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변화시기 영화산업의 교류와 협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81)

이 시기 한중 영화산업의 교류에서 가장 뚜렷한 특징은 ①한중 양국 영화산업 이 양적, 질적으로 고속발전을 이루었다는 점, ②여러가지 방식의 한중 합작영화 들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시도되었으나 ③전반적인 흥행성적이 저조하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99) 위의 논문: 27쪽

년도 원선 총수 극장 총수 스크린 수 극장 증가수 스크린 증가수

2003 32 1,045 1,923 28 110

2004 33 1,188 2,396 143 443

2005 36 1,243 2,668 55 272

2006 33 1,326 3,034 182 366

2007 34 1,427 3,527 102 493

2008 34 1,545 4,097 118 570

2009 37 1,680 4,723 142 626

2010 38 1,993 6,256 313 1,533

2011 43 2,796 9,286 803 3,030

2012 46 3,676 13,118 880 3,832

가. 다변화시기 중국 영화산업의 현황과 공동제작

먼저 다변화시기 중국영화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 영화가 비약적인 발전 을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십여년간 중국 박스오피스 수익은 연평균 30%의 성장세를 이어왔다. 2004년만 해도 홍콩과 비슷했던 중국의 영화시장 규 모는 2009년 한국과 엇비슷한 수준을 이루었고, 2012년에는 일본을 추월하여 세 계 2위의 영화시장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장세는 2013년에도 이루어 져 처음으로 극장흥행수입 200억 위안(약 3조5천억 원)을 돌파했다. 2012년의 170.73억 위안 대비 27.5%나 성장하며 어김없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100) 2013 년 극장 관객 수는 6.1억 명으로 2012년 대비 30% 성장하였고, 극장 수도 2010 년 2000개에서 2011년 4320개로 두 배 이상 늘었으며, 스크린 수는 1만710개를 넘어 ‘스크린 1만개 시대’를 일찌감치 열었다. 2013년에는 한 해에만 스크린 수 5077개가 추가되어 총 18195개의 스크린을 보유하게 되었다.101) 전체 스크린 수 2000여개를 웃도는 한국시장과 비교가 안 되는 규모다.

<표10> 중국 상영관 및 스크린수 증가 현황

출처: 연구자 정리.

100) 고로(2015), <한중 공동제작 영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1쪽 101) 艺恩咨询(2014), 《2013—2014年中国电影产业研究报告(简版)》: 21쪽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관객수

(만명) 15,721 17,624 19,555 20,981 26,375 37,399 41,452 47,000 60,000 전년대비

(%) 14.3 12.1 11.0 7.3 25.7 41.8 10.8 13.4 27.7 흥행수익 2,000 2,620 3,300 4,215 6,190 10,200 13,100 17,070 21,769

2013년 중국 박스오피스 시장은 전년보다 27.1% 성장한 21억7690만 달러를 기 록하였다.102) 2012년 기준 중국의 인구 백 만 명당 스크린 수는 9.7개, 1인당 영 화 관람횟수 0.35회로, 백 만 명당 스크린 수 42개, 1인당 관람횟수 4 회를 상회 하여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평가받는 한국에 비해 아직도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다. 즉 중국 영화시장은 공급과 수요의 측면에서 이제 막 성장기에 들어 섰음을 알 수 있다. 중국영화시장의 고속 성장에는 21세기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문화산업을 적극 장려하고 지역개발을 추진하는 중국정부의 지원정책 이 작용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영화 시장의 확대를 위해 2급,103) 3급104) 도시들을 중심으로 신규 영화관 건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도농 간 격차, 동서 간 격차가 큰 중국의 실정을 고려해 볼 때, 아직도 시장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 다는 반증인 셈이다

중국 영화산업은 양적인 면에서의 고속 팽창외에 질적 면에서도 만족할 만한 발전을 가져왔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이 국산영화의 약진이라고 볼 수 있 다. 2012년도 상위 10위권에 랭크된 중국국산영화는 3편뿐이었으나, 2013년에는 8편으로, 할리우드영화를 훨씬 능가하는 실적을 보였다. 2013년도 1위 영화는 중 국산영화인 <서유: 항마편>(西游降魔篇)으로 총 12억 400만 위안의 흥행 성적을 올렸다. 할리우드의 <아이언맨 3>은 이에 한참 못 미치는 7억5천만 위안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표11> 2005-2013년 중국 영화 관객수와 흥행수익 추이

102) 위의 보고서: 10쪽

103) 지역의 소비 능력과 발전 수준이 1급 시장에 비하여 낮지만 여전히 중시되는 시장으로써 창 사(長沙), 난창(南昌), 창춘(長春), 쑤저우(蘇州) 등의 도시가 2급 시장에 속한다.

104) 지역의 소비 능력에 한계가 존재하는 시장으로서 상품별 판매 전략에 확신을 갖고 들어가야 하며 간저우( 州)와 헝양(衡陽) 등의 도시가 3급 시장에 속한다.

