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유자녀 취업모의 후속 출산의도에 따른 각 생태학적 요인의 차이 를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 해결을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유자녀 취업모의 60% 이상이 후속 출산의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저출산 현상의 해결이 시급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출산의도가 있는 집단이 출산의도가 없는 집단보다 연령, 자녀연령, 가 계 월 평균소득이 낮게 나타났고, 출산의도가 있는 집단이 출산의도가 없는 집 단보다 우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정도가 낮았으며, 결혼만족도, 부모 등의 자녀양육지원 정도가 높고 자녀가치관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여성의 출산 및 결혼연령을 낮추고, 첫 자녀를 출산한 후 둘째 자녀를 출산하기까지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출산의도가 있는 집단이 가계 월 평균소득이 출산의도가 없는 집단보다 낮다는 결과를 통해, 자녀 출산에 있어 경제적인 여건보다는 다른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어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실질적인 사회정책이 요구된다.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긍정적인 부부 관계를 도모하기 위한 부부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취업모들이 자녀양육을 믿고 맡길 수 있도록 보육시설을 지원해주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또 한 현재 부모들뿐만 아니라 미래의 부모가 될 미혼 남녀가 긍정적인 자녀가치 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B. 제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분포하는 7개소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어머니를 대 상으로 시행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추 후에는 보다 많은 대상자와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를 제 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들은 대상자의 협조와 주관적인 자기 기입식 방 법에 의존하여 측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 등 자녀양육지원 도 구의 신뢰도가 낮으므로 결과 해석의 신중을 기해야 한다.

셋째, Bronfenbrenner(1979)의 생태학적 모형에서는 거시체계 요인으로 가치, 종교, 이념과 법칙 등이 제시되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시에는 대상자의 종교 특성을 포함하여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자녀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를 측정하는 자녀가치관을 분 석하였으나, 후속 연구시에는 형제 및 자매의 필요성과 같은 가치관을 포 함하여 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유선, 김찬우. (2018).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영유아보육 학, 110(-), 59-84.

강은미, 김순규. (2011). 맞벌이 남편과 아내의 양육스트레스와 보육서비스 만족 도가 추가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6 (1), 67-87.

강희경, 조복희. (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 스. 兒童學會誌, 20(2), 41-55.

고광만, 김소아. (2014). 사회적 지원, 일-가족 양립 정책 및 부부특성이 후속출 산의도 및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경로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35-51.

고용노동부 (2017). 2017년 일가정양립실태조사. http://laborstat.moel.go.kr/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 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103-126.

권수정. (2008). 기혼 취업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부산.

권영인. (2013). 출산장려정책 및 경제 상황 인식과 가족 가치관이 미혼 남녀의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국가족관계학회지, 18(1), 75-92.

김기현. (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경희대 대학원, 서울.

김기현, 강희경, Hee Kyung, K. (1997). 논문편 :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김리진. (2016). 일가정 양립정책의 수용격차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 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김미영. (2006). 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기혼여성의 출산행태에 관한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김현령, 류수민.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17(2), 285-316. 대한 사회적 인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10), 123-136.

위한 정책적 제안. 한국인구학, 33 (2), 137-163.

용태희. (2018).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인 문사회 21, 9(2), 1-13.

유은영, 김종백. (2012). Second-Birth Intentions of Married Women Based on Socioeconomic and Psychocultural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8(1), 39-52.

윤미라. (2006). 고등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원

이용윤. (2012).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직장여성의 출산율과 출산의도에 영향을 각과 아동의 발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3), 31-45.

이은혜. (2009).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동덕

인지도와 선호도. 창원대학교, 창원.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4), 425-438.

장희연. (2016).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탐색. 한

정은희, 최유석. (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통계청 (2018). 2018년 인구동향조사. http://kostat.go.kr/

통계청 (2019). 2019년 지역별 고용조사, 경력단절여성 현황. http://kostat.go.kr/

통계청 (2019). 2019년 경제활동인구조사. http://kostat.go.kr/

한경미, 정혜선. (2010).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출산의도

Beck, A. T. (1974).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A cognitive model. In R. J. Friedman &M. M. Katz (Eds.),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pp. 318-330).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Coleman, J. C., (1984). Intimate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Indianapolis: The Bobs-Merrill.

Hawkins, J.L. (1968). Association between compan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0, 647-648.

Icek, A.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Kessler, R. C., Andrews, G., Colp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 . . Zaslavsky, A. M.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L.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San Francisco :: Jossey-Bass.

Schumm, W. R., Paff-Bergen, L. A., Hatch, R. C., Obiorah, F. C., Copeland, J. M., Meens, L. D., & Bugaighis, M. A. (1986).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8(2), 381-387.

Solis, M. L., & Abidin, R. R. (1992). The Spanish version parenting stress index : A psychometric study.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3), 46.

Song, J. E., Ahn, J. A., Lee, S. K., & Roh, E. H. (2018). Factors related to

low birth rate among married women in Korea. PLoS One, 13(3), e0194597.

<부록 1> 대상자 설명문

<부록 2> 설문지

<부록 3> 심의결과통지서

요인 문헌고찰

일반적

-

ABSTRACT-Differences of Ec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among Working Mother with One Child

Jiyea Hur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u-Eun Song, RN.,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ec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among working mother with one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66 working mothers with one child of 7 daycare centers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2019 to October 21, 2019. The collected data (n=166)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f the subjects, 38.0% (n=63) had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but, 62.0% (n=103) didn’t have the intentio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3.00, p=.003), child age (t=-2.53, p=.012), monthly household income (t=-2.53, p=.013), parental leave state (x2=6.55, p=.014) between working mothers who had a subsequent intention and those who did not have one.

3.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ecological factors of according to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t=-2.46, p=.015) in the individual system, married life satisfaction(t=2.24, p=.027), conflict with husband(t=-2.20, p=.029), parenting stress(t=-2.71, p=.007) in the microsystem, parenting support(t=2.04, p=.043) in the mesosystem, and perception about the values for children(t=3.79, p<.001) in the macrosystem between working women who had a subsequent childbirth and those who did not have one. Whil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sband support in the microsystem and, the awareness of the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y in exosystem between two group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t is urgent to resolve the low birthrate in our society and we need to reduce the age of woman’s childbirth and marriage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first and subsequent birth.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is being affected by a number of factors rather than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social policy should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mother.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e mothers with one child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various marriage programs to promote

wife-husband positive relationship. Further, government support for child care facilities is required for working mothers.

Lastly, various efforts are also needed to ensure that not only current parents but also unmarried men and women who will become future parents can establish positive child values.

Key words : Working Mother,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Ecological Factor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