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에서 글쓴이는 국학사관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한국사󰡕 중 현 대사 부분 기술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 론에 이르게 되었다.

국학의 의미는 문헌 상 광개토대왕비의 ‘이도흥치(以道興治)’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최치원이 「낭랑비서문」에서 주장한 풍류 가 신채호가 강조한 바와 같이 선교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한민 족의 정통은 유불도가 아닌 선교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분명히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국학의 개념은 대일항쟁기의 일제 식민사관 대항논리로써 정인보⋅안재홍 등이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실학을 국학의 뿌 리로 설정하는 등 일정한 한계를 보인 것이 사실이다. 이에 반해 나 철⋅김교헌⋅신채호⋅박은식 등 대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일련의 세 력은 국학이 선교에 뿌리를 둔 학문임을 분명히 제시하였다.

국학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45년 일제의 패퇴 이후의 일이다. 이는 한영우⋅이만열⋅황원구 등이 주도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논리는 정인보⋅안재홍의 그것 위에서 이루어졌다.

이 점에서 정인보⋅안재홍의 한계가 이들에게서도 드러나는 것은 당 연하다.

반면, 정열모⋅김동환⋅김광린은 김교헌⋅신채호⋅박은식 등의 국 학개념의 연장선상에서 국학의 개념을 이론화하였다. 이들은 글쓴이 와 같이 국학을 “교선에 바탕을 둔 모든 학문” 이라고 보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럼 구체적으로 국학 개념 이론화를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해 글쓴이는 북애의 󰡔규원사화󰡕에서 그 실마리를 잡았 다. 그리하여 국학의 핵심 내용(기준)을 (1) 주체성⋅정체성의 확립, (2) 보성(保性), (3) 동족상전에 대한 철저한 반성, (4) 진보(민주주의) 의 가치 대한 확신, (5) 국제관계의 다변성과 평화공존의 모색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관점을 달리하는 교학사와 금성출판사의 󰡔고 등학교 한국사󰡕 중 현대사 부분을 집필 지침의 한계성을 인정하는 위에서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 리된다.

(1) 주체성⋅정체성의 확립은 다시 ① 분단의 원인과 외세의 의미

② 대한민국 출발의 사상적 배경 ③ 민족반역자 청산으로 나누어 살 펴보았다. ①에 대해 교학사와 금성출판사의 필진은 모두 숙명론과 외인론의 입장에서 분단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미군에 대해서는 교 학사 교과서는 해방군으로 금성출판사 교과서는 점령군으로 기술하 였다. 이처럼 이들은 미국에 대한 분명한 시각차를 보였다. 이외의 교과서들은 분단 문제에 대해 기본적으로 외인론을 따르면서 외세의 성격을 모호하게 기술하였다. 하지만 국학사관에서 보면 분단의 원

인은 사대성이 강한 자본주의 세력과 공산주의 세력의 ‘이기적’인 민 족분열 정책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②에 대해 교학사 교과서는 대한민국의 수립에 이승만 역할을 강 조하고 있고, 금성출판사 교과서도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 두 교과서는 미묘한 시각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수립이 독립전쟁의 결과물이라면 그 독립전쟁의 추동력이 된 단군민 족주의가 대한민국 출발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 실이다. 국학사관으로 교과서를 집필한다면 이점이 확실히 기술될 것이다.

③에 대해서 교학사 교과서는 민족반역자를 청산할 수 없었던 현 실론을 강조한 반면, 금성출판사 교과서는 반드시 청산했어야 했는 데 이승만 정부가 회피했다는 당위론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 의 교과서들은 대체로 금성출판사와 같은 시각에서 이 문제를 기술 하였다.

(2) 보성(保性)의 중요성이라는 관점(국학사관)을 현행 교과서에서 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다만 두 교과서에는 모두 대한민국에 정 통성이 있다는 논조로 기술되어 있다. 물론 이는 지필지침에 따른 결 과이기는 하지만 정통성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없음을 증명하는 것 이다. 국학의 관점에서 정통성은 홍익인간이라는 한민족의 본성을 구현하였을 때 확보되는 것이다. 그런데 남북의 정치 세력은 자신들 의 이익을 위해 민족전체를 희생시켰다. 이 점에서 남북한 정권 모두 에게서 정통성을 찾을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3) 동족상전에 대한 철저한 반성의 결핍은 두 정권의 정통성 결여 를 분명히 드러내는 증거이다. 교학사 교과서의 집필진은 6.25 전쟁 를 미국의 존재와 자유민주의의 가치를 확인한 계기로 평가하였다.