(위안) 전년대비

(%) 33.3 31.0 26.0 27.7 46.9 64.8 28.4 30.3 27.5

순위 영화제목 국적 장르 박스오피스

1 타이지옹 (人在囧途之泰囧) 중국 코미디 수입12.48

2 타이타닉3D 미국 멜러, 드라마 9.77

3 화피2 (画皮2) 중국 멜러, 판타지 7.26

4 미션임파서블4 미국 액션 6.48

5 어벤져스 미국 액션, 판타지 5.75

6 라이프 오브 파이 미국 예술, 드라마 5.70

7 차이니즈 조디악 (十二生肖) 중국 액션 5.29

8 매인블랙 3 미국 액션, 판타지 5.20

9 아이스에이지 4 미국 애니메이션 4.58

10 저니2:미스테리아일랜드 미국 액션 3.71

출처: 中国电影吧,http://tieba.baidu.com/p/2811142388

2012년에 이어 2013년에도 현실소재의 중소규모 영화들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 다. 2013년 7억 1800위안의 기록을 올린 <지청춘>(致青春)을 비롯하여, <중국합 회인>(中国合伙人), <북경시애틀>(北京遇上西雅图) 등의 중소영화가 모두 5억위 안을 훌쩍 넘기는 기염을 토했다. <서유:항마편>, <지청춘>, <중국합회인>,

<북경시애틀>, <적인걸: 신도용왕>(狄仁杰之神都龙王), <소시대1>(小时代1) 등 의 작품은 현재 중국영화시장의 발전을 보여주는 표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자 오웨이(赵薇), 쉐샤오루(薛晓路), 궈징밍(郭敬明)등의 젊은 신예감독들은 처녀작 으로 흥행 돌풍을 일으키면서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랭크되는 동시에, 중국영화 의 다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기존의 저우싱츠(周星驰), 쉬커(徐克), 천 커신(陈可欣) 등 홍콩 출신 감독들에게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아래 <표12>와 <표13>은 2012년과 2013년의 흥행실적을 비교한 도표이다.

2013년에 들어서서 중국 국산영화의 약진이 두드러짐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표12> 2012년 중국 박스오피스 TOP10

단위: 억 위안

순위 영화제목 국적 장르 박스오피스 수입

1 서유:항마편(西游·降魔篇) 중국 판타지 12.46

2 아이언맨 3(钢铁侠3) 미국 판타지 7.68

3 지청춘(致我们终将逝去的青春) 중국 멜러, 드라마 7.19

4 사인정제(私人订制) 중국 드라마, 코미디 7.18

5 환태평양(环太平洋) 미국 액션, 스릴러, SF 6.96

6 적인걸:

신도용왕(狄仁杰之神都龙王) 중국 액션, 공포 6.02

7 중국합회인(中国合伙人) 중국 멜러 5.39

8 경찰이야기 2013(警察故事2013) 중국 코미디, 액션, 범죄 5.36

9 북경시애틀(北京遇上西雅图) 중국 멜러 5.2

10 소시대(小时代) 중국 드라마, 멜러 4.88

<표13> 2013년 중국 박스오피스 TOP10

단위: 억 위안

출처: <2013년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순위>(2013年内地电影票房总排行榜), http://58921.com/alltime/2013

최근 십년간 연 평균 30%이상의 고속발전을 거듭해온 중국영화시장은 2020년 에는 미국을 넘어 세계 1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의 시장 잠재 력은 세계 각국 영화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할리우드도 중국 시장을 선점하 기 위해 나섰다. 월트디즈니가 중국의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DMG엔 터테인먼트와 협력해 ‘아이언맨 3’를 공동 제작하고 있고 드림웍스는 상하이미디 어그룹(SMG), 화인문화산업투자기금(CMC)과 합작해 3억3000만 달러 규모의

‘오리엔탈 드림웍스’라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을 세울 계획이다. <아바타>의 제임 스 캐머룬 감독도 중국 법인을 합작 설립하고 3D 영화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이처럼 영화 공동제작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시점에서, 영화 공동제작이란 무엇이 며 중국과의 공동제작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고찰 하고자 한다.

