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하게 되는데, 악순환이 반복될 경우 우리 사회는 불신과 규범의 위반, 고립과 무질서 또는 정 체된 현상을 반복하게 되고, 선순환이 유지된다면, 사회구성원 간의 수준 높은 협력과 호혜 성, 신뢰하는 시민 활동과 모든 구성원이 행복해지는 보편적 복지를 지향하는 평등한 사회가 될 것이다(Putnam, 1993).

관광 분야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은 2000년대에 들어서야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연구에 서 사회적 자본은 지역주민의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와 지지, 참여 의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진숙·서영수, 2016; 박용순·제상호, 2015; 오상운·조문수, 2015). 이 밖에도 김기철(2013)은 사회적 자본에 따라 관광 이해관계자의 관광개발 정책 수용 태도와 성과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박용순과 제상호(2015)의 연구에서는 사회 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분야 중 축제와 관련하여, 허성란과 노경희(2012)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이 지역축제를 둘러싼 이해관계 자들의 파트너십과 거버넌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Kim & Shim(2018)은 한국 보문관광단지 내의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기 업들이 가지는 사회적 자본과 인지적 사회적 자본이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을 통한 성과에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를 통해, 강력한 사회적 네트워 크 안에서 비전을 공유하고, 관광 단지 내 구성원 사이에 형성된 신뢰가 지식의 공유 및 혁신 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자본의 핵심 요소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해외 연구자들은 주로 물리적 환경개선 사업의 효과측정을 위해 주민의 삶의 만족도 및 사 회적 응집력 또는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고자 하였다(Jeon & Cheong, 2014; Kim et al., 2011; Putnam, 1993; Ro & Koo, 2012; Woolcock & Narayan, 2000). 이 외에도 Jones(2005)는 지역주민들 사이의 사회적 자본과 관광개발 지지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지역사회 기반 생태관광에 주목하여, 사회적 자본이 높은 주민들은 환경 보호 문제에 대 한 인식이 높고, 관광 관련 단체 행동에 참여하려는 의지가 강했으며,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도가 높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사회적 자본 구성 요소들이 관광지 지역주민의 사회적 영향을 평가하 는 요인으로, 지역사회 기반 관광자원이나 상품 개발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내 었다. Zhang et al.(2020)은 중국의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 규범과 네트워크 이외에도 집단 효능, 공동체 소속 감, 공동체 응집력, 그리고 공동체 역량을 평가 항목으로 도출하였다. 이 요소들은 중국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형성된 관광 커뮤니티의 사회적 자본에 대해 지역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관광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다차원적 특성을 밝히고, 주민들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관 광과 관련된 사회적 자본을 지속 가능한 개발의 일부로 보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 하였다.

한편 관광객들이 지역사회 구성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를 강화한다면, 개인의 편익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사회적 자본까지도 형성시킨다는 견해도 있다(Wolf et al., 2015). 이 는 관광이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회적 효용성 강화라는 역할을 수행 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자본을 포함한 사회구성원들 간의 관계는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유지하는데 필 요한 요소이며, 관광에 대한 욕구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선행변수라고 보는 관점도 있다(이 윤주·박창환·이훈, 2020). 다시 말해 사회적 자본은 공동 규범에 협력하고 준수하려는 의도 를 향상해(Cox, 1995), 지역사회와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시너지를 촉진하고(Okazaki, 2008),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관광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Macbeth et al., 2004; Pongponrat & Chantradoan, 2012).

선행연구에서 보듯이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주민참여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주민의 삶 의 질 향상이나 사회적 자본 형성과 같은 사회적 측면의 영역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 는지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처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광학 범위 에서 특히 도시재생을 통한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지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 대 한 확장된 분석 결과를 제시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제3절 장소 정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