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마이스 우수 육성정책 및 우수사례 분석

문서에서 인천광역시 (페이지 43-60)

2.2. 국내 마이스산업 육성정책 및 우수사례

2.2.2. 국내 마이스 우수 육성정책 및 우수사례 분석

❚ 정책 및 지원 현황

① 세계적인 수준의 마이스 인프라 확충

Ÿ 서울은 세계적 수준의 마이스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도시계획과정과 연계하여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하여 마이스산업 기반을 조성하고자 함

Ÿ 핵심 사업으로는 전시 및 컨벤션 시설 확충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총 3단계, 3 권역에 걸쳐 이루어질 계획

- 1단계 사업: 2018년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와 서울역 북부지역을 확충 - 2단계 사업: 잠실-삼성역 지역을 2020년 까지 확충

- 3단계 사업: 서남권역, 마곡지구 R&D 연구단지 내

Ÿ 서울 유니크 베뉴 11개를 신규 선정(누계 50개)하여 활용지원

② 마이스 잠재수요 발굴, 유치 확대

Ÿ 선제적 마이스 유치시스템을 운영하여 해외 DB 분석, 유치수요 조사 및 국내외 유치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맞춤형 유치지원 서비스(유치컨설팅, PT작성, 유치클리닉, 홍보부스 운영, 답사지원, 서울시장 지지서한 등)를 제공

- 유치성공 총 132건 97,443명(외국인 84,727명)으로 전년대비 건수 기준 53% 상승하였으며, 국제 회의는 건수기준 11% 상승(외국인 참가자수 기준 36% 상승), 기업회의 및 인센티브 관광은 건수기준 74%(외국인 참가자수 기준 29% 상승)

③ 마이스 부가가치 확대

Ÿ 마이스산업 부가가치 확대를 위하여 ‘마이스 특화관광프로그램 운영’ 과 ‘마이스 참가자 전용 관광 및 교통카드’ 도입의 두 가지 사업을 선정하여 운영

- 마이스 참가자별 맞춤형 관광상품 개발 및 홍보: 힐링 등 특화 관광코스 17건을 신규개발하였으며, 프리미엄 해설전문가 5명을 추가 선정(누계 30명)

- 마이스 참가자 전용 관광 및 교통카드 도입: 마이스 참가자의 소비촉진을 위하여 특화 할인카드(교통, 관광, 쇼핑)을 도입하여 카드 발급업체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B2B형태(마이스 기획자 대상)로 판매 추진

④ 글로벌 마이스 행사 육성

Ÿ 글로벌 마이스 행사 육성을 위하여 ‘서울 대표 마이스 육성’과 ‘국내 마이스 행사의 국제 마이스화 추진’의 2개 사업을 추진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서울 대표 마이스를 육성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마이스를 발굴 및 집중 지원하고 있음

Ÿ 서울시는 2015년 마이스 클러스터를 발족하며 만들어진 대한민국 최대 민관 협업 마이스 행사인 C-페스티벌을 4년째 지원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적 성장 가능성이 큰 마이스 행사 또한 선정 및 집중 지원하여 지난 3년간 안정적인 지원으로 마이스 행사의 국제화에 기여 - 지원 대상 행사 4건(국제방송음향조명기기전시회, 인터베터리,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서울카페쇼),

’13년 대비 ‘16년 해외바이어 규모 평균 112.6% 성장

⑤ 서울시 마이스 생태계 강화

Ÿ 마이스 시장 확대가 업계와 시민의 동반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육성체계를 만들기 위하여 질적 성장을 위한 지원체계 내실화, 지역 사회와 연계한 특화관광 운영

Ÿ 마이스 지원 체계 개편 및 종합 유치 지원 서비스 시행을 통한 융복합 마이스 육성 체계 강화 및 마이스 통계조사 및 지원사업 평가 시행

Ÿ 마이스 전문인력 양상을 위하여 서울 마이스 서포터즈를 공식행사 현장 인력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 마이스 인재뱅크를 신설 운영하여 멘토링 및 취업 컨설팅 진행

Ÿ 서울 마이스 WEEK를 2014년부터 개최하여 산업 전문가, 학생, 서울시민들과 함께 마이스 산업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마이스 글로벌 축제 운영

❚ 시설 및 인프라 현황 및 확충계획

Ÿ 서울시의 주요 마이스 시설은 Coex, SETEC, aT Center 등이며 총면적은 65,879㎡(전시 52,106㎡, 회의 13,773㎡)

