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이버 사서교육에 대한 현장사서 인식 조사

III. 국립중앙도서관 사이버 사서교육 현황분석

4. 사이버 사서교육에 대한 현장사서 인식 조사

국립중앙도서관의 향후 사이버 사서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반영하기 위한 목 적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그간 제공해 온 사이버 사서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 조사와 포커스그룹형태의 전문가 자문회의를 수행하였다.

가. 조사 방법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주관하는 사이버 사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한 사서 및 도서관 관계자들의 교육참여 경험과 사이버 사서교육과 관련된 새로운 교육적 수요를 도출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초점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문항은 온라인 환경에 서의 교육 참여자 만족도 및 교육수요 관련연구 및 보고서, 사서교육 관련 기존 연 구 및 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통해 연구진이 초안을 개발하고, 사서교육관계자들의 검토를 통해 확정되었다. 확정된 설문문항에는 참여자의 개인변인, 사서교육 참여경

평가와 지원을 위한 메뉴들이 있다.

Ÿ 차시설정에서는 주차, 제목, 장애인용 학습자료, 설정, 강, 학습시간, 강제목 으로 구분하여 정보를 보여준다.

Ÿ 하단에는 주차제목이란 항목이 있어 주차를 추가할 수 있다.

Ÿ 평가 및 수료기준 메뉴에서는 평가와 수료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Ÿ 평가항목, 평가비율, 과락(점), 참여율 기준 및 점수의 항목이 있다.

Ÿ 평가비율에서 평가항목마다 퍼센트를 입력할 수 있다.

Ÿ 과락(점)에서 평가항목마다 과락의 기 준 점수를 입력할 수 있다.

Ÿ 참여율 기준 및 점수는 ~이상 ~미만 으로 점수 구간을 정하여 상, 중, 하를 나누는 항목이다.

Ÿ 총 수료점수에 점수를 입력하여 수료 의 기준점수를 입력할 수 있다.

Ÿ 과제제출이나 시험응시 등의 여부와 별도로 진도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 우 미수료 처리 되도록 하는 조정이 필요하다.

Ÿ 참여율 기준은 진도율과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므 로 의의 검토가 필요하다.

을 위한 사서직군 전문역량 및 해당 지식과 기술의 교육반영 중요성 등을 주요 문 항으로 포함하여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참여대상자는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의 협조를 통해 수집된 사 이버 사서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국 도서관의 사서 및 관련자들 5,648명에 게 설문참여 안내 이메일을 발송하여 설문참여를 독려하였다. 해당 설문조사는 2015년 11월 19일부터 12월4일까지 2주간 실시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 전문사 이트인 ‘surveymonkey’에 탑재된 온라인 설문페이지를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대상자 5,648명 가운데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총 1,019명(회수율 18%)의 응답자 료가 분석되었다.

나. 설문조사 결과분석

1) 설문참여자 개인적 배경 특성

설문 응답자 1019명 가운데 남성은 152명으로 14,92%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은 86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85.08%를 차지하였다.

<표Ⅲ-23> 응답자의 성별 비율

문항 계 %

남 152 14.92

여 867 85.08

합계 1019 100

연령대별 응답자의 비율은 <표Ⅲ-24>에 제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20대는 15.6%, 30대는 35.82%, 40대는 30.91%, 50대는 17.17%, 60대 이상은 0.29%로 나타나, 전체 응답자 가운데 30대와 40대에 속한 응답자의 비율이 66.73%를 차지 하였다.

연령대 계 %

20대 159 15.60

30대 365 35.82

40대 315 30.91

50대 175 17.17

60대 이상 3 0.29

무응답 2 0.20

합계 1019 100

<표Ⅲ-24> 응답자의 연령대별 비율

응답자의 최종학력별 구분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 졸업자가 72.52%로 가장 높 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석사학위 소지자가 17.27%로 뒤를 이었다. 2년제 대학 졸업자는 8.73%였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도 5명으로 0.49%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25> 응답자의 최종학력별 비율

응답자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도서관의 유형을 살펴보면, 공공도서관에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가 51.62%로 전체 응답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학교도서 관 근무자와 대학도서관 근무자가 각각 18.65%와 19.0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어 작은도서관 근무자는 4.61%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등 국립도서관에 근무하고 있는 인원이 2.85%, 전문도서관 근무자가 2.75%로 비슷한 비율로 설문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도서관, 병영도서관 등 특수도서관 에 근무하는 인원은 0.49%의 비율로 나타났다.

최종학력 계 %

2년제 대학 89 8.73

4년제 대학 739 72.52

대학원 석사 176 17.27

대학원 박사 5 0.49

무응답 10 0.98

합계 1019 100

근무 도서관 유형 계 %

국립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등) 29 2.85

공공도서관 526 51.62

작은도서관 47 4.61

대학도서관 190 18.65

학교도서관 194 19.04

전문도서관 528 27.5

특수도서관(장애인, 병영, 교도소 도서관 등) 5 0.49

합계 1019 100

<표Ⅲ-26> 응답자의 근무 도서관 유형별 비율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가운데 절반가량인 48.87%는 사서직 공무원인 것으로 나 타났다. 뒤를 이어 도서관 계약직원이 25.81%였으며, 도서관의 위탁운영을 담당하 는 민간 운영기관에 속한 직원이 16.29%였다. 그 외 학교 사서교사가 1.96%, 도서 관 자원봉사자가 0.79%였으며, 제시된 고용형태에 속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도서관 관계자가 6.28%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27> 응답자의 도서관 내 고용신분 유형별 비율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서자격증별 분류에 따른 응답자 분포는

