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4장

농촌산업 분야 디지털 플랫폼 활용 실태

구분 응답 수(개소) 비율(%)

[ 전 체 ] 350 100.0

주사업 분야

농림축산업 150 42.9

제조·가공업 110 31.4

판매·서비스업 90 25.7

사업분야 (중복)

농림축산업 233 66.6

제조·가공업 325 92.9

판매·서비스업 334 95.4

매출 규모

5천만 원 미만 14 4.0

5천만~1억 원 미만 30 8.6

1억~2억 원 미만 58 16.6

2억~3억 원 미만 43 12.3

3억~4억 원 미만 32 9.1

4억~5억 원 미만 24 6.9

5억~10억 원 미만 54 15.4

10억~30억 원 미만 62 17.7

30억 원 이상 33 9.4

종사자 규모

1~4인 177 50.6

5~9인 95 27.1

10~19인 52 14.9

20인 이상 26 7.4

조직형태

농업인 68 19.4

농업법인 255 72.9

회사법인 18 5.1

조합법인 9 2.6

6차산업

인증 인증경영체 324 92.6

기간만료 26 7.4

소재지

수도권 40 11.4

충청권 66 18.9

전라권 109 31.1

경상권 83 23.7

강원/제주 52 14.9

설립연도

1999년 이전 26 7.4

2000~2009년 96 27.4

2010~2014년 164 46.9

2015년 이후 64 18.3

경영주 성별

남성 258 73.7

여성 92 26.3

경영주 연령

30대 10 2.9

40대 47 13.4

50대 191 54.6

60대 이상 102 29.1

<표 4-1> 농촌산업 경영체 응답 표본 구성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79.1%)의 경영체는 생산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 한 홍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홍보 경로 내지 수단으로는 ‘지역관광 및 특산품 홍보인쇄물’(27.1%), ‘지역행사’(18.3%),

‘신문, 도서, 잡지’(16.9%), ‘자체 홍보 인쇄물’(10.9%), ‘관공서에서 운영하는 디 지털 플랫폼(지자체 홈페이지 등)’(3.1%) 등의 순이었고, 홍보를 전혀 하지 않는 경영체도 17.1%로 조사되었다.

<그림 4-1> 농촌산업 경영체 제품 및 서비스 홍보 경로(중복응답)

단위: %

주: 디지털 플랫폼은 인터넷 홈페이지, 블로그, SNS, 유튜브, 각종 모바일앱 등을 포함함.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농촌산업 경영체가 홍보에 주로 활용하는 디지털 플랫폼(1~3순위 합계 기준)은

‘인터넷 홈페이지’가 80.1%로 가장 높고, ‘블로그’(72.6%), ‘네이버밴드’(40.1%),

‘페이스북’(28.5%), ‘그 외 모바일앱’(21.7%), ‘인스타그램’(20.6%), ‘유튜브’(10.5%),

‘카카오스토리’(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순위 기준으로는 ‘인터넷 홈 페이지’가 63.9%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그림 4-2> 주 활용 디지털 플랫폼(중복응답)

단위: %

80.1 72.6

40.1

28.5 21.7 20.6

10.5 7.9 2.2 63.9

19.1

3.2 1.4 3.6 4.3 2.2 2.2

개별 홈페이지

블로그 네이버 밴드

페이스북 그외 모바일앱

인스타 그램

유튜브 카카오 스토리

트위터 1~3순위 1순위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경영체의 매출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도 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78.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19.9%는 ‘보통이다’, 1.4%의 응답자만이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고, 5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 시 평균 3.88점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림 4-3>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의 매출 도움 여부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조금

그렇다 매우 그렇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3.88

*5점 평균*

긍정 부정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따라서 향후에도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 한 경영체가 87.8%로 대다수이고, ‘필요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없어서 향후 디 지털 플랫폼을 통한 홍보 필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 향후 디지털 플랫폼 활용 필요성

