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교육시설 및 기자재의 보유 현황

문서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기준 개발 (페이지 50-53)

학교교육을 위하여 이에 필요한 교육 시설과 설비 및 교구를 구비하는 것 은 교육의 필요 조건이다. 학교 시설이란 학교 교육의 목표에 따른 교육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학교의 물리적 환경 또는 물적 시 설을 말하며, 외곽 시설과 내부 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외곽 시설이 지적 (地積) 시설 (교사 대지, 체육장, 실습지 등)과 건물 시설 (교실, 시청각실・학 습 자료실・강당 등의 교육 보조 시설, 교무실・화장실 등의 관리 및 보건 위생 시설)을 의미한다면, 내부 시설이란 교육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효과적 인 교수・학습을 위해서 비치되는 교구 및 설비를 의미한다. 설비에는 책걸 상, 칠판, 실험・실습대 등이 있고, 교구에는 시청각 교육 기기, 실험・실습 기기, 입체 자료, 도해 자료 등이 있다(강무섭 외, 1999; 나영선・이현정, 1998 : 279에서 재인용).

적절한 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를 제대로 충 분히 갖추고 있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준으로는 적절성, 충분성, 안전 성, 교육적 기능성, 접근 가능성 등이 있다(강무섭 외, 1999; 강종훈 외, 1998 : 16 - 19에서 재인용).

먼저, 적절성(suitability )이란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가 교육 내용에 과연 적절한 것인가 이다.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는 학습 내용의 즉시화 나 직접화가 가능하고, 그 내용을 정확하게 제시하며, 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참여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반복 학습이 가능하고 대리 경험에 의한 학습도 가능케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실험・실습 시 설 및 기자재가 이러한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에 가 장 적합하고 꼭 필요한 시설 및 기자재가 기준에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 히, 기술 변화에 따라 사회, 가정 등 모든 분야가 새롭게 개발된 기기로 자 동화, 과학화되고 있고, 학교는 이러한 산업 사회의 기술 변화를 수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술 변화를 선도해야 하기 때문에 실험・실습 시설 및 기 자재도 이러한 기술 변화에 맞게 적절히 선정되어야 한다.

둘째, 충분성(adequacy )이란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가 교육을 위해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가 이다. 실험・실습 시설 및 기가재가 교육목표를 달 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다루면서 실험・실습할 수 있 도록 충분한 수량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안전성(safety )이란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가 과연 안전한가 이 다.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는 주로 학생들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견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최대한 위험하지 않도 록 배려하고 화기나 위험물의 경우에는 안전 장치가 마련되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육적 기능성(edu cational fun ction )이란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 재가 과연 교육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가 이다.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 가 교수・학습을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질 좋은 실험・실습 시설 및 기 자재가 공급되어야 한다. 교육 목적에 맞는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를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작 공정 등이 공학적인 측면에서 인체의 생리 기능 및 표준 체형에 적합하도록 크기나 구조 등이 결정되어야 한다. 특히,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는 교육적 기능, 구조, 용도 등에 적합한 금속, 목재, 플라스틱,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제 작된 시설 및 기자재가 교육적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활용에 필요한 작업 대, 실험대, 공구, 소모성 기자재와 환기, 안전, 장비 유지 보관, 환경 오염 방지 등 부대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다섯째, 접근 가능성(accessibility )이란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가 과 연 교사와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 이다. 실험・실습실에는 실험・

실습 활동에 필요한 시설 및 기자재가 마련되어야 하며, 마련된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는 교사와 학생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과제 및 교과별로 잘 구분되어 있어야 한다.

우리 나라 실업계 고등학교의 시설 및 기자재 보유 현황을 이러한 기준으 로 판단해 보았을 때 최신 기자재의 도입은 부족한 실정에 있고, 그 수에 있어서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99년 3월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율은 62.7%

에 불과하여 효과적인 실험・실습 교육을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 표 Ⅱ- 4> 참조). 계열별로는 공업계 고등학교가 66.4%로 가장 높고, 다음 이 농업계 고등학교 58.1% , 상업계 고등학교 51.6% , 해양・수산계 고등학교 50.0% 인 것으로 매우 열악한 실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 표 Ⅱ- 4> 실업계 고등학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

(단위 : 천점, 억원)

구 분 기 준 보 유 보유율 (%)

종수 점수 금액 종수 점수 금액 종수 점수 금액 농업계 31 100 1,055 18 58 608 58.1 58.0 57.6 공업계 143 865 11,590 95 556 6,139 66.4 64.3 53.0 상업계 31 298 2,856 16 197 1,618 51.6 66.1 56.7 해양・

수산계 4 17 215 2 9 117 50.0 52.9 54.4 전체 209 1,280 15,716 131 820 8,482 62.7 64.1 54.0 주) 1999년 3월 1일 현재 자료임.

자료 : 교육부 평생교육국(1999). 1999 주요 업무 현황. p.80.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험・실습 기자재는 질적으로도 노후화되어 있는데 이는 첫째, 직업교육에서 기자재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것은 곧 일반 교 육에서 교과서 없는 교육과 같은 심각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사회적 으로는 물론 교육계에서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둘째, 직업교육의 중요성은 항상 거론하면서도 이를 위한 기본 전제인 실험・실습 시설 및 기 자재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셋째, 학교간의 특성화 미흡 등으로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중복 투자가 이루어짐에 따 라 재원의 효율성과 기자재의 활용율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강무섭 외, 1999 ; 나영선・이현정, 1998 : 281- 282에서 재인용).

이러한 열악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근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험・실습 시 설 및 기자재의 확충과 노후 기자재의 대체를 위한 예산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7 ). 확보된 예산으로 효율적인 기자재 구입과 더불어 보유 시

문서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기준 개발 (페이지 5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