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건강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는 2005년부터 시행된 「건강가정기본법」에 따라 가족정책 의 전달체계로서 정부의 가족정책 추진방향에 부응하여 건강가정사업을 실시하 도록 설립되었다.40) 「건강가정기본법」 제35조에 따르면 국가 및 지자체는 가 정문제의 예방, 상담 및 치료, 건강가정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가족문화 운동의 전개, 가정관련 정보 및 자료 제공을 위하여 중앙, 시도 및 시군구에 건

40)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a. http://www.familynet.or.kr/index.jsp에서 2016년 9월 26일 인출.

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을 의무화하도록 하고 있다.

전국의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총 151개소로, 센터에서는 생애주기별 가족교육사 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반가족은 물론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족, 일탈 청소년가족, 군인가족, 수용자가족, 맞벌이가족, 이혼전후 가족 등의 다양한 가 족 지원을 위한 상담,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이 결합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다.41)

〈표 Ⅲ-6-11〉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

단위: 개소

구분 센터 수

구분 센터 수

전체 광역 시군구 전체 광역 시군구

전체 151 7 144 경기 32 1 31

서울 26 1 25 강원 7 - 7

부산 9 1 8 충북 4 - 4

대구 7 - 7 충남 10 - 10

인천 9 - 9 전북 6 - 6

광주 5 - 5 전남 9 - 9

대전 1 1 - 경북 9 - 9

울산 2 1 1 경남 12 1 11

세종 1 1 - 제주 2 - 2

자료: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a). 2015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실적보고서. 한국건 강가정진흥원. p. 19.

특히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예비부모를 포함하여 부모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6년에도 2015년에 이어 자녀의 연령단계별(예비부모교육, 영유아기·아동기·청

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부모역할 및 부모와 자녀 간 관계 지원에 주안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여성가족부 보도자료, 2016. 3. 29). 이러한 가족교육을 실시 함으로써 가족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가족의 건강성 증 진과 건강한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목표가 있다(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 흥원, 2016a: 51).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특히, 예비부모교육, 영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 자녀 를 둔 부모교육 실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여성가족부, 2016a: 9). 이를 위해서

관공서·공공기관·학교·기업·군부대 등 찾아가는 가족교육을 활성화하고, 아버지

교육 중 일부를 직장맘의 남편을 위한 특화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아빠의 육아참

41)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a. http://www.familynet.or.kr/index.jsp에서 2016926일 인출.

여를 확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였다(여성가족부, 2016a: 39). 2016년 에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교육의 현황 및 특성은 다음

<표 Ⅲ-6-12>와 같다. 생애주기별 가족교육은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

방하고 가족 구성원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부모, 부부, 조부모, 자녀 등 가 족을 대상으로 한 생애주기별 다양한 교육을 의미하며, 이 중 부모교육은 예비 부모교육, 영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이 해당한다(여성가족 부, 2016a: 40). 남성대상 교육은 일·가정 양립과 가족생활의 남성참여 활성화를 위한 교육을 의미하며, 이 중 부모교육은 찾아가는 아버지교육을 통한 아버지 대 상 육아교육이 해당한다(여성가족부, 2016a: 40).

2016년 9월 시점에서 실제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명 등은 <부록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표 Ⅲ-6-12〉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교육 주요 사업

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명 사업내용

공통사업

생애주기별 부모교육

∙예비/신혼기 부부,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포함한 생애주 기별 (조)부모교육

∙예비부부·부모대상 고비용 혼례 교육

∙연간 센터당 30명 교육 남성대상

교육

∙아버지교육, 찾아가는 아버지 교육, 남성대상 자기돌봄 교육 등

∙연간 20시간 이상

자유사업

신혼기 가족교육

∙출산준비교실

∙공통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신혼기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중년기

가족교육

∙중년기 가족생활교육, 가족경영아카데미, 부부관계증진교육, 의사소통 교육 등

노년기 가족교육

∙노후준비교육, 은퇴설계교육, 노인대상 자기돌봄강화 프로 그램 등

자녀대상 교육

∙독서아카데미, 창의력 교실, 진로교육, 폭력예방교육, 예절 교육 등

자료: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a). 2015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실적보고서. 서울: 한국건강가정진흥원. p. 51.

가족교육사업의 연간 참여 인원은 [그림 Ⅲ-6-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2004년 2,283명에서 가파르게 늘어나 2015년에는 502,112명으로 참여 부모의 수 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6a: 51). 2015년 한 해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가족교육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총 502,112명이었고, 회기로는 총 15,049회가 진행되었다.

〈표 Ⅲ-6-13〉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교육 이용자 현황

단위: 명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가족교육 323,685 367,399 367,105 440,105 467,885 502,112

자료: 여성가족부 홈페이지f.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 06_03_02.jsp에서 2016년 9월 27일 인출.

자료: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a). 2015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실적보고서. 한국건 강가정진흥원. p. 52.

〔그림 Ⅲ-6-3〕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교육 연간 참여인원 현황

가족교육사업 중 부모교육을 수혜받은 제 특성별로 살펴보면, 초등 저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부모교육이 26,13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예비부모교육의 참여자 수가 24,464명으로 많았다. 회기별로 살 펴보면 초등 저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이 1,138회로 역 시 가장 많았으며,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이 972회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표 Ⅲ-6-14 참조). 남성대상교육을 제외하고 모든 교육은 여성이 남성보다 수혜

받은 수가 더 많았다.

