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텍스트가 PDF의 이미지에 인코딩된 경우 스크린리더(화면낭독프로그램)가 텍 스트를 인식하지 못해서 시각장애인에게 텍스트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장 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제21조에 따르면 출판물을 정기적으 로 발행하는 사업자는 장애인이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출판물(전자출판물을 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자출판물에 대해서 장애인의 접근성을 보장해 주어야 하지만, 2018년도 국내 전자출판물의 ISBN 부여 건수 대비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장애인 접근 전자책 제 작 비율은 1%도 안 되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실명이나 시력 저하와 같은 인쇄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인쇄된 서적 또는 이미지 형태의 전자책은 정보 접근의 장벽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디 지털 세상이 장애인의 독서 환경을 변화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 더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장애인에게 스마트기기의 편리한 터치 및 음성지원 인터페 이스 환경을 통해 전자책에 대한 독서 경험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최근 iOS와 Android 기반의 스마트폰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기능으로 VoiceOver와 Talkback을 지원하며 이 기능을 활용해서 어느 정도 책의 본문을 읽을 수 있다. 국제단체 및 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애인 접근 가능한 전자출 판 기준을 준수하여 전자출판을 한다면 장애인들이 스크린리더와 다양한 보조 공학기기를 활용하여 독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국립장애인도서관은 지속적으로 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전자책 변환 사업과 뷰 어 기능의 고도화 그리고 이와 관련한 표준 정책 수립을 수행해 나갈 것이다. 나 아가 국립장애인도서관뿐만 아니라 국내 전자책 출판사, 유통사도 해외 전자책 서점처럼 접근성이 잘 갖추어져 모두가 장애 등과 관계없이 자신이 원하는 전자 책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문화체육관광부. 2012. 유니버설디자인 실태분석 및 문화적 적용방안 연구. 서울:문화체육관광부. pp.21-22 김호다, 주애란(2018). 노인 감염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가이드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1-9

나무위키 : namu.wiki 위키피디아 : ko.wikipedia.org

inclusivepublishing : inclusivepublishing.org/publisher github : github.com/w3c/epubcheck

DAISYconsortium : daisy.github.io/ace

W3C : www.w3.org/WAI/WCAG21/Understanding/text-spacing.html

144

차 례

145 / 200

전자책 납본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납본

홍영미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수집과 사무관

147

146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납본

시작하며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법에 명시된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국내에서 발행·제 작된 자료를 납본 수집하고 있으며, 구입, 기증, 교환, 자체생산(영인 및 디지털 화), 자체수집 등을 통하여 온·오프라인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2018년 12월 말 국립중앙도서관 오프라인 자료는 11,788,597책(점)을 수집하 여 소장하고 있으며, 온라인 자료는 16,233,182건을 수집하여 오프라인 소장 자료 수를 추월하였다. 각국의 국립도서관은 자국에서 발행·제작된 자료를 수 집하여 영구 보존하기 위하여 납본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의 국립 도서관들은 오프라인 자료뿐만 아니라 온라인 자료도 납본받아 보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5년부터 오프라인 자료에 대한 납본제도를 시행하였고, 온라인 자료는 도서관법 개정(‘16.2.3.)에 따라 2016년 8월 4일부터 납본이 시행되었 다. 이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납본 시행 3년을 맞아 온라인 자료 납본 현황을 살펴보고, 특히 판매용 전자책 납본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점 및 발 전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온라인 자료 수집

국립중앙도서관은 2009년 3월 도서관법 제20조2(온라인 자료의 수집)가 신설 됨에 따라 대한민국에서 서비스되는 온라인 자료 중에서 보존가치가 높은 온라 인 자료를 선정하여 수집·보존하였다. 또한 온라인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판 매용인 경우에는 그 온라인 자료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하였다.

2010년 1월에는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종류, 형태에 관한 고시」를 제정·공포

하여, 온라인 자료의 종류를 웹사이트와 웹자료로 나누고, 웹자료는 다시 문자 자료, 음성·음향자료, 영상자료, 이미지자료로 구분하였다. 또한 수집대상 온라 인 자료의 형태도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온라인 자료 수집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자세한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종류와 형태는 <표1>과 같다.

표 1.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종류, 형태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종류 1. 웹사이트

2. 웹자료

1) 문자자료(전자책, 전자저널, 학위논문, 보고서, 전자신문 등) 2) 음성·음향자료(음악자료, 음성자료, 음향자료 등) 3) 영상자료(방송, 영화, 공연, 이러닝자료 등) 4) 이미지자료(사진, 회화 등)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형태

1. ISO(국제표준화기구), KS(한국산업규격) 및 국내외 표준 기구를 통해 공표된 표준 규격에 해당하는 모든 파일 형태

2. 그 밖에 현재 각종 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는 파일 형태 3. 그 밖에 정보기술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롭게 출현하는 파일 형태

2012년에는 국제ISBN관리기구, ISSN국제센터의 지침에 따라 인쇄 자료와 마 찬가지로 온라인 자료에 대해서도 국제표준자료번호(ISBN/ISSN)를 부여하도 록 하였다. 2013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 출판계, 유통계 등이 모여 전자책 납본에 대한 업무협의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2013년에 발의된 김 희정 의원의 「도서관법」개정안이 2015년 12월 31일 통과되었고, 2016년 2월 3 일부터는 개정된 「도서관법」에 따라 국제표준자료번호가 부여된 온라인 자료에 대한 납본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49

148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납본

온라인 자료 납본 시행

2016년 2월 3일부터 개정된 「도서관법」에 따라 온라인 자료를 납본할 수 있었 지만 준비 과정을 거쳐 실제 시행은 6개월 뒤인 2016년 8월 4일부터 「도서관법」

제20조(도서관자료의 납본)에 따라 국제표준자료번호(ISBN/ISSN)를 부여받은 온라인 자료(전자책, 전자저널)를 납본 수집하게 되었다. 개정된 「도서관법」에 따른 온라인 자료 납본에 관한 주요 내용은 <표2>와 같다.