중국의 국가광전총국에서 2004년에 발표한 <중외 합작제작 영화관리 규정>

(中外合作摄制电影片管理规定)105)은 중외합작제작 영화를 협력의 정도와 방식에 105)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2004), <中外合作摄制电影片管理规定>,

http://baike.baidu.com/link?url=7cQxo1Obp40AjhUl6pNNfBy5VGeLUhdWexKwpJx5RpagaU3cpC_h ZAESJIHQHBa3B1UgVS0OFzbi2KRQy9B1Mq

따라 연합제작(허파이팬, 合拍片), 협작제작(쎄파이팬, 協拍片), 그리고 위탁제작 (워이퉈팬, 委托片)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 연합제작은 중국 측과 외국 측이 공동 투자(자금, 노동력 혹은 현물 포함), 공동 촬영, 공동 이익 분배, 공동 위험 부담하는 제작 방식이며, 보통 공동제작이라고도 한다. 협작제작은 외국 측 이 출자하여 중국 내에 들어와 촬영을 할 때에 중국 측이 설비, 기자재, 장소, 노동력 등을 제공함으로써 촬영을 도우나 중국 측은 판권은 갖지 않는 방식이 고, 위탁제작은 외국 측 제작사의 위탁을 받아 중국 측이 요구된 형식에 맞춰 일을 하고 보수를 받으나 역시 판권은 갖지 않는 방식이다. 영화가 연합제작인 경우 중국의 ‘영화 공개상영 허가증’을 받아 중국시장에서 상영을 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반면 협작제작과 위탁제작의 경우는 중국 내에서 상영이 불가하기 때문에 중국 시장 진입에 제한되어 있으나 연합제작보다 영화 내용과 촬영에 대 한 규정이 덜 엄격하여 외국 측의 재량권이 더 보장 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세 가지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을 갖고 있으나 모두 중국 내 영화 제작을 위한 제작허가증을 받아야 하며 중국의 검열을 통과해야 한다는 점이 공통된다.106)

국제적으로 공동제작이 각광을 받는 이유는 ①리스크 분담으로, 공동제작의 매력은 자원 조달에 있어 공동 출자를 통한 비용 분산의 경제적 이득이다. ②상 대국 또는 해외시장에서의 효율적인 배급과 유통에 참여할 수 있고 ③외국 정부 의 각종 지원정책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외 시장 접근이 보다 용이해지며 ④무엇보다도 공동제작의 가장 큰 인센티브는 많은 수익을 얻 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 외국 영화 같은 경우 박스오피스 수익의 25%만 가 져갈 수 있는 반면 공동제작을 했을 경우는 중국 국산 영화 대우를 받아 최대 수익의 43%까지 가져갈 수 있다. 또한 ⑤광활한 로케이션 확보의 장점이 있다.

대형 영화를 찍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대형 세트장 등을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데 중국은 인력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넓은 지역과 스케일이 큰 세트장 들이 갖춰져 있다. <중천>이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등의 영화가 바 로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107) 하지만 국제공동제작은 서로 다른 영화

106) 김은우·곽주영(2013), <공동제작 방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중국의 영화산업에 진출한 한국 의 중소영화사를 중심으로>, 《연세경영연구》, Vol.50 No.2: 226쪽

107) 현리나(2014), <영화산업의 제휴파트너 선정에 관한 사례연구 - 한중 공동제작 영화를 중심

합작 상대 국가 홍콩 미국 대만 기타 지역

비율 70% 10% 8% 12%

영국 미국 독일 한국 프 랑

호주 캐 나

싱 가

일본 네델

란드 북한 이란

말레 이 시

기타

2007 2008 2009 2010

3 1 4 7

4 3 3 5

1 0 2 2

1 2 2 0

0 1 0 3

1 0 2 1

1 1 1 1

2 1 0 0

1 1 0 0

0 1 0 0

0 0 0 1

0 0 0 1

1 0 0 0

-0 6 5

합계 15 15 5 5 4 4 4 3 2 1 1 1 1 12

제작 시스템, 사용언어 및 문화적 배경을 가진 2개국 이상의 사람들이 모여서 영화제작이라는 복잡한 권리관계를 공동으로 작업해 나가는 것으로 상호조율과 문화적 차이의 극복이 과제로 주어지며, 중국정부의 규제와 검열로 인한 제약이 크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힌다.

다변화시기 중국은 외국과의 영화 공동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표 14>

에서 나타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의 해외 공동제작 국가를 살펴보면, 홍 콩이 7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108) 그 다음으로 미국 10%, 대만 8%순 이다. 대만은 정치적으로는 적대관계이나 현실적으로 민간교류가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으며 특히 언어적 장벽이 없기 때문에 공동 제작이 쉽게 진행되는 것으 로 생각된다.

<표 14> 중국의 상대 지역별 합작 영화 제작 비율(2001년-2010년)

출처: 藝恩咨询, <中國電影産業硏究報告2011>

<표15> 2007-2010년도 국가별 중외 공동제작 영화 제작 편수

출처: 藝恩咨询, <中國電影産業硏究報告2010>

<표15>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이 홍콩과 대만을 제외한 국가와 공동 제작한 영화 편수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4년간 중국은 영국, 미국과 각 15편으 로 공동제작을 가장 많이 하였고, 그 다음으로 독일과 한국이 각 5편, 공동 제작

으로 ->,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33쪽

108) 홍콩은 일찍 1997년에 중국에 귀속되었으나 ‘일국양제’(一国两制) 시스템으로 인해 행정적으 로는 독립된 지역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공동제작으로 본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