〈표 Ⅲ-6-14〉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교육사업 회기 수/참여현황: 2015년 단위: 명, 회, %

세부분류 참여인원

합계 진행 회기수

남 녀 비구분

남성 남성대상교육 38,205 5,990 35,380 79,575 2,215 부모

교육

예비부모교육 7,811 9,028 7,753 24,464 907 영유아기자녀를 둔 부모교육 2,219 12,612 5,073 19,814 972 초등 저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3,013 14,711 8,410 26,134 1,138

(표 Ⅲ-6-14 계속)

세부분류 참여인원

합계 진행 회기수

남 녀 비구분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중년기)교육 1,641 8,407 3,894 13,642 634 성인기 자녀를 둔 부모(노년기)교육 1,017 3,523 6,372 10,912 295 조부모교육 441 3,397 5,365 9,203 235 가족

교육

신혼기 가족교육 791 1,502 280 2,573 126 중년기 가족교육 2,887 8,474 4,744 16,105 802 노년기 가족교육 2,427 14,362 16,137 32,926 1,085 자녀 자녀대상교육 8,996 11,557 80,896 101,449 2,291

기타 기타교육 11,558 26,004 127,753 165,315 15,049

합계 80,624 119,579 301,909 502,112 100.0

비율 16.1 23.8 60.1 100.0

-자료: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a). 2015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실적보고서. 한국건 강가정진흥원. p. 89.

한편 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수행한 교육 장소별로 살펴보면, 다른 기관 과의 연계를 통해 찾아가는 교육은 57.82%로 나타났고 건강가정지원센터 자체 내에서 수행한 교육은 42.18%로 나타났다. 찾아가는 교육은 정부기관이 16.89%

로 가장 많았고, 공공기관이 13.37%, 중·고등학교 9.82%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표 Ⅲ-6-15 참조).

〈표 Ⅲ-6-15〉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교육 연계기관별 참여인원: 2015년 단위: 명

세부분류

기관·기업 보육기관·교육기관

센터 합계 정부기관 공공

기관 기업 어린 이집 초등

학교 중·고등 학교 대학교

남성대상교육 14,972 18,490 3,169 9,360 1,083 980 174 31,347 79,575 부모교육 8,929 21,396 6,250 6,699 8,038 3,404 2,183 47,270 104,169 부부교육 3,848 13,358 1,430 362 38 57 360 32,151 51,604 자녀대상교육 47,263 5,169 503 2,139 10,752 15,116 304 20,203 101,449 기타교육 9,817 8,711 3,372 2,839 27,402 29,750 2,625 80,799 165,315 합계 84,829 67,124 14,724 21,339 47,313 49,307 5,646 211,770 502,112

비율 16.89 13.37 2.93 4.26 9.42 9.82 1.12 42.18 100.0

자료: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a). 2015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실적보고서. 한국건 강가정진흥원. p. 55.

한편 2016년 9월 기준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의 게시를 통해 확인한 결과, 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개설한 프로그램 교육의 수는 총 263회로, 이

중 서울 지역이 63회로 가장 많으며, 경기 지역이 51회로 두 번째로 많다(표 Ⅲ

-6-16 참조). 2016년 9월 현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세부 현황은 <부록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Ⅲ-6-16〉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9월 부모교육 프로그램

단위: 명

지역 교육 횟수 지역 교육 횟수

서울 63회 경기 51회

부산 14회 강원 9회

대구 12회 충남 24회

인천 14회 전남 21회

광주 16회 경북 9회

대전 3회 경남 16회

울산 2회 제주 1회

세종 8회

자료: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b. http://www.familynet.or.kr/xlsxviewer/view_20161011.ht m에서 2016년 9월 28일 인출 후 ‘9월 부모교육 프로그램 안내’를 재조직하여 구성함.

2016년 5월 18일부터 8월 18일까지 3개월에 걸쳐 전국 15개 건강가정지원센 터의 부모교육에 참여한 부모 304명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사전·사후 효과분석’

을 실시한 결과 교육 전후 가족 간 대화시간 및 양육 참여시간의 변화에 대한 항목에서 주중 및 주말에 2시간 이상 대화한다는 비율이 교육 후 각각 12.5%p,

16.0%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여성가족부 보도자료, 2016. 9. 27). 즉 건강가정

지원센터에서 실시한 부모교육이 가족 간 대화의 유의미한 증가에 기여하고 실 제 아빠들의 양육 참여를 촉진시켰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Ⅲ-6-17〉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실시 부모교육 전‧후 가족 간 대화시간 및 남성의 양육 참여시간 변화

단위: %, %p

항목 교육 전 교육 후 변화 폭

교육 전‧후 가족 간 대화시간 변화

주중 2시간 이상 대화시간 비율 31.5% 44.0% + 12.5%p 주말 2시간 이상 대화시간 비율 45.2% 61.2% + 16.0%p 교육 전‧후 남성의 양육 참여시간 변화

주중 양육 참여 시간 4시간 이상 18.9% 25.0% + 6.1%p 주말 양육 참여 시간 4시간 이상 30.0% 42.5% + 12.5%p 자료: 여성가족부 보도자료(2016. 9. 27). “부모교육, 듣길 잘했다“

또한 부모교육으로 인한 자녀와의 관계 변화에 대한 항목(자녀와의 친밀도, 자녀와의 유대감, 양육 스트레스, 양육기술과 지식)에서도 관계개선이 있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표 Ⅲ-6-18 참조).

〈표 Ⅲ-6-18〉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 실시 부모교육 전‧후 자녀와의 관계 변화 단위: 점

구분 항목(5점 만점) 교육 전 교육 후 변화 폭

자녀와의 친밀도

나는 아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다 4.06 4.21 + 0.15 나는 아이와 이야기를 많이 한다 3.83 3.97 + 0.14

나는 아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다 4.06 4.21 + 0.15 나는 아이와 이야기를 많이 한다 3.83 3.97 + 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