표 2. 개정된 온라인 자료 납본 관련 주요 내용

구분 내 용

납본대상자료 1. 국제표준자료번호(ISBN, ISSN)를 부여받은 온라인 자료 2. 공공간행물 디지털파일

납본의무자

1. 국제표준자료번호를 부여받은 온라인 자료를 국내에서 발행·제작한 개인 또는 단체

2.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

납본부수 2부(공공간행물의 경우 3부)

납본방법

1. 해당 자료와 서지정보의 디지털파일을 국립중앙도서관 전송시스템으로 전송 2. 해당 자료와 서지정보의 디지털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으로 송부

3. 국립중앙도서관에 해당 자료와 서지정보의 인터넷상 위치를 통지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이 이에 접근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조치

납본보상 판매용 자료로서 열람용 납본 부수에 대해 정가 보상 제출기한 발행일 또는 제작일로부터 30일 이내

세계 주요국의 납본 제도

자국(自國)에서 발간되는 자료를 납본받아 영구 보존하는 것은 국가대표도서관 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이며, 각국의 국립도서관은 납본 제도를 시행하

고 있다. 주요 국가에서는 인쇄자료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자료도 납본 수집하고 있으며,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무상으로 납본받고 있다. 일본은 판 매용 온라인 자료는 납본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며, 주로 비매품을 납본 수집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 납본의 주요 내용을 표로 요약하면 <표3>과 같다.

표 3. 세계 주요국의 납본 관련 주요 내용

국가별 근거법령 납본대상자료 납본부수 납본보상금

독일 국립도서관

독일국가 도서관법

· 인쇄물, 전자출판물, 네트 워크 디지털자료, 외국발행 독일 관련자료

· 인쇄자료 : 2부

· 외국발행 : 1부 무보상

미국

의회도서관 저작권법

· 단행본, 온라인자료, 녹음 자료, 영화자료, 기계가독 포맷, 연속간행물 등

· 도서, 비도서 : 2부

· 온라인자료 : 1부 무보상

영국 국립도서관

납본도서 관법

· 단행본, 잡지, 신문, 활판 인쇄자료, 도표, 온라인 출판물 등

· 6부(국립도서관 1 부, 납본도서관 5부)

무보상

일본 국립국회 도서관

국립국회 도서관법

· 도서 : 단행본, 사진자 료, 지도

· 비도서 : CD-ROM, DVD 등

· 온라인자료 : 무상자료 만 해당

· 정부간행물 : 30부

· 행정, 지자체 : 5부

보상(온라 인자료 무 보상)

중국 국가도서관

국가정부 행정조례

· 인쇄자료, 디지털(온라 인)자료

· 인쇄자료 : 3부

· 디지털, 시청각 자료 : 1부

무보상 (귀중본 보 상)

프랑스 국립도서관

문화재 법전

· 인쇄물, 온라인출판물, 도 표, 사진, 포스터, 시청각 물, 멀티미디어자료 등

· 단행본, 신문, 잡지 : 1부

· 시청각 자료, 전자 자료 : 2부

무보상

151

150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납본

온라인 자료 납본 시스템 구축

①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온라인 자료의 납본이 시행됨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 템(seoji.nl.go.kr)에 디지털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는 온라인 자료 전송 시스템 을 구축하였다.

온라인 자료 전송을 위하여 2012년에 개발된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에 디지 털파일 납본자료의 업로드 기능을 2014년에 추가하였고, 2016년 8월에는 온라 인 자료의 납본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로써 출판사는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을 통해 ISBN, ISSN, CIP, 납본 관련 업무를 온라인으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 게 되었다.

그림 1.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② 통합자료관리시스템

「도서관법」개정에 따라 온라인 자료 납본이 시행되면서 국립중앙도서관은 2016

년 10월 11일 온·오프라인 자료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합자료관리시스템 (Korea Library Information System Ⅱ, KOLISⅡ, kolis.nl.go.kr)을 정식으 로 개통하였다. 이전에는 오프라인 자료는 C/S기반의 통합정보시스템(KOLIS, 1998년)에서, 온라인 자료는 웹 기반의 디지털장서관리시스템(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DCMS, 2008년)으로 정보구조 및 업무기능 시스 템이 이원화되어 있었다.

통합자료관리시스템(KOLISⅡ)은 웹기반 인터페이스의 온라인 자료 납본시스 템을 신설하고, 운영 중인 통합정보시스템과 디지털장서관리시스템의 업무기능 을 통합 및 개선하였으며,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등 도서관 관내 자료관리시 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통합자료관리기능으로 설계·구축하였다.

통합자료관리시스템 구축으로 국가대표도서관의 국가문화유산과 지식정보 보 존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고, 온라인 자료 납본시스템 및 온라 인 자료 서비스 환경 구축으로 진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업무 효율성 제고 및 유지관리 비용 절감이 가능해졌다.

그림 2. 국립중앙도서관 통합자료관리시스템

출처 :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누리집

출처 : 국립중앙도서관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