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검사 결과를 진로선택에 반영하고자 하는 정도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50-53)

검사 결과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정도를 물어보는 문항들에서의 반응은 <표 Ⅲ-7>과 같다. 검사 결과에 상관없이 직업을 선택하겠다는 학생 이 44.4%로서, 검사 결과를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는 학생들이 대다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0.2%의 학생들이 검사 결과에 제시된 직업들을 자신의 진로로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이는 검사 결과를 중요시 하여 따르겠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검사 결과가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과 일

치하는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표 Ⅲ-7> 검사 결과 반영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단위:%)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1 5.4 15.4 33.8 24.8 20.6 100.0

2 15.3 24.8 39.7 14.5 5.7 100.0

문항1: 검사 결과에 상관없이 직업을 선택할 것이다.

문항2: 검사 결과에 제시된 직업들을 내 진로로 선택하고자 한다.

진로결정 직업적성검사의 결과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겠다는 정도와 관련 된 변인들을 알아보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표 Ⅲ-8>이다. 성적 이 낮은 학생일수록, 검사를 치를 때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학생일수록, 또한, 사전에 검사 결과를 진로선택에 반영하겠다는 의지, 자아 이해의 정도가 높았던 학생일수록, 이번 적성검사 결과에 따라 진로를 선택 하겠다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검사 결과를 진로선택에 반영하겠다는 속성이 매우 복합적인 것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검사 결과에 대한 안내가 없는 집단일수록 검사 결과를 진로선택에 반영하려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표 Ⅲ-8> 검사 결과 반영 의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B 표준오차 베타

성별 0.25 0.17 0.07 1.48 0.14

중고 0.14 0.17 0.04 0.86 0.39

성적 -0.16 0.07 -0.08 -2.16 0.03*

기대(사전) 0.01 0.03 0.01 0.30 0.77

반영의지(사전) 0.15 0.03 0.20 4.94 0.00**

자아이해(사전) 0.06 0.02 0.10 2.53 0.01**

탐색동기(사전) -0.01 0.02 -0.01 -0.28 0.78

안내유무 0.36 0.14 0.09 2.49 0.01**

시험방식 -0.03 0.14 -0.01 -0.21 0.84

호감도 0.07 0.04 0.09 1.86 0.06

객관성 -0.10 0.04 -0.11 -2.44 0.02*

결과이해 0.28 0.03 0.37 8.97 0.00**

R=.50/ 성별(남자=1, 여자=2), 중고(중=1, 고=2), 안내유무(유=0, 무=1), 시험방식(0=지필, 1=인터넷)/ N=548

3.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적성검사의 교육적 효과로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검사 결과를 받음으로써 학생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이다. 과연 학생들이 검사 결과를 받음 으로써 자아이해의 정도가 더 깊어지며, 진로 선택에 대한 확신이 생기거나 혹은 진로탐색의 동기가 높아지는가를 확인하는 것은 검사가 일상적으로 활 용되고 있는 오늘의 진로지도 현실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직업적성검사를 실시하고 결과표를 받는 것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사를 치르기 전, 검사 결과를 받은 직 후, 검사 결과를 받은 지 1개월 후, 총 3회의 시점에 걸쳐서 자아이해의 정 도와 진로탐색 동기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그 기간 동안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와 적성검사 결과를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를 검토하였다.

검사 결과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비교하는 방법은 첫째, 전체 집단의 시간

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지의 여부를 검토한 후에, 둘째,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몇 가 지 특성 수준별로 반복측정분석을 하였다. 학생들이 초기에 검사에 대해서 가졌던 기대수준의 정도, 자아이해의 정도, 진로탐색의 동기 수준, 학업 성적 수준에 대하여 각각 z 점수를 계산하여 1 이상은 상 , -1에서 1 사이는 중 , -1 이하는 하 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변화 정도 및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5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