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석 2

문서에서 약품비 지출요인 분석 및 관리방안 (페이지 98-105)

가. 분석자료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 사이 진료 받은 65세 이상 환자의 원내조제내역과 원 외처방내역이 포함된 명세서에서 보험자 코드가 건강보험, 의료급여, 보훈이고 분류 유형코드가 보험등재약 또는 원료약, 조제 및 제제약인 조건으로 명세서를 추출하여 약품비를 산출하였다. 입원과 외래의 명세서건 특성이 상이하므로 입원과 외래로 구 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외래의 경우 진료 건당으로 청구하여 명세서가 생성되므로 해당 기간에 포함된 명 세서로부터 처방건을 산출하였다. 동일 명세서에 투약일수가 다른 복수의 약제가 처 방되어 있는 경우 처방 일수가 가장 긴 약제의 처방일수를 추출하여 투약일수로 산출 하였다.

입원의 경우 30일 이내에서 병․의원의 상황에 따라 동일 입원이라도 분리 청구가 가능할 뿐 아니라 계속 입원 상태임에도 월이 변경되면 다른 건으로 분리하여 청구하 게 된다. 따라서 분리 청구되어 명세서가 다를지라도 동일한 입원들이라면 한 건의 입원으로 묶어야 하므로 입원 에피소드 단위로 자료를 구축하여 입원 건수를 산출하 였다. 연도가 변경되는 시점에 걸쳐 있는 입원의 경우 입원 시작 시점의 연도에 편입 시켰다. 또한 입원 기간 내내 약제 투여가 있었을 것으로 가정하여 투약일수는 입원 기간으로 하였다.

외래와 입원 각각에서 연도별 실환자수, 총 처방건수 혹은 입원건수, 총 투약일수, 총 약품비를 산출한 후 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나. 분석방법

약품비를 의약품을 기준으로 분해한다면 가격과 사용량으로 나눌 수 있으나 처방 단위에서 분해한다면 총 환자수, 환자당 처방건수, 처방건 당 투약일수, 투약일당 약 품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제6장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석

관심요인 이외의 요인들을 기준시점으로 고정하므로 비교의 시점은 기존의 연구에

2013 6,062,486 4,558,425     751,907

2014 6,325,904 4,858,075 299,649 6.6 767,965

2015 6,568,984 5,205,253 347,178 7.1 792,399

2016 6,784,280 5,821,764 616,511 11.8 858,126

제6장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석 2013-2014 11,708 115,327 -29,164 198,066 3,712 299,649 2014-2015 76,025 157,771 -77,913 186,677 4,619 347,178 2015-2016 216,702 188,578 17,260 170,600 23,371 616,511

<표 28> 연도별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해 결과(외래)-변동률

<표 30> 2013-2016년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해결과(외래)

연도 투약강도 요인 투약일수 요인 처방건수 요인 실환자수 요인 교차요인 약품비 변동 금액(백만원) 276,466 441,933 -87,026 542,722 89,244 1,263,339

변동률(%) 6.1 9.7 -1.9 11.9 2.0 27.7

기여율(%) 21.9 35.0 -6.9 43.0 7.1 100.0

[그림 12] 2013-2016 노인 약품비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외래)

2016년 노인 환자에서 지출된 입원 약품비는 1조 511억 원으로 2015년 대비 6.9%

인 683억 원 증가하였고 환자 당 약품비는 629,000원이었다. 실환자수가 11.3% 증가 하여 1,100억 원 정도 약품비를 증가시킨 반면 투약강도 요인과 투약일수 요인은 약 품비를 각각 211억 원, 339억 원 감소시켰다. 입원 약품비에서 실환자수 요인은 이전 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에 기여하였고 투약강도 요인은 음의 방향으로 기여하였으나 그 정도가 이전보다 작아졌다. 입원건수 요인의 기여도는 2016년에 증가하였다.

2013년부터 3년간 약품비 증가액은 1,700억 원 정도였고 실환자수 증가가 가장 큰 기여요인으로 작용하였고 투약일수 요인도 상당한 수준으로 기여하였으며 투약강도 요인은 음의 방향으로 59% 정도 기여하였다.

제6장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석

2013 1,376,885 880,374     639,396

2014 1,421,146 907,636 27,261 3.1 638,665

2015 1,501,603 982,852 75,215 8.3 654,535

2016 1,671,072 1,051,108 68,256 6.9 629,003

<표 32> 노인 약품비, 환자수, 처방건수, 투약일수 현황(입원)

2013-2014 -60,695 60,360 3,508 28,300 -4,212 27,262

2014-2015 -24,663 47,351 1,125 51,385 17 75,216

2015-2016 -21,131 -33,914 16,910 110,923 -4,532 68,257

<표 34> 연도별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해 결과(입원)-변동률

(단위: %) 연도 투약강도 요인 투약일수 요인 입원건수 요인 실환자수 요인 교차요인 약품비 변동

2013-2014 -6.9 6.9 0.4 3.2 -0.5 3.1

<표 35> 연도별 노인 약품비 변동에 대한 기여율(입원)

(단위: %)

연도 투약강도 요인 투약일수 요인 입원건수 요인 실환자수 요인 교차요인 약품비 변동 2013-2014 -222.6 221.4 12.9 103.8 -15.4 100.0

2014-2015 -32.8 63.0 1.5 68.3 0.0 100.0

2015-2016 -31.0 -49.7 24.8 162.5 -6.6 100.0

<표 36> 2013-2016년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해결과(입원)

구분 투약강도 요인 투약일수 요인 입원건수 요인 실환자수 요인 교차요인 약품비 변동 금액(백만원) -100,112 75,284 19,830 188,102 -12,371 170,734

변동률(%) -11.4 8.6 2.3 21.4 -1.4 19.4

기여율(%) -58.6 44.1 11.6 110.2 -7.2 100.0

[그림 13] 2013-2016 노인 약품비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입원)

제6장 노인 약품비 변동요인 분석

질병 2013 2014 2015 2016

증가율 연평균

전체 35,151 36,975 39,633 43,469 6.1 7.4 11.1 전체 노인

약품비 중 비율 64.6 64.1 64.0 63.1

문서에서 약품비 지출요인 분석 및 관리방안 (페이지 98-10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