반면 금성출판사 교과서는 6.25 전쟁의 결과로 남북한 정권의 권력기 반 강화와 미국 의존경제의 심화를 들었다. 그런데 6.25 전쟁은 각국

의 시각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국학사관으로 보면 이 는 ‘한민족파괴전쟁’이었다. 결국 6.25 전쟁의 성격은 남북한 정권이 자신들의 권력을 위해 민족전체를 희생시킨 ‘한민족파괴전쟁’이었다 고 규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각은 어느 교과서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4) 진보(민주주의)의 가치 대한 확신에 대한 두 교과서의 기술은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정권을 보는 시각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을 보 이고 있다. 이승만 정권에 대해 교학사 교과서의 「이승만 정권의 시 련, 성취 함정」과 금성출판사의 「자유의 종이 울리다」에서 그 시각차 를 확인할 수 있다. 박정희 정권에 대해서도 교학사 교과서는 반공체 제, 금성출판사 교과서는 유신체제이라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하지만 홍익인간의 구현을 핵심으로 하는 국학사관에서 보면 조선이 성리학 일원론의 사회로 치달았듯이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은 자본주 의(정확하게는 국가통제경제)와 반공체제의 강화를 국가의 운영원리 로 삼았다. 이는 사상과 경제의 자유 보장이라는 국학의 관점에서 보 면 실성(失性)을 의미하는 퇴행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5) 국제관계의 다변성과 평화공존에 대해 살펴보면, 국제질서가 요동치는 현실에서 북애의 국제정세인식과 대응은 많은 시사점을 준 다. 이는 󰡔북한의 실상과 남북간의 통일노력󰡕과 󰡔올바른 역사관과 주권의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교학사가 주로 북한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데 반하여 금성출판사는 북학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는 인상을 준다. 특히 교학사 교과서는 북한을 통 일의 대상으로 보는 금성출판사의 시각과는 다른 기술을 보이고 있다. 후자의 경우, 일본과 중국의 역사왜곡과 영토야욕에 대한 경계심 을 강조하는 경향 속에서도 교학사 교과서는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 정 체결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본 반면 금성출판사는 다른 시각을 드 러냈다.

무엇보다 평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남북 정권의 평화통일 노력의

생태적 한계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역내평화를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인 중일의 역사왜곡과 영토야욕은 주체 의식을 확립하 지 않고서는 해결이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역사학계 에는 식민사학이 판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중국의 상고사왜곡과 일본의 과거사 왜곡⋅영토야욕을 대한민국 스스로 돕는 것이라고 하 지 않을 수 없다.98)

그리고 국학사관에서는 평화는 국내외에 똑 같이 적용되어야 하는 규범이다. 그런데 한국군의 베트남 민간인 학살문제에 대해서는 제 대로 된 성찰을 어느 교과서에서도 엿볼 수 없다.

끝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마지막 부분 󰡔국제적 위상의 향상󰡕에 자 화자찬하는 기술로 넘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역사 교육의 의미를 찾는 것이 교과서라면 한민족사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집중적으로 기술해야 하는 것이다.

98) 최근 동북아역사재단이 중국과 함께 상고사왜곡에 동참하고 있는 현실이 문 제가 되어 ‘식민사학 해체 국민운동본부’가 구성되었다(󰡔서울경제󰡕 2014년 5 월 15일자, 「식민사학 청산, 제2 독립운동이죠」).

【參考文獻】

1차사료

북애 저 / 고동영 역, 󰡔규원사화󰡕, ᄒ ᆞᆫ뿌리, 1986.

󰡔大韓每日申報󰡕.

신채호, 󰡔단재신채호전집󰡕 1⋅2⋅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신채호, 󰡔丹齋申采浩全集(上)󰡕(改訂版),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정인보, 󰡔담원정인보전집󰡕 2, 연세대학교출판부, 1983.

정열모, 「국학이란 무엇인가」, 󰡔國學󰡕 1, 1946.

교학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금성출판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미래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두산동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비상교육,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지학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천재교육,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014.

단행본과 논문

김동환, 󰡔국학이란 무엇인가󰡕, ᄒ ᆞᆫ뿌리, 2011.

김광린, 「국학과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 󰡔선도문화󰡕 13권 2012.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 한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2011.

김동환, 「단조사고에 대하여」, 󰡔단조사고󰡕, ᄒ ᆞᆫ뿌리, 2006.

안호상, 󰡔국학의 기본학󰡕, 배달출판사, 1977.

이만열, 「국학의 성립 발전과 그 과제」, 󰡔동방학지󰡕 100, 연세대학교국학연 구원, 1988.

이명희⋅강규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사회과 교육󰡕 48-1, 교학사,2009.

신운용,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과 ‘풍류’의 발현」, 󰡔선도문화󰡕 14, 국제뇌교 육종합대학원출판부.

신운용, 「조선건국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시론」, 󰡔한국사의 단군인식과 단

신운용, 「조선건국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시론」, 󰡔한국사의 단군인식과 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