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neafsey(2000)은 장소 정체성은 관광개발 사업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역주

민의 장소 정체성이 부족할 때 관광개발 사업은 실패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Manzo &

Perkins (2006)는 지역주민의 관광에 대한 지지 정도는 장소 애착의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애착이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고동완·김현정, 2003; 박경옥·신문기·류지호, 2015; 이후석, 2011; 한승훈·김진옥, 2018), 또한 강영애·유광민·김남조(2012)와 신동주·

강유진(2016)은 지역주민의 장소 애착과 관광개발 지지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에 장소 정체성과 관광개발 지지 간에 유의한 관계가 도출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 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H4 : 장소 정체성은 관광개발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사회적 자본과 관광개발 지지 간의 관계에서 장소 정체성의 매개 역할

사회적 자본이 장소 정체성과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 다(Nunkoo & Gursoy, 2012; Prayag et al., 2013). 즉 개인이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 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때 집단 정체성이 강해지고 그에 따른 공통의 태도와 집단행동에 영 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정서적 요소로서 장소 정체성은 인지적인 요소와 행동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Bagozzi, 1992; Wang et al., 2020).

본 연구는 주민들의 사회적 자본과 장소 정체성이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 관 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광개발의 넓은 범주 안에서 도시재생사 업이라는 하위 변수를 구체적으로 또 별개의 변수로 고찰하였다. 다시 말해 장소 정체성이 도 시재생사업을 포괄하여 관광개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냄으로써 장소 정체성의 역 할을 밝혀내고자 한다. 따라서 도시재생 관광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대상 지역인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장소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 구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다섯 번째 가설을 설정하였다.

H5 : 장소 정체성은 사회적 자본과 관광개발 지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 설정 과정과 각 변수를 소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이들 사이의 구조 관계를 수정·설계하여, 가설과 함께 그림 으로 표현한 것이 아래의 <그림 3-2>이다.

<그림 3-2> 수정된 연구모형 및 가설

제2절 조사 설계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본 연구는 쇠퇴한 구도심 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관광개발 사업이 추진된 지역주민을 대상 으로 C-A-B(Cognition-Affect-Behavior) 모델을 적용하여 장소 정체성이 매개변수로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받아 도시재생 관광개발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두었던 장소 정체성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거주지역 및 출생 지역을 분류 기준으로 하여 경로효과에 대한 차이 를 검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