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및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58)

A. 액션러닝 기반 집단 멘토링 실행 과정

V. 논의 및 결론

학습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추후 스스로 주체가 되어 생각 하고 의사 결정하는 전문가로써의 역량을 키울 수 있었으며, 이론과 실제의 만남을 통 해 새롭게 현장을 이해하는 정미라, 강수경, 이순행(2018)의 연구 결과와 맥락을 함께 한다. 또한 이는 실습 교육장면에서 참여자가 주체가 되는 방향성이 필요함을 시사하 는 바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멘티들의 실습 경험에 있어 멘토와 리더의 정서적 지지와 수용 적 태도와 같은 멘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나타났다. 실습생들은 처음 상담과 놀이 치료를 경험하며 과도한 불안과 낮은 자신감, 두려움을 경험한다(노은선, 유미숙, 2016;

김선혜, 2017). 이러한 실습생들의 특징을 고려해보았을 때, 구조적이지 않은 실습 매 뉴얼뿐만 아니라 리더와 멘토의 관심과 정서적 지지가 중요시되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심자들이 초심자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의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 다는 점을 떠올리는 것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김지연 외(2009)의 연 구결과와 유사하며, 충분한 공감과 칭찬, 지지와 격려가 상담자 발달과정에 가장 크고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재명(2003)의 연구와 일치한다.

기존에 중요시되어 왔던 이론적인 지식 전달이 아닌 멘토의 수용적 태도를 통한 협 력적 논의는 멘티들의 적극성을 증진시키며 더 나아가 실습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 확 신과 연결되어 긍정적인 실습 경험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는 멘티들에 대한 영향과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머물러 있다면, 본 연구 에서는 멘토의 역할이 멘티들의 안정적인 실습 환경에 있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알 게 되는 결과였으며, 이는 추후 실습 멘토링 및 실습 과목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요 소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아닌 실천적 지식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멘티 들은 직접 실습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끊임없는 질문과 성찰을 함으로써 액션 플랜을 세움으로써 구체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현장에 적 용해보며, 현장에서만 배울 수 있는 실천적 지식들을 습득할 수 있었다. 기존에 학습을 통한 개념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습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깨달아가는 실천적 지식의 통합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며, 실습에 대한 자 신감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는 액션러닝이 목표 설정, 실행, 전략, 개발 과정에서 의 적극성과 문제해결역량을 증진한다는 선행연구(박근혜, 김은정, 배은경, 2015)와 일 치하며, 실습 현장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담자가 전문성을 갖추는 데 상담에 대한 공식적인 이론과 전문적인 경험을 통해 형성된 지식과 기술을 동시에 수반하며(Bernard, 2003) 이론과 실제를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과 절

차를 필요로 한다는(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2003)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맥락을 함께 하며 개념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통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외부의 시선으로 보기 어려운 실습생들의 실제적인 어려움과 현장 의 어려움을 현상학적 기술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기술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적 실행연구로써 이론적인 지식의 전달과 수직적인 관계에서의 실습 체계가 아닌 실제 실습을 하는 실습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요구를 수용하고 반영하며 이를 직접적으로 도와주고 정서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들 어 줄 수 있는 수평적 관계의 협력 체계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수직적 관계 에서 벗어나 실습을 지원하는 데 있어 수평적 관계에서의 정서적 지지가 필요함을 시 사하며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이 그에 대한 하나의 방안으로써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자와 참여자 간의 협력 과정을 통해 액션러닝 기반 집단 멘토 링 프로그램을 실행해가는 상호적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는 추후 상담 실습에 있어서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실습과의 연계를 위해 학교 놀이치료 실습 집단에 참여하고 있는 코리더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집단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사 일정 및 학교 행사로 인한 프로그램 일정 변경이 불가피하고, 각 참여자 별 프로 그램 회기 진행이 판이하여 액션러닝 실행 경험이 차이가 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4명의 놀이치료 실습 집단 코리더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 구의 결과를 전체 놀이치료 실습 집단 코리더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 사이의 학년의 차이가 있어 기존에 학습한 이론적 지식의 차이 가 있으며, 이를 모두 설명하고 지나가기에는 멘토링의 회기가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추후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학년과 실습 경험에 대한 일치가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 다.

참 고 문 헌

강은영, 정미라. (2018).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유아교육 연구, 38(4), 83-107.

고수일, 장경원. (2014). 액션러닝을 활용한 인간관계론 수업 운영 사례 연구. 경영교육 연구, 29, 256-281.

권상민, 권말숙, 박지연. (2016). 액션러닝을 활용한 노인간호학실습 수업 운영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5), 421-427.

김광웅, 이미혜. (2000). 놀이치료자의 교육 실습 실태와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3(1), 13-25.

김동현, (2011). 교사 선호도 수준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간의 관 계 검증, 아주대학교

김선혜, (2017) 현장실습 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연자, 진미환. (2015). 간호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간호대학 생의 임상실습 수행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 131-139.

김영은, 이현정. (2015).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대학생들의 자기성장 경험 연구 : 융합 적 교육방법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5), 315-328.

김은희. (1993). 삶의 기대가 자존감과 문제해결 인식에 미치는 영향.

노은선, 유미숙. (2016). 예비 놀이치료자의 실습 경험에 대한 탐색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9(4), 363-379.