<표Ⅲ-28>와 같다. 전체 응답자의 66.93%인 682명은 2급 정사서 자격증 소지자 였으며, 준사서가 14.13%, 1급 정사서가 9.72%였다. 사서자격증을 소지하지 않은 도서관 관계자의 응답비율도 9.13%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자격증 계 %

준사서 144 14.13

2급 정사서 682 66.93

1급 정사서 99 9.72

사서자격증 소지하지 않음 93 9.13

기타 1 0.10

합계 1019 100

<표Ⅲ-28> 응답자의 사서자격증별 분류

응답자가 현재 도서관내 직급은 전체의 81.84%에 해당하는 834명이 도서관 업 무의 실무담당자로 응답하였다. 중간관리자에 해당하는 직급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 는 132명으로 12.95%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 도서관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응 답자는 3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3.63%를 차지하였다. 해당 직급 분류에 포함되지

고용신분 유형 계 %

사서직 공무원 498 48.87

사서교사 20 1.96

민간운영기관 소속직원 166 16.29

계약직원 263 25.81

자원봉사자 8 0.79

기타 64 6.28

합계 1019 100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1.57%였다.

<표Ⅲ-29> 응답자의 도서관 내 직급별 분류

도서관 내 직급 계 %

실무자 834 81.84

중간관리자 132 12.95

관장 37 3.63

기타 16 1.57

합계 1019 100

응답자가 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구체적인 직무에 따라 응답자의 비율을 살펴 보면, 사서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89.4%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 었다. 이어 도서관 운영과 관련한 행정직에 종사하고 있는 응답자가 5.79%, 기술직 이나 관리직에 해당하는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응답자가 3.34%였으며, 전산직 근 무자는 0.49%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계 %

사서직 911 89.40

행정직 59 5.79

전산직 5 0.49

기타(기술직, 관리직 등) 34 3.34

기타 10 0.98

합계 1019 100

<표Ⅲ-30> 응답자의 도서관 내 근무 직종별 분류

응답자가 도서관에서 근무한 경력에 따라 응답자 비율은 아래 <표Ⅲ-31>에 제시 된 바와 같다. 응답자 가운데 16년 이상 도서관에서 근무한 응답자가 전체의 2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5년 이상 9년 미만의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 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19.63%, 이어 3년 미만의 경력자가 18.45%, 3년 이상 5년 미만의 근무자가 16.19%, 9년 이상 13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14.13%로 나타났다. 13년 이상 16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응답자는 51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31> 응답자의 도서관 근무 총 경력별 분류

응답자가 근무하고 있는 도서관의 지역별 소재지에 따른 응답자 비율을 살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25.22%에 해당하는 257명은 서울에 소재한 도서관에서 근무 하고 있었다. 이어서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가 21%로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가 46%로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광역시 수준에서는 부산광역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가 7.65%, 대구광 역시가 5%, 인천광역시는 3.93%, 광주광역시는 2.26%, 대전광역시 2.06%, 울산광 역시가 1.37%였다. 지역단위에서는 경남 8.15%, 강원 6.77%, 충북 3.53%, 경북 3.43%, 전남 3.04%, 충남 2.75%였다.

<표Ⅲ-32> 응답자의 근무 도서관 소재지별 분류

문항 계 %

3년 미만 188 18.45

3년 이상 5년 미만 165 16.19

5년 이상 9년 미만 200 19.63

9년 이상 13년 미만 144 14.13

13년 이상 16년 미만 51 5.00

16년 이상 270 26.50

기타 1 0.10

합계 1019 100

문항 계 %

서울특별시 257 25.22

부산광역시 78 7.65

대구광역시 51 5.00

인천광역시 40 3.93

광주광역시 23 2.26

울산광역시 14 1.37

대전광역시 21 2.06

세종특별자치시 6 0.59

강원도 69 6.77

경기도 214 21.00

충청남도 28 2.75

충청북도 36 3.53

전라남도 31 3.04

2) 응답참여자의 집합(오프라인) 사서교육 참여도와 만족도

최근 3년간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주관한 집합교육의 참여정도는 2-4회 정도 참여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1.31%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기타(무응답) 25.81%, 1회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이 21.79%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집합교 육에 1회 참여한 응답비율은 15.61%였으며, 5-7회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3.63%였으며, 10회 이상 참여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1.37%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33> 응답자의 최근 3년간 국립중앙도서관 집합 사서교육 참여 횟수

문항 계 %

10회 이상 14 1.37

8-10회 5 0.49

5-7회 37 3.63

2-4회 319 31.31

1회 222 21.79

최근 3년간은 없지만 그 전에 참여한 적 있음 159 15.61

기타 263 25.8

합계 1019 100

국립중앙도서관의 집합 사서교육에 참여한 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만 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이 48.3%였으며,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2.01%였다.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인식한 응답자의 비율도 17.8%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1.9%, 매우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0.1%에 불과해 전체적인 사서 집합교육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인식한 응답자의 비율도 17.8%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1.9%, 매우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0.1%에 불과해 전체적인 사서 집합교육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