구분 응답 수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조금

그렇다

매우 그렇다

비율(%) 277 0.0 0.0 12.3 46.6 41.2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홍보 목적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지 않는 경영체들의 사유는 ‘사업분야가 직접 판매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서 홍보의 필요성이 적음(B2B 사업분야 등)’, ‘과거에 이용해본 경험이 없어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를 고려해본 적 없음’, 그리고 ‘활용할 생각은 있으나 이용할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서’가 각 각 27~29% 수준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5.1%는 ‘경영에 별로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해서’라고 이유를 설명하였는데, 이들은 주로 경영 규모가 작아 지인이나 기 존 고객들을 대상으로 판매를 하고 있어 별도의 홍보 필요성이 적기 때문인 것으 로 나타났다.

<표 4-3> 디지털 플랫폼 미활용 이유 구분 응답 수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를 고려해본 적 없음

활용 의사는 있으나 이용할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서

직접 판매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서 홍보의 필요성이 적음

경영에 별로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해서

비율(%) 73 28.8 28.8 27.4 15.1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현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지 않는 경영체 중에서 향후 정책적 지원이 이루 어질 경우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할 의향이 있는 경영체는 30.1%로 나타났다. 따 라서,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디지털 플랫폼 활용 역량이나 여건이 갖추어진다면

제품이나 서비스의 홍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는 경영체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표 4-4> 정책 지원 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의향

구분 응답 수 활용할 생각이 있다 앞으로도 활용할

생각이 없다 잘 모르겠다

비율(%) 73 30.1 26.0 43.8

주: n=73(디지털 플랫폼 미활용 경영체).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과 관련한 농촌산업 경영체의 전반적 역량 수준은 현재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8점 수준인 것으로 경영체 스스로가 평가하였다. 앞으로 목표하는 역량 수준은 9.13점으로 응답하여, 지향하는 목표 역량과 현재의 역량 사이에는 3.05점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플랫폼 운영에 필요한 세부 역량을 콘텐츠 기획 역량, 사진/동영상 촬영 역량, 사진/동영상 편집 역량, 글쓰기 역량, 소통(댓글 등) 역량 등으로 나누어 조 사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수준이 가장 높은 역량은 ‘사진/동영상 촬영 역량’이 6.2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글쓰기 역량’이 5.9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각 세부 항목 중 목표 역량 수준이 가장 높은 것은 ‘사진/동영상 촬영 역 량’(9.11점), 가장 낮은 것은 ‘글쓰기 역량’(8.96점)으로 나타났으며, 목표 역량과 현재 역량의 수준 차이가 가장 큰 분야는 ‘사진/동영상 편집 역량’(3.12점)과 ‘소통 (댓글) 역량’(3.12점)으로 나타났다.

<그림 4-4> 디지털 플랫폼 활용 역량

단위: 점

주: 10점 만점 기준.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1.2. 디지털 플랫폼 활용에 따른 매출액 증가 영향 요인 분석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홍보하는 경영체의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 출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디지털 플랫폼 활용 관련 교육을 이수할수 록, 이수한 교육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영주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 활동이 매출액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교육 이수 여부는 교육 참여 자체를 통한 플랫폼 활용 역량 제고 효과 도 있을뿐더러, 교육에 참여하는 경영체일수록 플랫폼 활용에 대한 의지가 높았 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참여한 교육의 수준은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 역 량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역량이 높을수록 매출액 증대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고, 젊은 연령층의 경영주일수록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콘텐 츠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였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플랫폼 유형별로는 블로그, 홈페이지,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의 순으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매출액 증대 효과가 발생하였고, 유튜브를 통한 홍보는 유의 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의 경우, 본 조사대상에 포함된

경영체들의 계정이 아직 일정 수준 이상 활성화되지 않은 초기 단계이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본 장 2절에서 제시한 농업·농촌 유튜버 대상 조사 결과에 따르면 68.8%의 응답자가 유튜브 홍보를 통해 매출액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튜브 역시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계정이 활성화된다면 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플랫폼들 역 시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이 변화함에 따라 향후에는 다른 결과로 나타 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플랫폼 활용과 관련한 정책적 지원 수혜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없 는 것으로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뒤에서도 살펴보겠지만 이는 정책적 지원을 받 은 경영체의 비율이 매우 낮아 향후 정책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며 정책 효과를 제 고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정책적 설계와 효율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