박근혜, 김은정, 배은경,(2015).사회복지현장실습 수업참여 학생들의 액션러닝(Action Learning)에서의 경험과정 연구.청소년학연구,22(12),27-55.

박소현, 유성경, 조윤진, 윤민지, 장윤진. (2010). 상담 석사 과정에 대한 석사생들의 교 육 경험 및 만족도 분석. 인간이해, 31(2), 103-122.

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2010). 체계적 액션러닝. 서울: 학지사.

박창민, 조재성 (2016). 실행연구, 아카데미프레스

박혜경, 이진화 (2007). 멘터들이 인식한 멘터 역할 및 조건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 집, 11(3), 103-122.

배진옥, (2007)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저널쓰기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동 아대학교 대학원

배진형, 안정선, 방진희. (2014). 멘토링 활동 참여 경험에서의 멘토의 성장과 도전-H 대학교 멘토링 프로그램의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1, 95-144.

부성숙. (2014). 액션러닝 수업이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5), 29-52.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2003). 상담자의 자기 성찰 (reflection) 과 전문성 발달. 상담 학연구, 4, 366-380.

송미경. (2014). 대학생의 상담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21(10), 337-361.

송철범, (2011). 액션러닝 코치입문, 북코리아

오지현. (2019). 액션러닝을 적용한 놀이치료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예비 놀이치료자의 발달장애아동 놀이치료 실습교육’. 정서·행동장애연구, 35(1), 251-282.

유재명. (2003). 상담훈련생의 목회상담 수퍼비전에 대한 기대와 요구 : 상담자 발달모 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실천신학과 상담학전공 석사학위논 문

유미숙, 류승민, 박현아. (2018). 초심 놀이치료자들의 집단 슈퍼비전 및 기술훈련 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학교놀이치료 현장실습 경험을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22(2), 85-112.

유수경, 황해익. (2010).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멘티의 변화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6), 151-176.

윤향미. (2012). 소집단 멘토링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 변화 양상. 한 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81-90.

이미현, 김인규, 조남정, (2015).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상담학연구, 16(4), 301-319.

이미현, 김인규, 조남정. (2015).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16(3), 303-324.

이선옥, (2012).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 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 조재식. (2011).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이용숙. (2013). 액션러닝 방법을 활용한 대학수업 개발 실행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학 술대회 논문집, 225-231.

이유정. (2014).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대학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진, 김수향, 한민경. (2012).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유 아교사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3), 181-202.

이인영. (Lee, Enn Young), 김지현(Kim, Jihyun). (2019). 놀이치료자의 현황, 훈련과정 과 놀이치료 현장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견해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 833-853

이지선, 이성희. (2018). 보육실습 지원을 위한 온‧ 오프라인 소집단 멘토링 경험-원격 평생교육원 보육실습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연구, 20(3), 1-28.

장영신, (2018).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다문화 역 량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수행경험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장혜원, 이소희. (2001). 놀이치료자 교육, 임상경험 및 내담 아동 특성에 따른 제한 설

정에 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놀이치료연구), 4(1), 83-94.

정미라(Chung Mi-Ra), 강수경(Kang Su-Kyung), 이순행(Lee Soon-Hang), (2018),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 만들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8(12), 773-80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정선희, (2014), 놀이치료 수련자의 아동기 탐색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명지대학교 사 회교육대학원

조용환. (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조항, 이주영, 김영근, 이아라. (2018). 상담전공 학부생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 및 예측요인 연구. 상담학연구, 19(5), 75-92.

최현아. (2019).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개발. 전주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상담복지개발원. (2013). 인턴상담원 현황

황미진. (2010).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자아평가, 자아존중감 발달요인, 특성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 교육전공.

황해익, 유수경. (2010).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221-255.

Anderson, E. M., Shannon, A. L. (1988).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mentor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1), 38-42.

Awis(Association Women in Science : 여성과학자 연합) : http://www.awis.org Bradbury, P. R. H. (2001). Handbook of action research: Participative inqui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Braye, S., Lebacq, M., Mann, F., & Midwinter, E. (2003). Learning social work law:

an enquiry-based approach to developing knowledge and skills. Social Work Education, 22(5), 479-492.

Crick, N. R., Ladd, G. W. (1993).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eer experiences:

Attributions,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social avoida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244.

Ferrance, E. (2000). Action research. LAB, Northeast and Island Regional Education Laboratory at Brown University.

McCrea, M. A. (1992). Mentoring” versus traditional models of supervision: Doctoral trainee perspective. In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Miles, M. B., Huberman, A. M., Huberman, M. A., & Huberman,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Mitchell, S. A. (2009). Relational concepts in psychoanalysis. Harvard University Press.

Moustakas, C. E. (1953). Children in play therapy: a key to understanding normal and disturbed emotions.

Nolan. E. M. (2007). Mentor coaching and leadership. NY. New-york: Thomson Delmar Learning.

Parkhurst, J. T., Asher, S. R. (1992). Peer rejection in middle school: Subgroup differences in behavior,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concerns. Developmental Psychology, 28(2), 231.

Ray. D. C. (2016). Advanced play therapy: essential conditions, knowledge, and skills for child practice. (E. A. K. Lee & S. W. Min. Trans.). Seoul: Sigma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Revans, R. W. (1980). Action learning: New techniques for management. Blond and Briggs Ltd..

Ryan, G. W., Bernard, H. R. (2003). Techniques to identify themes. Field methods, 15(1), 85-10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5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