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그림 3-6. 골재채취 현황

2. 경지현황

2.1. 경지면적(2000년 기준)

2.1.1. 한강

한강하구역 면적 282,995ha 가운데 경지면적은 총 34,793ha로 약 12%를 차 지한다. 3개 하구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이다. 상대적으로 경지면적이 크 지 않으며, 서울특별시와 신도시에는 경지면적이 거의 없다. 그러나 가장 하 류에 위치한 김포시와 파주시 일부에 경지면적이 집중(1,500~2,499ha)되어 있

어 이곳의 경지이용 결과가 하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역별 분 포를 살펴볼 때, 경지가 거의 발달하지 않은 지역과 경지면적이 큰 지역으로 양분되어 분포되어 있다.

한강하구역에 속하는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군포시, 김포시, 부천시, 성남 시, 시흥시, 안양시, 양주군, 연천군,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인천광역시, 서 울특별시 등 16개 시․군 가운데 군포시의 경지비율이 57%로 가장 높다. 한강 하구역내 경지는 파주시에서 35.2%로 가장 많이 점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 로 김포시(27.0%), 고양시(10.4%) 순이다. 즉, 경지면적을 기준으로 볼 때 한강 하구역에 대한 농업의 영향은 파주시에서 가장 크게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3-7. 한강(경지면적) 그림 3-8. 영산강(경지면적)

그림 3-9. 섬진강(경지면적)

ha

하구역면적(ha) 경지면적(ha) 경지비율(%)

2.1.2. 영산강

영산강하구역내 경지 비율은 52.2%로 3개 사례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수

섬진강하구역내 경지면적 16,882ha가운데 하동군이 27.7%로 가장 많이 점 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광양시(27.4%), 여수시(19.3%) 순이다. 경지면적 을 기준으로 볼 때, 하동군과 광양시가 하구역에 농업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하구역내 경지비율은 18.3%로 한강하구역 의 경지비율 보다 다소 높다.

2.2. 논면적(2000년 기준)

그림 3-10. 한강(논면적)

그림 3-11. 영산강(논면적)

그림 3-12. 섬진강(논면적)

ha

2.2.1. 한강

한강하구역내 경지면적 가운데 논면적은 23,802ha로 논비율이 69%이다. 논 의 지역별 분포는 경지 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상대적으로 논면적이 크 지 않으며, 서울특별시와 신도시에는 논이 거의 없다. 그러나 가장 하류에 위치한 김포시와 파주시 일부에 논이 집중(1,000~1,675ha)되어 있다. 논의 경 우 토양유실 가능성이 밭에 비해 낮아 최하류부 경지를 논으로 활용하는 것 은 토양유실로 인한 하구 환경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강하구역내 논 가운데 38.8%는 파주시에, 31.8%는 김포시에 집중되어 있 으며, 나머지 시․군의 점유비율은 10%미만이다. 한강하구역 면적대비 논비율 은 12.4%로 전체 하구역에서 논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다. 그러나 군포시의 경우 하구역에 포함되는 면적 가운데 43%가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 며, 뒤를 이어 김포시(27.4%), 부천시(26.6%)로 하구역면적대비 논비율이 높다.

2.2.2. 영산강

영산강하구역내 경지면적 가운데 논면적은 39,609ha로 논비율이 64%이다.

논의 지역별 분포는 경지 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500ha이상의 논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최하류에 위치한 지역에 1,676ha 이상의 대규모 논이 발달되어 있다. 영산강하구역내 논 가운데 36.9%는 영암군에 집중되어 있으 며 해남군에 25.1%, 무안군에 19.6%의 논이 분포되어 있다. 그 외 시․군에는 10% 미만의 논이 분포되어 있다.

