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마을문화활동 실태 분석 1. 마을문화활동 특성 분석

앞의 제3장을 통해 우린 서울에 존재하는 여러 유형의 마을문화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쩌면 조사대상이라 하더라도 몇몇 관계자들을 인터뷰한 것이라 사실(fact)이 정확히 파악되었다고 보긴 어렵다. 그러나 그렇다 해도 현재의 서 울시 마을문화활동 수준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 다. 그런 점에서 현재 서울에 나타나고 있는 마을문화활동의 여러 실태를 요약 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지역적 분포

마을문화활동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주로 서북권과 동북권에 집중되어 나타 나고 있다. 마을문화활동은 서북권 중에서는 특히 마포구에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동북권에서는 성북구, 도봉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다.

그러나 사실 이런 현상은 해당 지역에 마을형 공동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서북권인 마포구에는 ‘성미산마을’이 있고, 동북권인 강북구에는 ‘삼각산재미

156 마을문화만들기 사례와 전략 연구

난마을’이, 도봉구에는 ‘방아골마을’이 있다.

장르별로 살펴보면, 잡지는 종로구인 서촌과 강남구인 신사동 가로수길, 용 산구인 이태원, 서대문구 충현동 등에 존재한다. 이들은 모두 문화적 경관이 형 성된 지역이거나 지자체의 필요 등에 의해 공공사업을 추진했던 지역이다.

서점과 도서관은 강서구의 <길꽃어린이도서관>과 성동구의 <책읽는아이 책 읽는엄마>, 종로구 서촌의 <길담서원>, 은평구의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마 포구의 <더북소사이어티> 등으로 구성된다. 이상으로 보면, 마을문화활동은 다 음과 같은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마을문화활동은 마을공동체가 형성된 곳에서 대부분 존재한다. 특히 마포구 성미산마을과 강북구 삼각산재미난마을은 서울시 공동체 활동의 핵심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동작구의 ‘성대골’과 송파구의 ‘즐거운가’ 등이 급 성장하고 있는 지역으로 꼽힌다.

둘째, 공동체가 형성하고 활동하는 지역들은 시민운동단체나 공공적 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희망동작네트워크>가 활동하고 있는 동작구,

‘도봉시민사회’ 및 ‘도봉사람들’ 등 시민단체가 발달해 있는 도봉구, 다양한 지 역기반 사회시설을 갖추고 있는 ‘관악구’, 진보당을 비롯하여 사회단체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은평구 등이 대표적 사례다.

셋째, 공동체가 형성되고 있는 지역의 특성은 일정한 형태로 지역화가 이루 어졌거나 지역과 단절된 형태의 지형조건을 가졌다는 점이다. 예컨대 삼각산재 미난마을은 북한산 초입에 형성된 마을이고, 성대골마을은 성대시장 뒤편의 고 립된 지역에 형성된 마을이다. 서촌도 인왕산을 배경으로 고립된 마을이고, 방 아골도 주변지역과 단절된 도깨비시장 주변을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다만, 이와 같은 지역적 단절성이 없는 곳에 마을문화활동이 나타나는 것은 강한 운동성에 기초한 것인데, 마포구의 ‘성미산마을’이나 송파구의 ‘즐거운가’

등은 이러한 운동적 특성을 보유한다.

넷째, 마지막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잡지 등과 같은 형태다. 이처럼 특정

주민이나 예술가 혹은 전문가가 주도하는 경우 대부분 지역의 경관성이나 문화 성을 배경으로 한다. 경복궁과 인왕산을 배경으로 자연경관과 역사경관을 보유 하고 있는 서촌이나 예술가와 디자이너가 밀집해 문화경관을 유지하고 있는 강 남구 신사동 가로수길, 그리고 이태원 등이 이를 대표한다. 이처럼 자연경관성 과 문화경관성을 배경으로 성장하는 것이 마을문화라 할 수 있다.

자치구 현황 자치구 현황

종로구 길담서원, 시옷 송파구 즐거운가

용산구 이태원 주민일기 마포구

염리동 창조마을, 성미산마을 마포FM, 스트리트 H 더북소사이어티

성동구 책읽는엄마 책읽는아이 은평구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동작구 성대골 서대문구 도란도란 충현동

강북구 삼각산재미난마을 강서구 길꽃어린이도서관

도봉구 방아골, 초록나라도서관 관악구 관악FM

강남구 헬로 가로수길

<표 4-1> 마을문화활동 자치구별 분포 현황

<그림 4-1> 마을문화활동 지역별 현황

158 마을문화만들기 사례와 전략 연구

2) 형성연도

마을문화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마을별로 살 펴보면, 1994년 공동육아로 출발한 성미산마을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성미산마을 또한 문화공동체로 발돋움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 다. ‘성미산지키기 모임’ 과정에서 시작되었고, 2007년에 들어 본격화되면서 2008년에야 그 모습을 드러냈다.

