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특성 수준별 변화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61-68)

<표 Ⅲ-17> 검사 실시 집단과 통제 집단의 1개월 후 비교 AN COVA 결과

실험집단 통제집단

F P 실시전 1개월후 실시전 1개월후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검사에 대한 기대 9.72 2.44 9.26 2.58 9.36 2.56 9.31 2.69 1.11 0.29 결과 반영 의지 7.72 2.57 7.60 2.48 7.52 2.47 7.63 2.47 0.19 0.66

주) 공변인: 사전 점수, 종속변인: 1개월 후

<표 Ⅲ-18> 초기 기대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기대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검사에

대한 기대

하 2.00 2.70 2.53 개체내 10.55 0.00**

중 3.34 3.07 3.12 개체간 162.96 0.00**

상 4.38 3.45 3.52 상호작용 49.60 0.00**

검사 결과 반영 의지

하 2.05 2.32 2.24 개체내 0.83 0.44 중 2.61 2.52 2.55 개체간 23.68 0.00**

상 3.01 2.68 2.72 상호작용 6.13 0.00**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의 수준별 차이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결과 반영 의지

[그림 Ⅲ--6] 초기 기대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2)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초기 자아이해의 수준에 따른 수준별 변화 양상은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공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Ⅲ -19> 참조). 개체내 효과의 유의미함이 드러내듯이 검사에 대한 기대는 전반 적으로 감소하였지만, 그것이 자아이해의 수준에 따라서 다른 양상으로 나타 나지 않았다.

한편, 검사 결과 반영의지는 전체집단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준별 변화 양상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그림 Ⅲ-7]

참조)

<표 Ⅲ-19>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자아이해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후 검사에

대한기대

하 2.91 2.62 2.73 개체내 10.01 0.00**

중 3.33 3.07 3.11 개체간 24.72 0.00**

상 3.46 3.41 3.30 상호작용 1.18 0.32 검사 결과

반영 의지

하 2.46 2.42 2.44 개체내 0.84 0.92 중 2.61 2.50 2.51 개체간 2.18 0.11 상 2.57 2.67 2.67 상호작용 1.35 0.25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의 수준별 차이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결과 반영 의지

[그림 Ⅲ-7] 자아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3)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에 따른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이 중간 이상인 집단은 시간에 따라서 검사에 대 한 기대가 낮아졌으나, 초기 동기 수준이 낮았던 학생들의 경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Ⅲ-20> 참조).

검사 결과를 반영하고자 하는 의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으

나, [그림 Ⅲ--8]에서 보듯이 초기 동기 수준이 높았던 학생들은 결과를 반영 하려는 경향이 감소한 반면에, 초기 동기 수준이 낮았던 학생들은 오히려 증 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표 Ⅲ-20> 초기 진로탐색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진로탐색 동기 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 후

검사에 대한기대

하 2.91 2.92 2.91 개체내 10.17 0.00**

중 3.34 3.09 3.11 개체간 9.05 0.00**

상 3.45 3.13 3.20 상호작용 2.35 0.05*

결과 반영 의지

하 2.38 2.49 2.51 개체내 0.73 0.48 중 2.61 2.54 2.53 개체간 1.13 0.32 상 2.66 2.47 2.54 상호작용 1.90 0.10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의 수준별 집단간 차이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결과 반영 의지

[그림 Ⅲ-8]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 학업성적 수준에 따른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검사 결과 반영 의지는 학업성적이 중간인 학생의 경우에 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으며,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

들은 검사 결과 반영 의지가 검사 결과를 받은 직후 많이 감소하다가 사후 조사에서는 다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수준별 변화 양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표 Ⅲ-21>, [그림 Ⅲ-9] 참조).

