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개념과 주요 현황

2.1. 디지털 플랫폼의 개념과 특성

플랫폼(platform)의 어원은 흔히 기차역에서 승객들이 기차를 타고 내리는 물 리적 공간을 뜻하는 의미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의미보다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과 산 업 생태계 기반의 장”을 뜻하는 산업이나 비즈니스 용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이효 정 외 2019). OECD(2019)는 온라인 플랫폼을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통해 두 개 이상의 사용자 그룹(기업 또는 개인)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서 비스”로 정의한 바 있다.6)

<표 2-1> 플랫폼의 정의

연구자 플랫폼의 정의와 사례

Bresnahan &

Greenstein(1991)

- 서로 다른 최신 기술들을 조합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연결된 시장을 형성하는 기기로 정의

- IBM, 매킨토시, 윈텔 등 퍼스널 컴퓨터 플랫폼을 주로 지칭

Gawer &

Cusumano(2014)

- 다른 기업이 함께 참여해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 서비스, 기술의 조합을 가리키며 개방성과 비즈니스 생태계를 강조

- MS 윈도, 애플 iOS, 구글 안드로이드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앱스토어(App Store), 구글 검색 엔진이나 페이스북, 링크드인 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예시로 들 수 있음

이상규(2010) - 서로 다른 이용자 그룹이 거래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된 물리적, 가상적 또는 제도적 환경으로 정의

자료: 이효정 외(2019) 자료에서 표 내용 인용.

6) “An online platform is a digital service that facilitate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distinct but interdependent sets of users(whether firms or individuals) who interact through the service via the internet.”

디지털 플랫폼은 크게 플랫폼 공간, 재화 및 서비스의 공급자와 이용자,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를 핵심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카오T(Kakao T)’의 사례에 빗대본다면 카카오T 모바일앱이 플랫폼 공간에 해 당하고, 택시 기사(또는 업체)는 서비스 공급자, 택시 승객은 이용자, 그리고 플랫 폼 개발업체인 ‘카카오’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에 해당한다. 또한, 플랫폼에 참 여하는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노출시킴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얻 고자 하는 광고기업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역시 플랫폼의 구성 주체가 된다.7)

<그림 2-1> 플랫폼의 구성 주체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

공급자(재화, 서비스) ↔ 플랫폼 ↔ 이용자(재화, 서비스)

↕ 광고기업

자료: 저자 작성.

플랫폼의 운영 방식은 기존의 기업 운영 형태인 파이프라인(pipeline) 방식과 대비된다. 파이프라인 시스템하에서는 가치의 창출과 이동이 단계적으로 일어나 며, 파이프라인의 양 끝단에 생산자와 소비자가 각각 위치하게 된다. 즉, 기업이 재화나 서비스를 기획하고 생산하면 마지막으로 고객이 이를 구매하는 선형적 가 치사슬(linear value chain)의 형태로 작동되는 구조다. 이와 달리 플랫폼 구조하에 서는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한다.

전통적 백과사전인 브리태니커 백과사전(Encyclopædia Britannica)은 학자, 작 가, 편집자 등으로 구성된 중앙집중식 공급 사슬인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제작되

7) 광고기업은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에게 광고비를 지불함으로써 플랫폼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경제적 인 센티브를 제공함.

었지만,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는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의 공 급자가 될 수 있는 플랫폼 방식에 해당한다. 이처럼 플랫폼 구조하에서는 흔히 이 용자가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플랫폼의 핵심적인 특징은 여러 이용자의 연결과 중개를 통한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ffect)’의 창출에 있다. 네트워크 효과는 특정한 네트워크(플랫폼)의 사 용자가 늘어날수록 전체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얻는 가치가 높아지거나 혹 은 해당 네트워크 자체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플랫폼 비즈니스는 공 급자(생산자)와 사용자(소비자)로 구성되는 다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플랫폼을 공 유하며, 참여자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가치가 창출된다. 따라서 참여자가 많아 질수록 1인당 거래 및 운영 비용이 절감되고, 참여자들 간 연결과 상호 작용이 활 성화되어 플랫폼의 효용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플랫폼의 특성을 네트워크 효과라 고 지칭한다(이효정 외 2019). ‘카카오T’의 사례로 볼 때, 해당 플랫폼 서비스에 참 여하는 공급자(택시)와 수요자(승객)의 수가 많을수록 거래 비용(택시와 승객이 서로를 찾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서비스의 효용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통해 더 많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플랫폼에 참여하게 되는 선순환의 구조로 작동하는 것이 네트워크 효과의 핵심이다.

