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근로자의 고용가능성과 관련 변인의 상관관계

IV. 연구의 결과

3. 근로자의 고용가능성과 관련 변인의 상관관계

근로자의 고용가능성과 관련 변인의 상관관계는 <표Ⅳ-9>와 같다.

근로자의 고용가능성은 사회 및 인적 자본 특성 중 재직기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정의적 특성과 고용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장욕구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0.544로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가지며, 이것은 성장욕구가 높을수 록 고용가능성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용가능성 하위요인들과 성장 욕구의 상관관계는 0.372~0.495의 범위로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 위요인 중 경력탄력성, 경력동기, 경력주도성 순으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고용가능성에 대해 개방성은 피어슨 상관계수가 0.490으로 중간 수준의 정적 상 관을 가지며, 개방성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고용가능성 하위요인들과 개방성의 상관관계는 0.229~0.518의 범위로 대체로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알 수 있다. 개방성은 고용가능성 하위요인 중 경력탄 력성과 높은 상관관계이며, 경력주도성, 경력동기의 순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지적 특성과 고용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보지향적 자아정체 감은 피어슨 상관계수가 0.477로 보통 수준의 정적 상관을 가지며, 이것은 정보

지향적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 용가능성 하위요인들과 정보지향적 자아정체감의 상관관계는 0.320~0.392의 범위 로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 중 경력동기, 경력탄력성, 경력 주도성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고용가능성에 대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피어슨 상관계수가 0.367로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가지며, 사회적 문제해결능 력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용가능성 하위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0.383~0.471의 범위로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 중 경력주도성, 경력탄력성, 경력동기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사회 및 인적자본 특성과 고용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네 트워크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0.558로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가지며, 이것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클수록 고용가능성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용가 능성 하위요인들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상관관계는 0.383~0.471의 범위로 중간 수 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 중 경력탄력성, 경력주도성, 경력동기 순으 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고용가능성에 대해 교육수준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지만 피어슨 상관계수가 0.122로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용가능성 하위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경력동 기와 유의미한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한편 고용가능성에 대해 재직기 간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없었다.

1 1-1 1-2 1-3 2 3 4 5 6 7 8 1. 고용가능성 1.000

1-1. 경력동기 0.723** 1.000

1-2. 경력주도성 0.724** 0.338** 1.000

1-3. 경력탄력성 0.815** 0.347** 0.417** 1.000

2. 성장욕구 0.544** 0.381** 0.372** 0.498** 1.000

3. 개방성 0.490** 0.229** 0.336** 0.518** 0.053** 1.000 4. 정보지향적

자아정체감 0.477** 0.392** 0.320** 0.372** 0.508** 0.304** 1.000

5.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0.367** 0.239** 0.343** 0.282** 0.421** 0.328** 0.575** 1.000

6.사회적네트워크 0.558** 0.383** 0.403** 0.471** 0.385** 0.527** 0.370** 0.247** 1.000

7. 교육수준 0.122* 0.279** 0.089 -0.024 0.088 -0.047 0.174** 0.083 0.122* 1.000

8. 재직기간 0.116 0.011 0.139* 0.112 0.101 0.085 0.028 0.056 0.082 -0.455** 1.000

*p<0.05,**p<0.01

<표 Ⅳ-9> 고용가능성과 관련 변인의 상관관계

4. 근로자의 고용가능성에 대한 관련 변인의 설명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