삼각산마을도 마찬가지다. ‘꿈꾸는 어린이집’에서 시작하여 대안학교인 ‘삼각 산재미난학교’로 이어진 마을은 2010년이 되어서야 문화활동을 현실화시킨다.

잡지 또한 마찬가지다. 가장 오래된 잡지는 2008년부터 발간된 <헬로 가로수 길>이다. 이어 2009년도에 <스트리트 H>가 생겼고, 2011년에 서촌의 <시옷>과

<도란도란 충현동>이 발간됐다. 도서관과 서점은 그보다 다소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최초의 커뮤니티형 도서관은 2001년 성동구에서 문을 연 <책읽는엄 마 책읽는아이>였고, 2006년에 <초록나라도서관>이, 2007년엔 <길꽃어린이도 서관>이 각각 문을 열었다. 서점의 등장 또한 2007년도 이후의 일로, 2007년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이, 2008년엔 <길담서원>이, 2010년에 <더북소사이어 티>가 탄생하였다.

<그림 4-2> 마을문화활동 형성연도별 현황

그러나 ‘언제 탄생했냐보다 중요한 것이 과연 얼마나 오래 숙성되었느냐’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마을문화활동이란 어느 날 ‘이것을 시작하자’라고 해서 되는 것 이 아닌, 주민 간의 오래된 관계와 신념이 결합된 역사적 과정의 표출이기 때문이 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 과정은 매우 깊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우선, 각 마을 사업을 보면 최소 10년 이상의 숙성기간이 필요했다. 성미산마 을은 공동육아활동이 마을문화활동으로 나타나기까지 무려 14년(1994~2008) 이 걸렸다. 삼각산재미난마을도 공동육아에서부터 마을문화활동으로 이어지기 까지 10년 이상(1998~2010)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즐거운가> 또한 지역아동 센터에서 마을공동체 활동으로 발전하기까지 10년 이상(1999~2010)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아직 그와 같은 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성대골마을(2004~2010)은 이제 확산 중이다.

잡지나 방송 또한 마찬가지다. 물론, 전문가들의 ‘개인적인’ 영역이라는 특성 상 오랜 준비기간이 필요하지 않으나 그래도 최소한 2~3년 정도의 준비기간과 안정화 기간을 요구한다. <헬로 가로수길>과 <스트리트 H>를 제외한 나머지 잡지는 아직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며, 정기성을 발휘하고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필요한다.

성미산마을에는 ‘5년을 참고, 3년을 묵혀두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마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5년간 지역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 이며, ‘3년을 묵혀두라’라는 얘기는 어떤 의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지역 내 의제를 제공하여 그 동의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마을문화활동은 ‘시간과의 인내’를 건 싸움이라 할 수 있다. 시간 속에 지치지 않고 자기의 원칙을 지키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마을문화를 넘어 마을공동체 회복에서 꼭 고려해야 할 요소다.

3) 장르

마을활동의 장르는 매우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제3장에서 정리한

160 마을문화만들기 사례와 전략 연구

이 강한 곳에서 생기며, 도서관 및 서점은 운영자의 의지와 지역사회의 필요성 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등장한다.

동아리 활동은 마을공동체형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활동이다. 사실 동아리 활 동은 주민들 간의 친밀한 관계를 전제하므로, 마을공동체와 같은 지역 공동체 네 트워크가 형성되지 않는 한 마을동아리 활동은 나타나기 힘든 것 중 하나다.88) 마을문화활동에서 주목해야 할 공간은 목공소다. 여느 것보다 마을목공소가 많다는 것인데, 목공소의 특징은 무엇인가를 제작한다는 것과 그 참여주민이 다른 여느 활동과 달리 남성 중심이라는 점이다. 남성은 마을생활에서 가장 참 여하기 어려운 주체 중 하나다. 대부분의 마을생활은 교육이나 보육을 매개로 한 여성과 문화활동에 관심이 있는 일부 남성이 참여한다. 이에 반해 목공은 남 성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주로 집에 가 쓸 자기의 물건을 만들고, 그 과정에서 서로 지역에 대한 얘기, 살아가는 얘기를 포함하게 된다. 그 결과 마을은 여성 을 뛰어넘어 남성까지 포괄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카페 또한 마을문화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공간 중 하나다. 지역주민끼리의 만남을 창출하는 공간으로, 그간의 활동 결과로 서로 만나는 공간이자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는 거점이기도 하다. 또한 각 카페는 대부분 북카페나 작은 공연 이나 전시를 겸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때문에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공간이자

카페 또한 마을문화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공간 중 하나다. 지역주민끼리의 만남을 창출하는 공간으로, 그간의 활동 결과로 서로 만나는 공간이자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는 거점이기도 하다. 또한 각 카페는 대부분 북카페나 작은 공연 이나 전시를 겸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때문에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공간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