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듀이의 윤리 사상

문서에서 정답과 해설 (페이지 57-61)

02 덕

02 듀이의 윤리 사상

자료 분석 | 제시문은 듀이의 주장이다. 듀이는 자연 과학에서 탐구 절차를 거치듯이 도덕에서도 이러한 탐구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보 았다. 그는 도덕이나 윤리도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성장하 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도전! 실력 올리기

01020304

167

[ 선택지 분석 ]

① 지식은 불변의 목적인 도덕의 도구가 되는가?

 듀이는 도덕을 불변의 목적으로 간주하지 않고 성장·변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② 경험과 관찰보다 직관적 판단을 중시해야 하는가?

③ 과학적 발견을 통해 인류의 성장과 진보가 가능한가?

 듀이는 지성적 탐구를 통한 과학적 발견이 문제 상황을 개선 하고 사회의 성장과 진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④ 지식은 세계를 개선하는 데 유용한 절대적 규범인가?

 듀이는 지식을 세계를 개선하는 데 유용한 규범으로 여겼지만 절대적 규범으로 보지는 않았다.

⑤ 오류 가능성이 완전히 제거된 것만을 지식으로 받아들 여야 하는가?

 듀이는 우리가 지성적 탐구를 통해 얻은 지식이라고 하더라도 오류 가능성이 남아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언제든지 수정되고 재구성될 수 있다고 여겼다.

03

스피노자와 키르케고르의 윤리 사상 비교

자료 분석 | 갑은 스피노자, 을은 키르케고르이다. 스피노자는 신이 곧 자연이라는 범신론을 주장한 반면, 키르케고르는 신을 이 세상 을 창조한 인격신으로 보았다.

[ 선택지 분석 ]

ㄱ. 갑: 인간과 사물은 무한한 실체가 다양한 모습으로 나 타난 것이다.

 스피노자는 무한한 실체인 신 즉 자연이 다양한 모습으로 나 타난 것이 인간과 사물이라고 주장하였다.

ㄴ. 을: 도덕적인 삶만으로는 신과 하나가 될 수 없다.

 키르케고르는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윤리적 실존 단계가 아니 라 신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는 종교적 실존 단계에서 신과 하 나가 되어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ㄷ. 을: 인간의 보편적 본질에 대한 추구를 실존의 출발점 으로 보아야 한다.

 키르케고르와 같은 실존주의 사상가들은 인간의 보편적 본질 탐구가 아니라 인간의 실존 회복을 중시하였다.

ㄹ. 갑, 을: 인격신의 은총에 의해서만 참된 행복을 얻을 수 있다.

 스피노자가 말하는 신은 이 세계를 창조한 인격신이 아니라 이 세계 그 자체인 신이다.

04

하이데거와 야스퍼스의 윤리 사상 비교

자료 분석 | 갑은 하이데거, 을은 야스퍼스이다. 하이데거는 현존재 인 인간이 죽음을 수용하는 주체적 결단을 내림으로써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야스퍼스는 인간이 극복할 수 없는 한계 상황을 직시함으로써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 선택지 분석 ]

① 갑: 인간은 현실적인 존재가 아니라 추상적인 존재이다.

 하이데거는 인간을 논리적이고 추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현실 적이고 구체적인 존재, 즉 현존재로 보았다.

직관적 판단 경험과 관찰

② 갑: 신에 대한 믿음을 통해 죽음을 극복할 때 참된 실존 을 회복할 수 있다.

 하이데거는 죽음을 회피하기보다는 수용하는 주체적 결단을 내림으로써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③ 을: 이성적 합리성을 추구함으로써 한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

 야스퍼스와 같은 실존주의 사상가들은 이성적 합리성을 추구 하는 근대 이성주의로 인해 인간 소외 문제가 발생했다고 보 았다.

④ 을: 한계 상황 속에서 좌절에 대한 경험이 실존을 각성 하게 한다.

 야스퍼스는 한계 상황 속에서 겪게 되는 좌절과 절망에 대한 경험이 실존을 각성하게 하는 근본 계기가 된다고 보았다.

⑤ 갑, 을: 보편적 도덕규범을 따를 때 참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 두 사상가 모두 보편적 도덕규범을 따른다고 해서 참된 자신 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지 않았다. 두 사상가는 주체적인 삶을 살 때 참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01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18192021~24 해설 참조

170~175

01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

자료 분석 | 제시문은 고대 그리스 사상가 소크라테스의 주장이다.

소크라테스는 악덕은 무지(無知)로부터 비롯된다는 주지주의(主知 主義)적 입장을 역설하였다.

[ 선택지 분석 ]

① 개별적 인간이 만물의 척도인가?

 소크라테스는 이성을 통해 보편 타당한 도덕규범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② 행복한 삶은 덕에 대한 지식을 갖추었을 때 가능한가?

 소크라테스는 참된 지식이 도덕적 행동의 전제가 되고, 이는 곧 행복과 연결된다는 지덕복 합일설을 주장하였다.

③ 인간과 사회보다 자연을 탐구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가?

 고대 그리스 자연 철학자들과 달리 소크라테스는 인간과 사회 를 탐구 대상으로 삼았다.

④ 행위의 옳고 그름은 사회적인 합의에 의해 결정되는가?

 소크라테스가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보편적 이 성이다.

⑤ 객관적 지식을 얻기 위해 이성보다 감각과 경험에 의존 해야 하는가?