Ÿ 서울시는 2028년까지 현재의 시설 규모보다 3배 증가한 186,938㎡ 확보 계획 수립, 추진 하기로 함

Ÿ 마이스 수요 증대에 대비해 권역별(도심권, 동남권, 서남권), 단계별 마이스 시설 확충계획 수립 및 추진

센터명 개장년월 총면적 (㎡) 전시면적(㎡) 회의면적 (㎡) 회의실 수용규모 Coex 1979.03 48,309 36,736 11,573 대회의실: 1,800명

회의실 54개 SETEC 1999.05 9,041 7,948 1,093 대회의실: 300명

회의실 5개 aT Center 2002.11 8,529 7,422 1,107 대회의실: 400명

회의실 8개

<표 2-11> 서울특별시 마이스 시설 현황

Ÿ 기존의 마이스 시설인 COEX, SETEC, aT센터를 확장함과 동시에 DDP, 서울역 북부, 삼성, 잠실, 마곡 등의 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며, 이외에도 '옛 서울 의료원부지'를 공개 매각하여 전시장 및 회의장, 호텔 건립을 추진

[그림 2-10] 서울특별시 마이스 인프라 확충 계획

* 출처: 서울특별시(2013). 서울마이스 육성 마스터플랜(2014~2018).

❒ 인천시 마이스산업 환경과의 비교

서울은 국내에서 독보적인 유치 환경과 마이스 인프라, 기업의 밀집으로 시장을 선도 하고 있어 인천시가 서울과의 관계에서 우위를 선점하기에는 어려우며, 파트너십을 통하여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

인천은 대한민국의 출입문인 인천국제공항과 풍부한 문화관광자원과 복합리조트단지 시설로 인해 높은 수준의 마이스 인프라를 구축된 가운데, 인천 도시 브랜드를 강화 하고 시민 인식 제고를 통하여 산업의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

2) 부산

❚ 개요

Ÿ 부산시의 최근 3년간 마이스 개최실적을 살펴보면, 전시회 개최 건수는 2012년 74건, 2014년 101건으로 36.5%가 증가하였으며, 전시장 가동률은 2012년 47%, 2014년 51%로 4%가 증가함

Ÿ 회의는 2012년에 1,742건에서 2014년에는 1,400건을 개최하여 19.6%가 감소함 Ÿ 반면 이벤트는 2012년에 83건에서 2014년에 103건을 개최하여 19.4%가 성장함 Ÿ 부산시는 “VISION 2020” 수립을 통하여 마이스 기반의 Business & Travel 거점도시 구축하기

위하여 마이스산업 중장기 육성방안을 수립하였으며, 4대 전략과 16대 주요 추진사업을 선정하였음

[그림 2-11] 부산광역시 마이스산업 육성 4대 전략

* 출처: 부산광역시(2015). 부산광역시 마이스산업 중장기 육성방안.

❚ 정책 및 지원 현황

① 부산 마이스산업 기반확충

Ÿ 핵심 사업으로 ‘마이스 복합지구지정’, ‘관광세 도입’, ‘마이스산업 기반 확충’의 3개 사업을 선정함

Ÿ 지역 내 관광 마이스 시설의 집적화를 통하여 시설 간의 기능적, 공간적, 유기적 결합을 유도 하며, 마이스산업, 숙박, 관광, 쇼핑 등 관련 산업과의 연계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함 Ÿ 관광재원확보를 위하여 관광시설에 대한 관광세 도입 검토 예정임

② 부산 마이스 브랜드 강화

Ÿ 핵심 사업으로 ‘부산형 전시 디자인 연구 지원 사업 실시’, ‘유니크 베뉴 발굴 및 활성화’, ‘부산 도시마케팅 강화’, ‘대표전시회 발굴 및 해외홍보지원 사업’, ‘부산 전시회의 전문화·대형화·국 제화’의 5개 사업을 선정함

Ÿ 부산형 전시 디자인개발을 위해 디자인 부스 연구지원 사업 공모, 선정된 업체에 연구개발비 지원

Ÿ 지역의 죽은 공간(Dead space)을 활용한 부산의 개성이 묻어나는 독특한 장소 개발 (명지 에코델타시티 내 새로 조성될 시민공원활용 녹지 컨벤션 시설 마련, 감천문화마을의 폐교를 국제회의장 활용, 아쿠아리움, 선상컨벤션 등)

Ÿ 인프라 강화 노력을 도시마케팅에 활용, APEC 정상회의, ITU전권회의 등 통해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며, 국제영화제, 국제불꽃축제 등과의 메가 이벤트와의 이미지를 엮어 마이스 마케팅, 관광프로그램 개발, 포럼 개최를 통한 도시마케팅 활성화

