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단원 요약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70-75)

검사를 치르는 과정 및 검사 결과표를 받는 것에 따른 교육적 효과, 그리 고 교육적 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Ⅲ-27> 참조).

첫째, 절반 이상이 학생들이 검사를 치르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능력이 중

요함을 인식(54.1~57.9%)하였으며, 자아성찰의 기회가 되었다(54~157.6%)라 고 반응함으로써 검사가 교육적인 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전에 검사에 대해서 가졌던 기대와 검사 결과 반영의지가 높았던 학생일수록, 또한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가 높았던 학생일수록 검사를 치르는 과정에서 다양한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아성찰의 기회가 되었 다고 인식하였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14),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더욱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검사 결과를 통하여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진 정도는 긍 정반응 비율이 20%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검사 결과에 나 온 직업을 진로로 선택하겠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도 20.2~20.8%로 그리 높지는 않았다.

넷째, 사전에 자아이해를 잘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검사 결과를 잘 이해하 였다고 인식한 학생일수록 검사 결과를 신뢰하고, 진로선택에 반영하며, 능 력에 대하여 자신감을 갖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검사 결과에 대한 안내 는 일관되게 안내가 없는 경우가 안내가 있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나, 비 디오를 통한 결과 안내가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반응을 초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14) 성별의 차이가 본 연구에 포함된 여학교 및 남학교의 개별 특성으로 인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남녀공학인 중학교 2개교 학생만으로 재분석한 결과, 동일한 결과 가 확인되었다.

<표 Ⅲ-27> 검사과정 및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조사 요약

변인 구분

다양한 능력의 중요성 인식

자아성찰의 경험

능력에 대한자신감

결과 진로선택에

반영 의지 긍정반응 비율 54.1~57.9 54.1~57.6% 23~30.1% 20.2~20.8%

회귀분석 독립변인

성별 **(남자) *(남자)

중고 **(중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성적 *(부적관계)

기대(사전) ** **

반영의지(사전) ** ** **

자아이해(사전) ** ** ** **

탐색동기(사전) ** **

시험방식 *

안내유무 포함안됨 포함안됨 **(안내없음) **(안내없음)

호감도 포함안됨 포함안됨

객관성 포함안됨 포함안됨 *(부적관계)

결과이해 포함안됨 포함안됨 ** **

주) **: p≤.001 *: .01<p≤.05, 빈칸: p>.05/ 괄호 안은 점수가 더 높은 집단

본 연구에서는 적성검사를 받음으로써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가 적성 검사를 치르기 전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검사 결과를 받은 지 1개월 후에는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 전체를 놓고 볼 때 자아이해의 정도는 변화가 없었으며, 진로탐색 동기는 오히려 검사 결과를 받은 후에 감소하여 그 상태가 1개월 후까지 유지되었다. 또한, 검사에 대한 기대는 감소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반 영하려는 의지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의 정도를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는 검사의 부정적 효과라고 단정지을 수 없으며, 반복되는 설문에 의한 자연스런 반응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적성검사를 치르고 결과를 받는 것이 자아이해 변화를 다양한 특성 수준에 따라 검토한 결과 특성-처치간이 상호작용이 확인되었다. <표 Ⅲ-30>

에서 ○ 표시된 경우가 특성 수준에 따라 변화양상에 차이가 나타난 경우이 다. 일반적으로 각 특성별로 수준이 낮은 집단은 검사 결과를 받은 후 증가 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에, 수준이 높았던 집단은 검사 결과를 받은 후 감소

하면서 그것이 1개월 후까지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른 변화는 오히려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즉, 검사 결과 이해 수준 이 높은 집단은 검사 결과를 받은 직후에 오히려 다소 증가한 반면에, 검사 결과 이해 수준이 낮은 집단은 검사 결과 직후에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검사 결과를 잘 이해하는 것이 검사의 교육적 효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 Ⅲ-28> 적성검사 실시 전후의 진로관련 특성 변화 요약

자아이해 진로탐색 동기

검사에 대한

기대 결과반영의지

전체 집단 변화 양상 불변 감소 후 유지 감소 후 유지 불변

수준별 차이가 검토된 변인

기대(사전) × × ○ ○

자아이해(사전) ○ × × ×

탐색동기(사전) × ○ ○ ×

학업성적 ○ × × ×

검사 결과

이해 × ○ ○ ×

○: 수준에 따라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음.

×: 수준에 따라 변화 양상에 차이가 없음.

소규모 집단 상담 상황에서 전문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한 경우에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는가를 추가로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검사 과정의 교육적 효과및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가 전반적으 로 전체 실험집단보다 소집단 상황에서 높게 나옴으로써, 전문가에 의한 검 사 해석이 있을 경우 검사의 교육적 효과가 매우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자아이해와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경향은 전체집단과 유사한 흐름으 로 나타났다. 즉, 자아이해의 정도는 변화가 없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 로탐색 동기와 검사에 대한 기대가 감소하는 점이다. 다만, 자아이해의 경우 적은 사례수로 인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전체집단과는 달

리 검사 직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전문상담원에 의한 검사 해석이 이루어진 경우 자아이해에 다소 더 도움이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검사에 대한 호감도, 객관적으로 응답한 정도, 검사 결과 이해 및 검 사 결과에 따른 진로선택 의지는 전체 집단에 비해서 소집단 상담에 참여한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상세한 안내에 따른 검사 결과의 활용이 다양한 교육적 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소집 단 상담에 참여한 학생이 성적이 우수한 여고생이었으며, 자발적으로 검사 실시에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이러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7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