<표 4-5>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변수 추정치 표준오차 t값 Pr > |t|

교육 이수=1 2.649244 *** 0.639187 4.14 0.0001 교육 난이도 0.412546 *** 0.124969 3.30 0.0016

정책 지원=1 0.222744 0.156005 1.43 0.1584

경영주 연령 -0.19513 ** 0.094177 -2.07 0.0424 홈페이지=1 1.237402 *** 0.335896 3.68 0.0005 블로그=1 1.390519 *** 0.387414 3.59 0.0007 인스타그램=1 0.759372 * 0.409232 1.86 0.0683 카카오스토리=1 1.063267 ** 0.454870 2.34 0.0227

유튜브=1 0.665575 0.652285 1.02 0.3115

Adj. R2 = 0.2665 주 1) N=277, 종속변수는 매출액 증가 정도를 5점 척도로 나타냄.

2) *, **, ***는 각각 10%, 5%, 1% 수준에서 유의함을 나타냄.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저자 작성.

1.3. 정책 지원 수요 분석

디지털 플랫폼 활용과 관련하여 정책적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영체는 8.3%로 그 비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받은 사항으로는 ‘교육훈련 지 원’이 55.2%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그다음으로 ‘비용 지원’(37.9%), ‘홈페이지나 SNS 계정 운영 및 관리 대행’(20.7%), ‘촬영 전문인력 지원’(17.2%), ‘콘텐츠 기획 컨설팅’(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4-5> 정부 지원 경험 및 지원 사항(중복응답)

단위: %

지원받은 경험 있음 8.3

없음 91.7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최근 3년간 디지털 플랫폼 활용과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영체의 비율은 21.7%였고, 이들의 교육 이수 횟수는 평균 1.9회로 나타났다. 유 료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15.8%로 나타나 대부분(84.2%)이 지자 체 등에서 제공하는 무료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6> 최근 3년간 디지털 플랫폼 활용 관련 교육 프로그램 경험

구분 응답 수 있음 없음 평균 교육 횟수

비율(%) 350 21.7 78.3 1.9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농촌산업 경영체가 참여한 디지털 플랫폼 활용 교육 프로그램 제공 주체는 ‘지 방자치단체’가 63.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공공기관’(40.8%), ‘민간업체/

학원’(1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4-7> 디지털 플랫폼 활용 교육 제공기관(중복응답)

구분 응답 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업체/학원

비율(%) 76 63.2 40.8 14.5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교육 기간은 ‘1~6일’이 78.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그다음으로 ‘1개월 이 상’(11.8%), ‘1주일~1개월’(9.2%)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은 ‘초급’ 53.9%,

‘중급’ 43.4%, ‘고급’ 2.6% 순으로 나타났다.

<표 4-8> 참여 교육 프로그램의 기간

구분 응답 수 1일~6일 1주일~1개월 1개월 이상

비율(%) 76 78.9 9.2 11.8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표 4-9> 참여 교육 프로그램의 수준

구분 응답 수 초급 중급 고급

비율(%) 76 53.9 43.4 2.6

자료: 농촌산업 경영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최근 3년간 이수한 교육 프로그램은 ‘SNS를 활용한 마케팅’이 75.0%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활용 기초교육’(50.0%), ‘온라인 홈페이지·쇼 핑몰 개설’(27.6%), ‘유튜브 콘텐츠 제작’(14.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5점 만점 기준 3점)을 상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내용별로는 ‘컴퓨터, 스마트폰 활용 기초교육’ 3.84 점, ‘SNS를 활용한 마케팅’ 3.72점, ‘유튜브 콘텐츠 제작’ 3.73점, ‘온라인 홈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