lomax, A Beginners'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wrence Erlbaum Assiciates, 1996, p.125.

76) 조현철, LISREL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 도서출판 석정, 1999, p.114.

77) 강병서․조철호, SPSS와 AMOS 활용-연구조사방법론, 무역경영사, 2005, p.365.

같이 χ2=448.856(p<0.05)로써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실증분 석의 자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323개로, 표본수가 200이상의 사례를 대상으 로 하고 있으므로 유의한 확률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χ2/df는 2.859로 기준치 3이하로 나타나 상당히 좋은 모델로 판단되며, 또한 CFI=0.941로써 기준치 0.9보다 높게 나타났고, 부합도지수인 NFI=0.913으로써 모 두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으며, RMSEA=0.076으로써 기준치 0.05보다 다소 크지 만 모집단의 근사치 오차를 받아들일수 있으며, GFI=0.882, 조정된 적합지수인 AGFI = 0.842로써 모두 기준치에 근접하고 있어 전체적인 적합도는 수용해도 무 리가 없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금융산업에서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및 구전효과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영향정도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었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농협의 공감성 차원의 서비스품질(C.R.=3.023, p<0.01)과 유형성 차원의 서비스품질(C.R.=2.612, p<0.01)이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공감성 차원의 서비스품질이 높을수록 고객만족(ϒ13=0.331)이 높아지고, 유형성차원의 서비스품질이 높을수록 고객만족(ϒ14=0.219)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응답성 차원(ϒ11=0.098) 및 신뢰/확실성 차원(ϒ

12=0.197)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 못하였다. 따라 서 농협의 고객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차원은 고객이익을 진심으 로 고려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영업시간을 맞추며, 고객에 대해 개인적으 로 신경을 쓰고, 고객의 구체적 요구와 필요를 이해하는 공감성 차원이며, 두번째 로는 적합한 시설과 분위기, 보기 좋게 정리한 시설, 직원 옷차림과 용모 등 유형 성 차원의 서비스품질을 높이는 것이 고객만족을 높이는 것이다.

둘째, 가설2의 검증결과, <표 4-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객만족(C.R.=13.685, p<0.01)이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의도(ϐ21=0.606)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객만족(C.R.=11.836, p<0.01)도 구전효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구 전효과(ϐ31=0.551)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림 4-4> 모형의 적합성

<표 4-6> 주요 경로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결과

주 요 경 로 추정치 표준

오차 C.R. p. 표준화

계 수 ϒ11 응답성 → 고객만족 0.125 0.149 0.836 0.403 0.098 ϒ12 신뢰/확실성 → 고객만족 0.306 0.206 1.483 0.138 0.197 ϒ13 공감성 → 고객만족 0.370 0.122 3.023*** 0.003 0.331 ϒ14 유형성 → 고객만족 0.313 0.120 2.612*** 0.009 0.219 ϐ21 고객만족 → 재방문의도 0.636 0.046 13.685*** 0.000 0.606 ϐ31 고객만족 → 구전효과 0.540 0.046 11.836*** 0.000 0.551

측정 모형

응답성 → 업무처리시간 고지 1.000 - - 0.000 0.760

응답성 → 즉각적 서비스제공 1.036 0.067 15.572*** 0.000 0.828 응답성 → 고객요구 신속대응 1.060 0.071 14.831*** 0.000 0.794 신뢰/확실성 → 신뢰 및 의지 1.274 0.091 13.929*** 0.000 0.772 신뢰/확실성 → 안심거래 안전확보 1.248 0.085 14.692*** 0.000 0.807 공감성 → 고객요구필요이해 0.950 0.058 16.375*** 0.000 0.871

공감성 → 편리한 이용시간 1.000 - - 0.000 0.824

신뢰/확실성 → 직원신뢰 1.311 0.086 15.269*** 0.000 0.843 응답성 → 자발적 도움 1.124 0.069 16.407*** 0.000 0.867 신뢰/확실성 → 고객문제 관심 및 해결 1.117 0.078 14.36*** 0.000 0.790

신뢰/확실성 → 업무처리약속 1.000 - - 0.000 0.735

유형성 → 시설 및 분위기 0.967 0.068 14.136*** 0.000 0.773 공감성 → 개인적 신경 0.968 0.056 17.339*** 0.000 0.823 유형성 → 옷차림 용모 1.045 0.070 15.002*** 0.000 0.819

유형성 → 최신장비 1.000 - - 0.000 0.788

공감성 → 고객이익 고려 0.953 0.053 18.059*** 0.000 0.847 신뢰/확실성 → 약속시간에 서비스제공 1.156 0.079 14.716*** 0.000 0.813 적합도

측정기준 χ2 χ2/d.f. GFI AGFI RMR RMSEA NFI 적합기준치 임계치 3이하 0.9이상 0.9이상 0.000 0.05이하 0.9이상

추정치 448.856 2.859 0.882 0.842 0.062 0.076 0.913 주) C.R. Critical Ratio=추정치/표준오차; *** p<0.01; 경로계수는 표준화된 계수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