<표 2-2> 플랫폼 활용 주요 기업 사례

분야 사례

소셜 네트워킹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틴더(Tinder),

인스타그램(Instagram), 스냅챗(Snapchat), 네이버밴드, 카카오스토리 메신저 왓츠앱(WhatsApp), 페이스북 메신저, 위챗(WeChat), 카카오톡 동영상 유튜브(Youtube), 넷플릭스(Netflix), 네이버TV, 카카오TV, 아프리카TV 소매업 아마존(Amazon), 알리바바(Alibaba), 쿠팡, G마켓

여행 에어비앤비(Airbnb),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

지역 서비스 옐프(Yelp), 포스퀘어(Foursquare), 그루폰(Groupon), 배달의민족, 요기요 교통 우버(Uber), 웨이즈(Waze), 카카오T

자료: 마셜 밴 앨스타인 외(2020)를 참고 및 보완하여 작성.

수요와 공급 측의 고객을 상호 필요에 따라 연결하는 방식의 플랫폼으로는 카 카오T 이외에도 ‘우버(Uber)’, ‘에어비앤비(Airbnb)’, ‘배달의민족’ 등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플랫폼들은 우리 경제, 사회, 그리고 일상 생활의 패턴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2.2. 디지털 플랫폼 활용 기반 실태

2.2.1.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 현황

먼저 디지털 플랫폼 활용의 기반이 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 실태에 대 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률은 2020년 7월 기준 91.9%로 2010년 대비 14.1%p, 2000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8)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 용률은 전 세계 국가들 중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한다. 스마트폰 보유율 역시 2020 년 기준 93.1%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국가 단위로 볼 때 디지털 플랫폼 활용 을 위한 기반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과학기술정보통신 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그림 2-2> 개인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 수

단위: 천 명,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8)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한 만 3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의미함.

<그림 2-3> 국가별 인터넷 이용률 비교

단위: %

주: 조사 방식의 차이로 인해 국내 조사치(‘인터넷이용실태조사’)와는 수치상의 차이를 보임.

자료: OECD 홈페이지(https://data.oecd.org/ict/internet-access.htm#indicator-chart, 검색일: 2021.

10. 7.).

연령대별로 10∼50대는 거의 모든 인구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70세 이상(40.3%)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90% 이상의 높은 이용률을 보이 고 있다. 또한, 60대의 인터넷 이용률은 2015년 59.6%에서 2020년 91.5%로 증가 하였고, 70세 이상의 이용률도 같은 기간 동안 17.9%에서 40.3%로 증가하여 고령 층의 인터넷 이용률도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4>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

단위: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5, 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스마트폰 역시 10∼50대 인구의 대부분이 보유하고 있으며, 6∼19세와 60대 역 시 2020년 기준 각각 94.7%, 93.1%로 70세 이상(53.8%)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90% 이상의 높은 보유율을 보이고 있다. 60대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015년 57.6%에서 2020년 93.1%로 상승하였으며, 70세 이상의 보유율도 같은 기간 동안 15.8%에서 53.8%로 상승하여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유율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5> 연령별 스마트폰 보유율

단위: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5, 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2.2. 농업·농촌 디지털 플랫폼 활용 기반 실태

농촌지역의 인터넷 이용률을 살펴보기 위해 동 지역과 읍·면 지역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2020년 기준 읍·면 지역의 인터넷 이용률은 88.4%로 동 지역 (93.0%)보다 낮았으며, 그 격차는 2015년 12.0%p에서 2020년 4.6%p로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림 2-6> 지역별 인터넷 이용률

