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공인타당도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35-38)

1) 타 적성검사와의 상관

검사의 공인 타당도를 진로탐색검사(안창규, 1995) 및 종합진로적성검사(박 도순 외, 2000)와의 상관의 정도를 통하여 알아보았다(<표 Ⅱ-1> 참조). 두 검사를 본 검사의 공인타당도 검토를 위한 준거검사로 선택한 이유는 첫째, 두 검사가 자기 평가식 적성검사라는 점과, 둘째, 진로탐색검사의 경우 현재 많은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단, 진로탐색검사는 능력만을 포함 한 것이 아니라 성격, 흥미, 직업, 유능감을 포함한 총점 개념으로 유형을 제 시하고 있으므로, 하위영역별 유능감 점수만을 가지고 상관의 정도를 계산하 였다.

직업적성검사와 두 검사는 하위영역이 부분적으로만 일치하므로 일대일로 대응하여 논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대체로 논리적으로 상정할 수 있는 상관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종합진로적성검사와

명백하게 하위 영역이 일치하는 신체운동능력, 손재능, 대인관계능력은 각각 상관의 정도가 .72, .60, .77로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직업적성검사 의 수리・논리력과 진로탐색검사의 탐구형 점수의 상관은 .50으로, 상대적으 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하위영역이 직접적으로 대응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상관을 예상할 수 있는 하위영역간에는 직접적인 대응관계에 있는 하위영역보다는 낮지만, 다 른 하위영역들간의 상관보다는 높게 나타나 변별타당도를 보였다. 구체적으 로 예를 들면, 직업적성검사의 음악 능력과 종합진로적성검사의 예술능력 (.47) 및 진로탐색 검사의 예술형 점수(.42), 직업적성검사 언어 능력과 종합 진로적성검사 대인관계능력(.42) 및 진로탐색검사 기업형(.50), 직업적성검사 대인관계능력과 진로탐색검사의 사회형(.40) 및 기업형(.50)과의 상관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직업적성검사의 창의력은 종합진로적성검사에서는 예술능력과의 상 관(.37)보다 대인관계능력과의 상관(.47)이 더 높고, 진로탐색검사에서도 예술 형과의 상관(.26)은 낮은 반면에 기업형(.40)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통 상적으로 예술적 분야가 창의력이 요청된다는 가정과는 불일치한 결과가 나 타났다. 이는 직업적성검사에서 측정하고 있는 창의력 문항들이 호기심, 융 통성, 생각의 유창성,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능력, 독창성에 관련된 것으로서 예술분야에 대한 관심과 능력과는 다소 구별되는 데에 기인한다.

직업적성검사의 타 적성검사와의 상관 정도를 검토한 결과를 다시 정리하 자면, 논리적으로 가정되는 방향으로 상관의 정도 및 방향이 나타남으로써 직업적성검사의 공인타당도에 대한 근거가 제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Ⅱ- 1> 직업적성검사의 타 적성검사와의 상관 구분

본검사 하위영역

준거검사 및 하위영역

종합진로적성검사 진로탐색검사 유능감 신체

운동 수공 예술 대인

관계 실재 탐구 예술 사회 기업 관습 신체 운동 .72 .23 .17 .45 .26 .10 -.08 .10 .29 -.02 손 재 능 .33 .60 .15 .14 .35 .06 .15 -.06 .04 .17 공간・시각 .30 .44 .36 .35 .30 .17 .27 .16 .26 .14 음 악 .14 .06 .47 .24 .04 .03 .42 .08 .13 -.03 창 의 .15 .30 .37 .47 .23 .25 .26 .15 .40 .07 언 어 .15 .28 .35 .42 .14 .16 .20 .11 .50 .11 수리・논리 .11 .21 .22 .27 .17 .50 -.07 .10 .27 .26 자아 성찰 .18 .20 .17 .32 .10 .14 .07 .05 .27 .16 대인 관계 .39 .14 .35 .77 .11 .04 .08 .40 .50 -.12 자연 친화 .23 .32 .22 .19 .03 .12 -.04 .07 .01 .17 주): 서울시내 남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74명의 자료임.

출처: 임언・정윤경(2001)

2) 학업성적과의 관계

직업적성검사의 공인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한 또 하나의 근거로 학업성적 과의 상관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직업적성검사의 하위영역 점수들이 학업성 적과 어떤 상관을 갖는가를 서울시내 남자고등학교 1학년 173명과, 여자 고 등학교 1학년 183명에 대한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표 Ⅱ-2>에서 보듯이, 직업적성검사의 하위영역과 높은 상관이 예상되는 과목과는 높은 상관을 보이고, 여타의 과목과는 낮은 상관을 보임으로써 변 별 및 수렴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Ⅱ-2> 직업적성검사와 학업성적과의 상관

윤리 국어 공통 수학

공통 사회

공통

과학 체육1 미술1 음악1 기술 공통 영어

학 교 1

신체운동 -.04 -.07 -.02 -.07 -.05 .29 .01 -.03 .03 -.05 손재능 .14 .06 .02 .05 .03 .17 .20 .04 .16 .04 공간・시각 .11 .04 .01 .08 .06 .18 .23 .10 .12 .05 음악 -.04 -.02 -.04 -.04 -.04 .04 .02 .20 -.04 .03 창의 .04 .16 .11 .09 .02 .05 .06 .02 .04 .12 언어 .27 .34 .14 .27 .20 .19 .24 .19 .22 .19 수리・논리 .52 .55 .71 .52 .59 .43 .46 .48 .51 .54 자아성찰 .18 .16 .00 .17 .12 .14 .24 .12 .14 .12 대인관계 -.03 -.01 -.03 -.04 -.05 .18 .04 -.02 -.03 .00 자연친화 -.03 -.04 -.02 .01 -.07 .03 .08 .05 -.02 -.06

학 교 2

신체운동 .10 .03 .05 .09 .15 .24 .07 .19 .09 .09 손재능 -.05 -.03 -.08 .00 -.03 -.12 .06 .03 -.08 -.10 공간・시각 .05 .02 .00 .11 .09 .01 .17 .19 .03 .05 음악 .07 .10 -.08 .11 .06 .04 .10 .46 .06 .06 창의 .05 -.02 -.06 .03 .00 .05 .02 .04 .01 .00 언어 .21 .16 -.04 .19 .07 .07 .10 .18 .10 .11 수리・논리 .30 .28 .53 .31 .40 .27 .21 .12 .29 .33 자아성찰 .21 .05 -.06 .13 .08 .12 .11 .10 .06 .05 대인관계 -.03 -.11 -.13 -.08 -.09 -.03 -.08 .05 -.09 -.10 자연친화 .02 .02 .03 .07 .07 .00 -.04 -.05 .03 -.03 주 ) 학교 1: 서울 시내 일반계 남자고등학교 1개교 1학년 173명에 대한 자료임.

학교 2: 서울 시내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1개교 1학년 183명에 대한 자료임.

출처: 임언・정윤경(2001)

문서에서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페이지 3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