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설문조사

문서에서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 연구 (페이지 34-38)

다문화가정의 영유아가 재원하고 있는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육아지원 실태와 요 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해당 유치원과 보육시설 총 250기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별 분포를 고려하여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과 시청, 지역교 육청과 시군구청 다문화가정 및 학생 관련업무 담당자의 협조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가 재원하는 기관 명단을 파악하였다. 단위기관별로 연락하여 각 기관을 대표하여

구 분 빈도 백분율 기관

유형

보육시설 113 52.3

유치원 103 47.7

기관 설립 유형

국공립어린이집 22 10.2

민간어린이집 37 17.1

법인어린이집 34 15.7

가정어린이집 10 4.6

국공립유치원 49 22.7

사립유치원 64 29.6

기관 소재지 규모

대도시 88 40.7

중소도시 38 17.6

읍면지역 90 41.7

기관 수도권 54 25.0

다문화가정 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지는 이메일, 팩스, 우편 등의 응답하는 교사가 선호하는 방식으로 전송‧회수하였으며, 총 216개 기관의 교사들이 응답하였다.

1) 조사대상의 특성

설문조사에 참여한 기관수는 유치원 113개, 보육시설 103개로 총 216기관이며 설 문에 응답한 교사는 각 기관당 한 명이므로 응답자인 교사수와 기관수와 동일하다.

<표 Ⅰ-3-1> 조사대상의 규모

구 분 전체(수) 유치원 보육시설

참여 기관(교사) 216 113 103

설문에 참여한 기관의 특성은 <표 I-3-2>와 같다. 유치원이 113개(52.3%), 보육시 설이 103개(47.7%) 참여하였으며, 설립유형별 설문참여율은 사립유치원이 29.6%로 가장 높고 국공립유치원이 22.7%, 민간어린이집은 17.1%, 법인어린이집은 15.7%, 국 공립어린이집은 10.2%, 가정어린이집이 4.6%이다. 기관의 소재지 규모는 읍면지역과 대도시도 각각 41.7%, 40.7%로 비슷하며, 지역적으로는 영남권이 29.2%로 가장 많 고, 그 다음으로 수도권이 25%, 호남권이 19.0%, 충청권이 18.5%, 강원및 제주가 8.3%였다.

<표 Ⅰ-3-2> 참여기관의 특성

구 분 빈도 백분율

소재지

충청권 40 18.5

호남권 41 19.0

영남권 63 29.2

강원/제주 18 8.3

설문에 응답한 교사의 일반적 특성은 <표 I-3-3>와 같다. 응답교사의 70%이상이 3년 이상의 경력교사이며, 다문화가정 영유아 담당 경력은 응답교사의 약 40%정도 가 1년 미만이다. 소지한 교사자격은 보육교사 1급이 39.4%, 유치원 정교사 2급이 34.3%, 원감이 3.7%, 보육교사 2급이 4.2% 등이다.

<표 Ⅰ-3-3> 교사의 일반적특성(N=216)

구 분 빈도 백분율

경력

3년미만 32 14.8

3년~5년 미만 41 36.1

5년~10년 미만 78 36.1

10년~15년 미만 36 16.7

15년 이상 29 13.4

소지자격

유치원 정교사 2급 74 34.3

보육교사 1급 95 39.4

보육교사 2급 9 4.2

보육교사 3급 1 0.5

원감 8 3.7

사회복지사 2 0.9

다문화지도 경력

1년 미만 91 37.5

1년~2년 미만 45 20.8

2년~3년 미만 38 17.6

3년~4년 미만 28 13.0

4년 이상 22 10.2

무응답 2 0.9

2) 조사 내용

배경변인을 제외한 설문문항은 세부문항을 포함하여 총 46문항이며, 그 내용은 크게 6영역(① 다문화가정 영유아 현황, ②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발달 및 적응수준,

③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위한 물리적 환경 및 급식, ④ 프로그램과 활동, ⑤ 다문화 가정의 참여 및 기관과의 연계, ⑥ 교사인식 및 요구)을 포함한다. 영역별 문항의 상세내용은 <표 I-3-4>와 같다.

구분(문항 수) 문항내용

구분(문항 수) 문항내용

▪ 다문화가정 육아지원에 가장 필요한 서비스

▪ 육아지원기관에 가장 시급히 필요한 정부 지원

▪ 다문화 영유아 지도를 위한 정부에의 건의사항

라. 국내 기관 방문 및 면담

문서에서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 연구 (페이지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