단위: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5, 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직업군 기준으로 농림어업직과 전체 직업군을 비교하면 2020년 기준 농림어업 직의 인터넷 이용률은 76.5%로 전체 이용률 91.9%보다 15.4%p 낮았으며, 2015 년의 32.1%p에 비해 그 격차는 꾸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7> 농림어업직 인터넷 이용률

단위: %

주: 만 3세 이상 인구 기준.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5, 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과기정통부가 2020년 실시 한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국민 대비 농어민의 디지털 정보화 종합 수준은 77.3%9)로, 2015년 55.2%에 비해 22.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부문별로는 ‘디지털 정보화 접근 수준’이 94.8%(2015년 대비 21.4%p 증가),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이 69.0%(2015년 대 비 27.8%p 증가),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76.9%(2015년 대비 21.4%p 증가) 로 나타났다.

농어민의 디지털 수준이 일반국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1차적으로 고령층이 많은 인구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9>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모든 세부 부문에서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8> 농어민 디지털 정보화 수준(2015~2020년 비교)

단위: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5,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9) 일반국민의 수준을 100으로 할 때의 상대적 수준을 의미함.

<그림 2-9> 고령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2015~2020년 비교)

단위: %

주: 본 조사에서 고령층은 만 55세 이상 인구를 의미함.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5,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2.3.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0)이 실시한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10)에 따르 면 우리나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률은 52.4%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16.8%) 이후 이용률이 꾸준히 상승하는 추 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0> SNS 이용률 변화

단위: %

자료: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1).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 조사결과 주요 내용.”

10) 2010년부터 매년 실시되는 동일 표본 추적조사로 2020년에는 4,260가구 및 10,302명 개인을 대 상으로 미디어 기기 보유 현황, 서비스 가입 및 지출 현황, 미디어 활용 현황 등을 조사함.

2020년 기준 개인 이용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23.7%),

‘유튜브’(22.4%), ‘인스타그램’(22.3%)이었으며, 이어서 ‘카카오스토리’(16.6%),

‘네이버밴드’(7.9%), ‘트위터’(6.2%)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때 이용률이 가장 높 았던 페이스북과 카카오스토리의 이용률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 세인 반면,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이용률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기존의 지인 중심 사회관계 서비스(페이스북 등)에서 관심사 베이스의 서비 스(유튜브, 인스타그램)로 이용 흐름이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림 2-11> SNS 종류별 이용률 변화

단위: %

주: 응답자 개인별 1순위 응답 기준.

자료: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1).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 조사결과 주요 내용.”

연령대별 이용률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경우 젊은 층의 이용률이 상대적 으로 높은 반면, 카카오스토리와 네이버밴드는 40~60대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 고, 블로그와 카페는 전체 연령층이 비교적 고르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밴드 블로그 카페

연령별

6~19세 70.6 62.9 20.9 16.9 14.0 11.3

20대 75.3 74.0 19.1 19.5 19.4 13.7

30대 70.1 64.7 30.2 27.8 19.8 17.3

40대 59.3 45.9 36.8 39.1 18.0 16.7

50대 41.6 27.0 43.6 44.0 15.0 14.4

60대 32.7 18.7 45.6 40.7 15.9 14.8

70세 이상 27.0 13.0 34.5 31.9 12.4 7.1

주: 3개 항목 응답, 만 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기준.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표 2-3> 연령별 주 이용 SNS 서비스

단위: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한 SNS는 페이스북이며, 유튜브와 인 스타그램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2021년 4월 기준 전 세계 소셜미디어 플랫폼별 월간 활성 이용자 수(Monthly Active User: MAU)는 페이스북 27억 9,700만 명, 유튜브 22억 9,100만 명, 인스타그램 12억 8,700만 명 등으로 나타났다(디엠씨미 디어 2021).

<그림 2-12> 전 세계 소셜미디어 플랫폼별 이용자 수

단위: 백만 명

주: 연한 색 막대그래프는 국내에서 거의 이용되지 않는 플랫폼임.

자료: 디엠씨미디어(2021). “2021 소셜 미디어 시장 및 현황 분석 보고서.” 재가공.

제3장

농촌산업 및

디지털 플랫폼 관련 정책 현황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3장

농촌산업 및 디지털 플랫폼 관련 정책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