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특성에 따른 변화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54-61)

1) 초기 기대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학생들이 가졌던 검사에 대한 기대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자아이해 및 진 로탐색 동기가 검사 결과를 받은 후, 검사 결과를 받은 지 1개월 후에 어떻 게 변하는가를 검토하였다. 사전조사 시 검사에 대한 기대 수준을 표준점수

±1을 기준으로 하여 상, 중, 하로 나누고, 각 집단별로 반복측정분석을 실시 한 결과가 <표 Ⅲ-11>이다.

기대 수준에 따른 변화 패턴의 차이가 없이 모든 집단에서 자아이해의 정 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다만 진로탐색 동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Ⅲ-1] 참조). 이러한 결과는 전체 집단의 변화 흐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으로서 검사에 대한 초기 기대의 수준에 따른 변화 양상의 차이는 없음을 확인하였다.

<표 Ⅲ-11> 초기 기대 수준별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기대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자아이해

하 3.24 3.33 3.17 개체내 1.35 0.26 중 3.51 3.49 3.52 개체간 18.82 0.00**

상 3.78 3.78 3.74 상호작용 1.49 0.20 진로탐색동기

하 3.86 3.63 3.47 개체내 37.89 0.00**

중 4.11 3.85 3.82 개체간 24.81 0.00**

상 4.42 4.26 4.08 상호작용 1.22 0.30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의 수준별 차이

자아이해 진로탐색 동기

[그림 Ⅲ-1]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수준별, 시점에 따른 특성 변화

2)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전체 집단과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표 Ⅲ-12 참조>). [그림 Ⅲ-2]에서 보듯이, 초기 자아이해 수준이 낮았던 집단은 검사 결과 직후에 자아이해의 정도가 오히려 증가한 반면에, 초기 기대 수준이 높았던 집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탐색 동기는 전체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검사 결 과를 받은 직후 감소하고, 그 상태가 1개월 후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표 Ⅲ-12>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기대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자아이해

하 2.34 2.88 2.86 개체내 0.31 0.74 중 3.49 3.50 3.50 개체간 281.13 0.00**

상 4.55 4.09 4.04 상호작용 32.03 0.00**

진로탐색동기

하 3.91 3.70 3.67 개체내 35.23 0.00**

중 4.10 3.85 3.79 개체간 11.00 0.00**

상 4.39 4.11 3.97 상호작용 0.72 0.58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의 수준별 차이

자아이해 진로탐색 동기

[그림 Ⅲ-2] 자아이해의 수준에 따른 제 특성의 변화

3) 초기 진로탐색 동기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별로 검토한 결과, 자아이해는 전체집단과 큰 차 이가 없었다(<표 Ⅲ-13> 참조). 그러나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이 높았던 학생들은 향후 진로탐색 동기가 감소하는 반면에, 초기 진로탐색 동기가 낮 았던 학생들의 경우 오히려 진로탐색 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 향을 보였지만, 수준별 변화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양상은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 었다([그림 Ⅲ-3] 참조). 초기에 진로탐색 동기가 높았던 경우는 검사 결과를

받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초기 진로탐색 동기가 낮았던 학생들 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표 Ⅲ-13>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기대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자아이해

하 3.26 3.29 3.31 개체내 0.08 0.93 중 3.51 3.54 3.51 개체간 9.73 0.00**

상 3.69 3.60 3.60 상호작용 0.88 0.48 진로탐색동기

하 3.17 3.36 3.41 개체내 28.45 0.00**

중 4.13 3.89 3.78 개체간 144.59 0.00**

상 4.91 4.28 4.28 상호작용 24.47 0.00**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의 수준별 차이

자아이해 진로탐색 동기

[그림 Ⅲ-3] 진로탐색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 학업성적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학업성적은 각 학교별 1학기말 성적 총점을 학교 내 평균과 표준편차로 계산한 z점수의 ±1을 기준으로 상중하로 구분하여 자아이해의 정도 및 진 로탐색동기의 변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학업성적이 중간인 학생들의 자아이

해 정도가 검사 결과를 받은 직후에는 변화가 없다가 1개월 후에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으나 그 감소의 폭은 매우 적었다(<표 Ⅲ-14> 참조).

진로탐색 동기는 전체 집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집단에서 검사 결 과를 받은 직후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Ⅲ-4] 참조).

<표 Ⅲ-14> 학업성적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성적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자아이해

하 3.52 3.42 3.54 개체내 0.65 0.52 중 3.53 3.53 3.45 개체간 0.19 0.83 상 3.49 3.51 3.62 상호작용 2.57 0.04*

진로탐색동기

하 3.94 3.67 3.64 개체내 29.60 0.00**

중 4.01 3.73 3.70 개체간 2.08 0.13 상 4.10 3.90 3.77 상호작용 0.30 0.88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의 수준별 차이

자아이해 진로탐색 동기

[그림 Ⅲ-4] 학업성적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검사 결과의 이해 수준과 무관하게 자아이해의 정도는 변화가 없었으며, 진로탐색 동기 또한, 검사 결과 이해 수준과 무관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 다(<표 Ⅲ-15> 참조). 이러한 결과는 전체 집단의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자아이해의 정도와 진로탐색 동기는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다([그림 Ⅲ-5] 참조).

<표 Ⅲ-15>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 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이해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자아이해

하 3.20 3.22 3.33 개체내 0.30 0.74 중 3.52 3.51 3.49 개체간 21.01 0.00**

상 3.78 3.86 3.73 상호작용 1.82 0.12 진로탐색동기

하 3.93 3.55 3.52 개체내 38.56 0.00**

중 4.12 3.88 3.84 개체간 19.78 0.00**

상 4.33 4.26 4.01 상호작용 2.69 0.03*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의 수준별 차이

자아이해 진로탐색 동기

[그림 Ⅲ-5] 검사 결과이해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검사 결과 반영 의지의 변화

가. 일반적 변화 경향

학생들이 검사를 통하여 자신의 능력을 알 수 있으며, 진로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는 검사에 대한 기대의 정도는 검사를 치 르기 전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검사 결과를 받은 후에는 감소하였다(<그 림 Ⅲ-16> 참조). 검사 결과를 진로선택에 반영하고자 하는 의지는 검사 전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Ⅲ-16>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평균

F P

사전 결과받은후 1개월후

검사에 대한 기대 9.88 9.21 9.27 22.39 0.00**

결과 반영 의지 7.74 7.54 7.59 1.94 0.14

검사에 대한 기대 감소는 통제집단에도 미약하게나마 나타났으며, 사전 점 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Ⅲ-17> 참조), 검사를 치른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검사를 치르는 것 자체가 검사에 대한 기대를 감소시켰다기 보다는 반복되는 설문에 응답하는 데서 오는 경향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 로 볼 수도 있다.

<표 Ⅲ-17> 검사 실시 집단과 통제 집단의 1개월 후 비교 AN COVA 결과

실험집단 통제집단

F P 실시전 1개월후 실시전 1개월후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검사에 대한 기대 9.72 2.44 9.26 2.58 9.36 2.56 9.31 2.69 1.11 0.29 결과 반영 의지 7.72 2.57 7.60 2.48 7.52 2.47 7.63 2.47 0.19 0.66

주) 공변인: 사전 점수, 종속변인: 1개월 후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5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