 소피스트와 달리 소크라테스는 이성을 통해 객관적 지식을 얻 을 수 있다고 보았다.

III

② 덕을 알면서 고의로 행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를 계승하였다.

③ 현실 속에서는 이상적인 선이 존재할 수 없다.

 플라톤은 이상주의적 세계관을 주장하였다.

④ 이상 사회는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이다.

 플라톤은 통치 계급, 군인 계급, 생산 계급이 각자 자신의 역할 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⑤ 옳은 행위는 의지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 실천이 전제된다.

05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

자료 분석 | 제시문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발췌한 것으로, 아 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만이 지닌 고유 한 이성을 잘 발휘할 때 덕을 지닐 수 있으며, 덕을 반복적으로 실 천하여 습관화함으로써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 선택지 분석 ]

ㄱ. 품성적 덕을 갖추는 것이 궁극적 목적인가?

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궁극적 목적이라고 보았다.

ㄴ. 품성적 덕을 갖추려면 실천적 지혜가 필요한가?

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은 지적인 덕과 품성적 덕으로 구분되는 데, 품성적 덕을 갖추려면 실천적 지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ㄷ. 유덕한 행동을 한 사람은 모두 유덕한 사람인가?

 한두 번의 유덕한 행동을 했다고 유덕한 사람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덕한 행위를 반복적으로 실천해 야 한다고 보았다.

ㄹ. 자제력이 부족한 사람은 앎에 반하게 행동할 수 있는가?

 아리스토텔레스는 선을 알더라도 의지의 나약함으로 인해 악 행을 저지를 수 있다고 보았다.

06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 비교

자료 분석 | 제시문의 갑은 선의 이데아를 강조한 점을 통해 플라 톤, 을은 중용의 덕을 강조한 점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임을 알 수 있다.

[ 선택지 분석 ] 갑 을

④ ㉢ ㉠

 플라톤은 현실 세계가 아닌 이데아의 세계에서 진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본 이상주의적 세계관을 주장하였고, 아리스토텔레 스는 현실 세계에서 진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두 사상가 모두 덕 있는 삶을 살 때 행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07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의 윤리 사상 비교

자료 분석 | 제시문의 갑은 에피쿠로스, 을은 스토아학파 사상가이 다. 에피쿠로스는 정신적·지속적 쾌락을 통해 욕망을 절제하면서 소극적 쾌락을 추구하였으며, 스토아학파는 자연의 법칙과 이성에 따라 운명에 순응하는 삶을 강조하였다. 두 사상 모두 욕망의 절제 를 통한 평온한 삶을 추구한 것이 공통점이다.

[ 선택지 분석 ]

ㄱ. A: 모든 욕망과 감정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02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의 윤리 사상 비교

자료 분석 | 제시된 자료에서 갑은 소크라테스이며, 을은 소피스트 인 프로타고라스이다. 소크라테스는 참된 앎이 덕 그 자체라고 보 며, 보편적 진리를 찾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였다. 반면 프로타고라 스는 선악의 객관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인간 척도설을 통해 윤리적 상대주의를 주장하였다.

[ 선택지 분석 ]

ㄱ. A: 참된 앎이 덕 그 자체임을 깨달아야 한다.

ㄴ. B: 보편적 진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ㄷ. B: 개인의 비도덕적 행동은 무지에서 비롯됨을 알아야 한다.

ㄹ. C: 선악의 객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03

소피스트와 플라톤의 윤리 사상 비교

자료 분석 | (가)의 갑은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 을은 플라톤이 다. 프로타고라스는 보편타당한 윤리를 부정하는 상대주의적 윤리 관을 주장하였으며,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중심으로 이상주의적 세 계관을 주장하였다. 플라톤은 지혜를 갖추고 선의 이데아를 인식하 는 철인이 다스리는 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로 보았으며, 수호자의 재산 공유를 주장하였다.

[ 선택지 분석 ]

① A: 누구에게나 보편타당한 규범은 존재하는가?

 프로타고라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② B: 인간이 아니라 자연을 학문의 주제로 삼아야 하는가?

 프로타고라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이 질문에는 그리 스의 자연 철학자들이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③ B: 모든 진리는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것인가?

 프로타고라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프로타고라스는 절대적 진리를 부정하였다.

④ C: 이상적 사회는 제한적으로 공유제가 실현되는 사회 인가?

 플라톤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플라톤은 전체 계급이 아닌 수호자의 재산 공유를 주장하였다.

⑤ C: 다양한 윤리적인 삶이 존재할 뿐 보편타당한 윤리는 존재하지 않는가?

 플라톤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이 질문에는 프로타고라 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04

플라톤의 윤리 사상

자료 분석 | 제시문의 사상가는 지혜를 갖춘 철학자가 통치할 때 정 의로운 국가가 된다는 철인 통치론을 주장한 점을 통해 플라톤임을 알 수 있다. 플라톤은 지혜를 갖춘 철학자가 국가 구성원의 행복을 위해 봉사하는 통치자가 되고 세 계급이 각자의 역할을 잘 수행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 선택지 분석 ]

① 민주주의는 어리석은 대중들의 정치이다.

 플라톤은 고대 그리스의 민주 정치를 비판하였다.

소크라테스

A A

프로타고라스

문서에서 정답과 해설 (페이지 57-6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