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단기 전망

문서에서 Ⅱ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33-36)

1.2.1. 2022양곡연도 수급 및 가격 전망

∙ 콩 가격은 생산량 뿐만 아니라 정부의 수매량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는 정부 수매물량 증감에 따라 시장공급물량이 변동되기 때문이다.

- 정부 수매량은 농가수취가격과 정부 수매가격 간의 차이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농가 수취가격이 정부 수매가격 대비 월등히 높을 경우 시장출하가 늘어 수매량은 감소하 나, 농가수취가격이 정부 수매가격과 비슷하거나 낮게 형성되면 수매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콩 국내 생산량 대비 수매량 비율을 보면 2019년에는 15.9%에 달하였으나, 2020년에 는 작황 악화로 농가수취가격이 정부 수매가격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국내 생산량 대비 수매량 비율이 0.7%에 그쳤다.

∙ 2021년산 예상 농가수취가격이 정부 수매가격(일반수매)보다 높게 형성되어 현재까지 수매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수확기 시장가격을 반영하는 ‘품종구분수 매’의 수매가격이 정부 수매가격(일반수매, 4,700원/kg) 대비 높게 책정된다면 수확기 농가수취가격과 정부 수매가격(품종구분수매)의 격차가 축소되며 수매량(수매는 3월 말까지 진행)이 현재 수준(1월 초 기준 1,200여 톤)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1년산 수매량 증가는 시장공급물량 감소로 이어져 향후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폭 확대를 일부 제한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1-4 ] 콩 수매 현황

단위: 톤, %, 원/kg 구분 생산량 (A) 수매량 (B) 생산 대비 수매

비중 (B/A) 정부 수매가격 (C) 농가수취가격 (D)

가격 차이 (C-D)

2014년산 139,267 9,409 6.8 3,868 3,270 598

2015년산 103,504 11,424 11.0 3,868 3,428 440

2016년산 75,448 2,114 2.8 3,868 3,779 89

2017년산 85,644 10,727 12.5 4,011 3,766 245

2018년산 89,410 547 0.6 4,200 4,405 -205

2019년산 105,340 16,769 15.9 4,500 4,399 101

2020년산 80,926 557 0.7 4,500 5,017 -517

2021년산 110,781 1,200 1.1 일반 4,700 5,107

(추정)

-407

품종구분(추정) 5,483 376

주 1) 정부 수매가격은 일반콩 대립종 최고가 기준이며, 2019~2021년산의 수매가격은 특등 기준임.

2) 농가수취가격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콩 유통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21년은 평년 (2016~2020년)의 수확기 시장가격(12~1월 국산 콩 상품 도매가격 평균) 대비 농가수취가격 비율을 토대 로 추정한 것임.

3) 품종구분수매 가격은 당해연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의 평균 가격에 품종구분수매 매입단가 기준을 적용하나 아직 1월 가격이 확정되지 않아, 2021년 품종구분수매 가격(전망치)은 수확기(2021.12) 평균 도매가격에 품종구분수매 매입단가 기준(도매가격의 87.6%)을 적용한 추정치임.

4) 2021년 가격 차이(C-D)는 2021년 농가수취가격(추정치, 5,107원)을 일반콩 대립종 특등 가격(4,700원)과 품종구분수매 추정가격에 각각 차감하여 산출함.

5) 2021년산 수매물량은 2021년 12월 1일∼2022년 1월 3일 기준이며, 수매는 3월 말까지 진행되므로 향 후 변동될 수 있음.

자료: 통계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022양곡연도 콩 수급은 생산량이 전년 대비 36.9% 증가한 반면, 정부 순매입량이 증가 하여 연간 시장공급물량 기준으로는 28.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정부 수매물량 이 현재 수준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시장공급물량 증가분이 줄어들 것으로 예 상된다.

∙ 단경기 콩 가격은 시장공급물량 증가폭이 커 수확기 가격 대비 하락하나, 정부 수매물량 확대와 가정 내 소비 증가 추세 지속 전망 등으로 하락폭이 제한될 것으로 판단된다.

[ 표 11-5 ] 2022양곡연도 콩 수급 전망

단위: 톤, %

구분 2021양곡연도

(추정, A)

2022양곡연도 (전망, B)

차이

증감(B-A) 증감률(B/A)

생산량(a) 80,926 110,781 29,855 36.9

정부 이월재고량 8,122 3,740 -4,382 -54.0

연간 정부 순매입량(b=c-d) -4,382 1,200 5,582 127.4

- 수매물량(c) 557 1,200 643 115.4

- 방출량(d) 4,939 - - - 

연간 시장공급물량(e=a-b) 85,308 109,581 24,273 28.5

주 1) 2022양곡연도 정부 이월재고량은 2021양곡연도 정부 이월재고량에서 2021양곡연도 연간 정부 순매 입량을 합하여 산출함.

2) 연간 시장공급물량은 당해연도 시장에 공급된 물량을 의미하며 생산량에서 ‘연간 정부 순매입량’을 차감하여 산출함.

3) 2021년산 수매물량은 2021년 12월 1일∼2022년 1월 3일 기준이며, 수매는 3월까지 진행되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음.

자료: 통계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1.2.2. 2022년 재배의향면적

∙ 2022년 콩 재배의향면적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5만 4,519ha이다.

- 논콩은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종료에도 불구하고, 작황 호조에 따른 조수입 및 수익 성 향상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한 1만 878ha로 조사되었다.

- 밭콩은 전년 수준인 4만 3,641ha이다. 작황 호조에 따른 수익성 향상 등의 영향에도 불 구하고 농가 고령화에 따른 재배 어려움 등의 요인으로 재배의향면적은 전년 재배면적 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표 11-6 ] 2022년 콩 재배의향면적

단위: ha, % 구분 2021년(확정, A) 2022년(재배의향, B) 전년 대비 증감률(B/A)

합계 54,444 54,519 0.1

논콩 10,660 10,878 2.0

밭콩 43,784 43,641 -0.3

자료: 통계청, 농업관측센터 콩 표본농가 조사결과(2021.12.14.~12.21.)

문서에서 Ⅱ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3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