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정책 개선을 위한 디지털 기회 (OECD) 1)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06-109)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송 주 호 *

2)

경우에도 다른 것 보다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

현재 정책집행자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출처는 원거리 감지

, GIS

기준 분석 도구와 디지털 소통

도구

(tool)

에서 얻는 데이터이다

.

설문조사에 응한 거의 모든 기관들은 디지털 기술이 다른

정부 기관이나 농가와의 소통을 증진시키고

,

새로운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촉진시키며

,

조직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이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

더 나아가 이러한 이익을 이해하거나 이익을 관련자들과 소통하는 것이 디지털 기술과 빅데이터의 사용에 장애가 되는 도전이라고 생각하는 기관은 소수에 불과하였다

.

아직도 더 많은 기회가 분명하게 있다

.

집행자들은 디지털 기술을 현행 정책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정책을 수립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데

,

예컨대 실적에 더욱 기반을 두거나 규제를 적게 요구하는 정책이 가능하다

.

특히

,

이 보고서는

3

가지 주요 기회를 규명하고 있다

,

첫째

,

정부는 더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정책을 기안하고 실행하며 정책성과를 더욱 확실하게 평가할 기회를 갖는다

.

둘째

,

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감독과 준수의무를 재검토하 고

,

생산자의 의무사항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며

,

프로그램의 감독과 준수의무를 집행하는 공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

디지털 기술은 또한 준수의무를 장려하기 위해 무거운 벌칙 에 의존하는 것 보다 준수의무 이상으로 이행할 때 보상

(

금융적으로 혹은 명예적으로

)

해 주는 새로운 접근을 가능케 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

정부는 집행기능을 개선하고 비용을 경감시키며

,

직원의 시간을 절약하고

,

인간 실수의 가능성을 줄여주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

또한 알고리즘은 정부와 연구자들이 새로운 지식을 더 빨리 생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더욱 복잡하고 세밀한 분석을 시도할 수 있게 해 준다

.

하지만 그동안 얻은 증거를 통해 볼 때

,

일부 사례에서 제도적

,

그리고 규제적 제약요인들 이 정책집행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지 못하도록 방해할 수 있다

.

파악된 실질적 도전에 는 금융자원의 부족

,

현재의 일자리 흐름

,

디지털 기술과 빅 데이터를 더 많이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책과 프로그램의 커다란 변화가 포함된다

.

사생활이나 비밀 규제도 일부 사례에서는 제약요인이 될 수 있다

.

표준화의 부재와 서로 다른 규제 체제는 정책관련 지표 에서 대표성이나 비교가능성을 달성하려는 노력을 방해한다

.

기존의 제약 이외에도 검토할 필요가 있는 많은 새로운 이슈들이 있다

.

정부는 품질

,

시간적

·

장소적 규모

,

민감성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어떻게 통합해서 유용한 지식을 생산할 것인지를 검토해야 한다

.

정부는 우수한 데이터 관리 관행을 장려하는데 더 많이 노력해야

하며

,

감지기

(sensor)

기술이 인정

(validated)

되고 조정

(calibrated)

되어 정책과 규제 맥락

(context)

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

또한 정책 사이클 내에서 의사 결정이 컴퓨터

로 이전된다는 것은 투명성

,

감독

,

책임 등에 대한 많은 중요한 문제를 야기한다

.

중요한 이슈는 정부와 산업계가 이들에 대한 의존이 커질수록 데이터

,

모델 그리고 알고리즘의 한계가 더욱 더 명확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 털 기술을 채택하는 것은 이러한 디지털 기술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에 새로운 정보 비대칭

,

혹은 디지털 격차

(divide)

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

만약 이러한 문제들이 만족스럽게 검토되지 않는다면 잠재적인 함정이 기다릴 것이다

.

더 넓은 의미에서

,

농업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기초 연결 기반시설

(

브 로드밴드

,

통신시설 서비스 등

)

에 대한 접근에 달려 있다

.

아울러 데이터 수집의 범위와 분석 서비스

,

그리고 규제환경

(

상호 사용 규칙

,

데이터 품질 기준

,

데이터 소유권과 데이터 사생활에 대한 규범이나 규제

,

기술

,

모델링 틀의 공유

,

디지털 플랫폼

,

클라우드에 기반을 둔 저장과 가공 등

)

의 발전에 달려 있다

.

이러한 요인들은 농업에서의 디지털화를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을 형성하는데 모두 함께 사용되며

,

데이터 기반시설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

정부는 농업에서의 데이터 기반시설을 수립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

그 과정에 서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

농업정책이나 농업

-

환경정책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하여

,

농업 부문 전체를 디지털화하는 일관된 접근의 한 부분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

더 자세히 말한다면

,

정부는 첫째로

,

농업 관련 기존 데이터를 더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도 록 하여 새로운 서비스의 발전이 정부와 농민 모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하여야 한다

.

정부는 또한 정부 서비스 제공과 생산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온라인 우선

접근방식을 추진할 수 있다

.

이는 정부와 생산자 모두의 행정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

새로운 종류의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

둘째로

,

정부는 공공재

(public good)

가 있거나 공적인 이해의 합리적 근거가 있다면 데이터 수집 기술 분야에 직접 투자하는 것을 포함하여 연결성

(connectivity)

을 지원하고

,

데이터 수집 기반시설

(

센서 네트워크

,

원거리 감지 등

)

의 발전을 위해 역할을 할 수 있다

.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06-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