<표 Ⅲ-21> 성적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성적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 1개월 후

검사에 대한 기대

하 3.17 3.03 3.12 개체내 6.46 0.00**

중 3.29 3.09 3.07 개체간 1.10 0.33 상 3.37 3.18 3.19 상호작용 0.44 0.78

결과 반영 의지

하 2.54 2.58 2.59 개체내 0.76 0.47 중 2.53 2.53 2.51 개체간 0.21 0.81 상 2.65 2.43 2.57 상호작용 1.35 0.25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의 수준별 집단간 차이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결과 반영 의지

[그림 Ⅲ-9] 학업성적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검사에 대한 기대는 검사 결과의 이해 수준에 따라서 현저하게 다른 양상 을 보였다(<표 Ⅲ-22>, [그림 Ⅲ-10] 참조). 즉, 검사 결과를 잘 이해하였다고 인식한 집단은 검사에 대한 기대가 검사 결과를 받은 직후에 오히려 증가한

반면에, 검사 결과를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의 경우 검사에 대한 기대가 현격 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검사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 할 경우, 검사를 통하여 자아 이해가 가능하다는 기대를 하기 힘들게 된다.

반면에, 검사 결과의 반영의지 또한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라서 그 변 화 양상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 반영 의지가 높았던 집 단은 검사 결과를 받은 직후에 그 정도가 증가하였다가 1개월 후 감소한 반 면, 검사 결과 반영의지가 낮았던 집단은 그와 정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표 Ⅲ-22>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 측정 분석 결과

이해수준 문항평균

효과 F P 사전 결과직후1개월후

검사에 대한 기대

하 2.91 2.07 2.57 개체내 21.27 0.00**

중 3.29 3.14 3.12 개체간 123.65 0.00**

상 3.79 3.94 3.55 상호작용 19.20 0.00**

결과 반영의 지

하 2.28 2.07 2.23 개체내 0.47 0.62 중 2.65 2.58 2.57 개체간 22.43 0.00**

상 2.59 2.74 2.69 상호작용 2.39 0.05*

주) 개체내 : 시간에 따른 차이, 개체간 : 수준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의 수준별 차이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결과 반영 의지

[그림 Ⅲ-10]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관련 특성 변화 차이

각 학교별로 적성검사를 실시한 4학급 외에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 하여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검사 결과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진로결정 및 미결정에 대한 편안함, 자아이해의 정도, 진로탐색 동기의 정도를 검사를 실 시하기 전과 검사 결과를 받은 후 1개월 뒤에 다시 측정하였다.

<표 Ⅲ-23>은 1개월 후의 특성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비교하기 위 하여 사전조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공변 량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진로관련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검사를 치르고 검사 결과를 받음으로써 학생들에 게 나타났던 변화들, 진로탐색 동기의 감소, 검사에 대한 기대 감소 등은 모 두 통제집단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난 것으로서 반복된 질문에서 오는 호기심 의 감소, 혹은 방학을 앞둔 학사 일정 상의 특성 등이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 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적성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적어도 1개월 정 도에서는 진로 관련 특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Ⅲ-2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검사 결과 받은 지 1개월 후 평균 및 공변량 분석 결과

실험집단 통제집단 공변량분석

실시전 결과1개월후 실시전 결과1개월후 결과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F P 자아이해 17.51 3.52 17.43 3.82 17.69 3.72 17.23 3.96 1.42 0.23 탐색동기 28.66 4.63 26.53 5.56 29.31 4.73 27.27 5.80 0.99 0.32 기대 9.72 2.44 9.26 2.58 9.36 2.56 9.31 2.69 1.11 0.29 결과반영의지 7.72 2.57 7.60 2.48 7.52 2.47 7.63 2.47 0.19 0.66

6. 전문 상담원에 의한 집단 상담 상황에서의 검사의 효과

학교에서 교사에 의한 집단적 검사 실시와 해석이라는 상황으로 인하여 검사의 효과가 과소 평가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집단 상담 상황에서 전문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서 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한 경우에 어떠한 교육 적 효과가 나타났는가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서울 시 내 여자고등학교 2학년 22명에 대하여 2시간 7명 정도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2시간 동안 검사 해석이 이루어졌으며, 검사를 치루기 전과 검사 결과를 받 은 후, 그리고 그로부터 1개월 경과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6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