Ÿ 부산의 마이스 경쟁력 향상을 위해 부산의 대표 최우수 전시회 3개 선정하여 국내 전시회 해외 마케팅 지원 제도 마련(1개당 해외마케팅비 2,000만원 지원)

Ÿ 전시회의 전문화·대형화·국제화를 위하여 3개 이상의 주최자가 합작하여 전문화 및 대형화를 추진하는 전시회에 한해 워크숍 개최 운영비 및 통폐합 지원 육성비 지원(2,100만원)

③ 유치 역량 강화

Ÿ 핵심 사업으로 ‘마이스산업 관련기관 및 기업 간 네트워킹 활성화’, ‘해외 순회형 마이스 유치와 발굴을 위한 해외마케팅 전략 강화’, ‘부산 Incentive travel 활성화’, ‘영어도시 지향 및 시민들의 영어수준 향상’의 4개 사업을 선정

Ÿ 마이스 시장 환경은 1:1 경쟁이 아닌 네트워크:네트워크의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로, 부산 마이스 관광 산업 네트워크 교류의 장을 마이스산업분야를 넘어 부산소재 기업들의 네트워크 형성 및 파트너십을 추진하며, 해외 전시회 부산 유치를 위한 도시간 MOU 체결 진행하고자 함

Ÿ 부산 Incentive travel은 발전이 저조한 상황이며, 이를 강화하기 위하여 크루즈 관광상품 개발 및 중국 및 일본과 연계한 관광벨트 상품개발이 요구됨

Ÿ 업계 종사자들의 영어수준 향상과 마이스산업 이해도 증진, 마이스 방문객들에 대한 의식 수준과 수용태세 변화를 위한 교육 추진예정

④ 부산 마이스 인프라 확충

Ÿ 핵심 사업으로 ‘신규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벡스코 확충’, ‘지원센터 기능 포함 컨벤션 호텔 건립’, ‘ 부산지역 마이스 기획사 R&D 연구 개발 지원’의 4개 사업을 선정

Ÿ 2020년 벡스코의 전시장 가동률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벡스코의 확충 및 신규 전시 컨벤션 센터 건립 추진 예정

Ÿ 하드웨어 측면의 배후 서비스 지원에 대한 지속적인 확충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마이스 연계 컨벤션 호텔 건립 추진과 함께 영세 마이스 기업 및 신생 업체들의 공동 네트워킹 강화를 위한 ‘마이스 기업 지원센터’와 같은 컨트롤 타원 건립 추진 예정

Ÿ 부산의 마이스 기업들은 영세한 수준으로 행사를 수주하거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를 타개하기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차별화된 제안서를 기획할 수 있는 연구 환경 조성 방안 추진함

❚ 시설 및 인프라 현황 및 확충계획

Ÿ 부산시의 벡스코는 2001년 9월에 개장하였으며, 2012년에 회의시설을 제외한 제2전시장과 오디토리움 등을 조성하여 2단계 시설확장을 실시함

Ÿ 2014년 벡스코의 연 가동률은 50.67%(성수기:66.5%)이며, 국제규모의 대형행사 시 공간 부족으로 야외에 등록데스크를 운영하고 있어, 벡스코의 전시 컨벤션 공간의 확보를 계획 하고 있음

Ÿ 부산은 중대형 규모(5만㎡ 이상)의 전시장이 전무한 실정으로 중대형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인프라를 갖추고자 하며, 이와 더불어 2030 부산등록엑스포 개최를 추진을 위하여 김해공항 및 가덕도에 신규 전시장 건설을 추진을 고려하고 있음

센터명 개장년월 총면적 (㎡) 전시면적(㎡) 회의면적 (㎡) 회의실 수용규모 BEXCO 2001.09 54,731 46,380 8,351 대회의실: 2,400명

회의실 49개

<표 2-12> 부산광역시 마이스 시설 현황

❒ 인천시 마이스산업 환경과의 비교

부산은 우수한 관광 마이스 인프라 시설과 컨벤션센터를 보유하여 서울 다음으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인천과 부산은 항구도시라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으나 현재로서는 인천시는 마이스의 모든 분야에서 서울, 부산 등 주요 마이스 도시와 경쟁력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행사를 유치하는 방안과 서울, 수도권 등과 연계한 광역 마이스전략을 통해 극복할 필요가 있음

문서에서 인천광역시 (페이지 4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