영산강하구역 전체면적 대비 논면적은 33.5%로 3개 사례지역 중 하구역에 서 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한강하구역(12.4%), 섬진강하구역 (12.6%)과 비교할 때 약 3배 수준이다. 목포시(12.2%)를 제외한 6개 시․군의 전체면적 대비 논면적 비율이 20%를 초과한다. 논이 고루 분포되어 있어 토 양유실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2.2.3. 섬진강

섬진강하구역내 경지면적 가운데 논면적은 11,351ha로 논비율이 69%이며, 지

역별 논 분포는 경지 분포와 유사하다. 대부분의 논이 200ha이상 999ha미만 규모 로서, 고루 분포되어 있다. 섬진강하구역내 논 가운데 30.4%가 하동군에 집중되 어 있으며, 광양시와 여수시에 각각 27.1%, 17.9%가 분포되어 있다. 그 외에 순천 시와 남해군에도 10%이상의 논이 분포되어 있다. 섬진강 역시 영산강과 마찬가 지로 논이 고루 분포되어 있어 토양유실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구역에 속한 전체면적 가운데 논면적의 비율은 순천시가 33.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그 외 광양시를 제외한 시․군의 전체면적 대비 논면 적 비율은 10% 이상이다. 광양시의 경우 전체면적 가운데 8%가 논면적으로 논농업이 가장 낮게 이루어지고 있다.

2.3. 밭면적

그림 3-13. 한강(밭면적)

그림 3-14. 영산강(밭면적)

그림 3-15. 섬진강(밭면적)

ha

2.3.1. 한강

한강하구역내 경지면적 가운데 밭면적은 10,666ha로 밭비율은 31%이다. 김 포시, 파주시, 양주군, 연천군의 일부지역에 200ha이상 399ha미만의 밭이 집중 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와 신도시 지역에는 밭이 거의 분포되어 있지 않다.

한강하구역내 10,666ha의 밭 가운데 27.0%가 파주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김 포시(16.3%), 고양시(16.3%)의 순으로 밭이 분포되어 있다.

2.3.2. 영산강

영산강하구역내 경지면적 가운데 밭면적은 22,135ha로 밭비율은 36%이다.

하구역내 대부분 지역에 200ha 이상의 밭이 펼쳐져 있으며, 해남군과 무안군 일부 지역에 1,418ha 이상의 밭이 분포되어 있다. 영산강하구역은 경지 규모 가 커서 상대적으로 밭면적 규모도 큰 편이다.

영산강하구역내 밭 가운데 35.7%가 해남군에 집중되어 있으며, 뒤를 이어 무안군과 영암군에 각각 29.9%와 23.9%의 밭이 분포한다.

2.3.3. 섬진강

섬진강하구역내 경지면적 가운데 밭면적은 5,132ha로 밭비율은 31%이며, 200ha 이상 434ha 미만의 밭이 일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섬진강하구역내 밭 가운데 28.8%가 광양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외 시․군에도 고루 분포되어 있다.

2.4. 시설재배면적

2.4.1. 한강

경지면적 가운데 시설재배면적이 2,305ha로, 시설재배면적 비율은 6.6%로 영산강의 6배 수준이다. 대도시 근교 농업의 발달로 시설재배면적 규모가 상 대적으로 큰 걸로 판단된다. 한편 서울특별시 및 신도시 인근에도 5ha 이상 규모의 시설재배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16. 한강(시설면적)

그림 3-17. 영산강(시설면적)

그림 3-18. 섬진강(시설면적)

ha

파주시, 고양시, 김포시, 양주군 지역에 시설재배면적이 고루 분포되어 있다. 특히 고양시 일부 지역(장항동, 창능동)에 70ha이상 131ha미만의 대규 모 시설재배면적이 분포되어 있다. 한강하구역내 시설재배면적 중 37.6%가 고양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에 15.6%, 파주시에 10.5%가 분포되어 있다.

시설농업의 경우 고투입 관행 농법이 주로 행해짐에 따라 농약 및 비료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커서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시설채소의 10a당 시비량은 2003년에 99.5㎏으로서 식량작물의 31.5㎏에 비해 3배 이상, 노지채소의 55.5㎏에 비해 1.8배에 달한다.

2.4.2. 영산강 한강하구역 12.4 23,892 (100.0) 10,666 (100.0) 2,205 (100.0)

표 3-6. 한강하구역 경지이용형태별 현황

전체면적논면적/ 논면적(ha) 밭면적(ha) 시설재배면적(ha)

가 집중되어 있다. 또한 섬진강을 따라 하동군 하동읍과 광양시 진월면에 70ha 이상 131ha 미만의 대규모 시설영농이 행해지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