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1~2015년 불과 5년 사이에 그 규모가 2조 5천억 달러가 증가하여 4조 8천억 달러로 급 성장한 중국소비시장은 매년 한국소비시장(상품소매기준)의 1~1.5배 이상의 규모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빠른 속도로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 의 중국에 대한 수출에서 소비재는 2015년 73억 달러로 같은 5년 기간 동안 10억 달러 증가 에 그쳤고, 중국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도 0.17%로 지극히 미미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 황은 중국소비시장의 진입을 수출제품만의 진출이라는 협의적 의미를 넘어, 현지에 진출한 우 리기업의 제품의 시장진입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시장진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소비시장의 특성을 시장의 현황과 전망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구조적, 정책적, 시장적 특성의 세 각도에서 살펴 볼 수 있다. 구조적으로 보면 중국소비시장의 규모가 매년 4,000

~5,000억 달러씩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경제가 먼저 발달한 동남부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소비중심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것도 도시위주의 시장구조로 전체 소비증가액의 86%가 도 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중국시장 진입은 당연히 경제가 발달한 지역의 주요 도시부터 시도해야함을 보여주고 있다.

정책적으로 보면 중국정부는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등 전국을 11개 상업발전지역으로 구 분하여 소비확대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도시별로 도시화정책을 추진하면서 소비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구체적 소비촉진분야로는 ① 이동인터넷, IoT 등 정보소비의 확대, ② 환경관련 소비(녹색소비), ③ 안정적 주택소비, ④ 수준이 제고된 관광레저소비,⑤ 교육·문화·체육소비 제고, ⑥ 양로·건강·가정소비 등 6대 분야의 소비가 있다. 또한 유통채널로 인터넷이 주요 수 단으로 급속히 확대되면서 중국정부는 광대역망의 구축, 전자상거래시범지역 지정등을 통하 여 온라인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장적 특성으로 보면 ① 계층별, 세대별, 성별, ② 소비행태 또는 취향, ③ 온라인 소비와 유통구조에 있어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층 ․ 세대 ․ 성별에 따른 소비변화에서 주목해야 할 세대는 빠링허우, 지우링허우 세대로 주력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소비패턴이 우리나라 동일 세대와 유사한 소비패턴을 보 이고 있다. 이들의 자녀세대인 유아와 아동 역시 다른 나라와 달리 일자녀 세대가 낳은 일자 녀로 고급소비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3억 6천만 명에 달하는 여성의 소비파워 역시 중 국소비시장 진출에 있어 눈여겨 보아야하는 부분이다.

일인당 GDP 8,000달러 시대, 주요 도시의 일인당국민소득이 1~2만 달러대에 달하면서, 소 비관념의 변화가 일고 있으며, 필수품소비 위주에서 향유형제품 소비로 취향의 변화를 불러오 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결정에 있어 브랜드가 중시되고 있으며, 중산층과 부유층이 확대되면 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소득증가는 레저, 국내외관광관련 소비 의 증가는 물론 웰빙, 친환경, 에너지절감 같은 분야의 제품들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다. 온라 인 구매의 빠른 확산은 근본적으로 유통채널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모바일인터넷 구매 및 결제, 제3자 전자결제, 해외직구 시장의 급부상이 그러한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중국소비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은 성공실패사례를 살펴보면 유통기업의 경우 무엇보다도 점포의 위치의 신중한 선정과 지역소비자 특성에 맞춘 매장구조, 고객의 세분화 및 탄력적 제 품 배차,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 공급업체와의 윈윈전략 중시 등 기본적인 유 통채널 운영사항에 충실하였으며, 나아가 현지 인력의 관리 및 육성에 힘쓰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유통기업들 역시 지역적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기 쉽지 않으며 한 지역에서 성공하지 만 다른 지역에서는 실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생산판매을 하는 기업의 경우를 보면 철저 한 시장조사와 세밀한 제품개발 및 출시 준비, 고객세분화, CSR, 현지인력 중시 등 기본적인 방향에서는 모두 동일하였지만 같은 분야에서 종사하는 기업일지라도 매장확대속도, 전자상 거래 이용, 브랜드전략, 고객타게팅, 가격포지셔닝 등 구체적인 경영전략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소비시장의 특성과 성공실패사례를 통해 중국소비시장진출의 방향은 소비층의 계층별, 세대별, 소비트렌드별 특성화 마케팅, 2, 3선 지급시 및 내륙도시를 타겟으로 한 미시마케팅 의 2대 방향으로 소위 족집게마케팅을 해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구체적인 방안 으로는 지급시별 시장로드맵 작성 및 진출 추진, 중국시장에서 다른 분야의 한국기업간 공조 마케팅, 투자진출기업의 지원을 통한 내수진출 확대, 한국상품전의 지속적인 개최 등 Show-Up 마케팅과 K-브랜드 마케팅, 온라인 마케팅 강화, 한-중 FTA활용 지원, 중국인과의 협력을 통한 중국 내수마케팅, 지원기관과 함께하는 마케팅, 중국정책과 함께 가는 마케팅, 마케팅 리스크 대응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진출 방안

소비특성에 맞춘 족집게(Pin-point)마케팅 필요

① 소비층: 계층별, 세대별, 소비트렌드별 특성화 마케팅

② 지역별: 2, 3선 지급시 및 내륙도시를 타겟으로 한 지역 세분화마케팅

지역세분화 마케팅

① (기업) 시장조사 기능강화(인력투자)

② (정부, 연구기관, 지원기관, 업체) 도시소비시장 진출에 활용할 수 있는 로드맵 작성

③ (정부) 기업의 관련 도시진출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위주로 중국지방정부와의 교 류강화

협력마케팅 (한국기업간

공조)

① 중국에서 성공의 길을 걷고 있는 기업들이 주요 도시에서 공동매장을 운영

② 중견중소기업들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로 제품세트를 구성하여 공동브랜드 하에 판매

③ 기 진출 대기업의 유통망에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제품을 얹어서 가는 마케팅(예

‘한류코너’)

투자진출기업 활용(지원) 내수마케팅

① (중소중견기업) 현지 최고 경영자로 마케팅 전문인력을 배치

② 전문적 마케팅 인재들의 지속적인 육성

③ 중국내 ‘투자기업 소비제품 내수를 전문으로 하는 종합상사’의 운영

④ ‘투자기업의 내수마케팅’지원: 중국에서 소비재 완제품이나 중간제품을 생산하여 중국에서 완결(소비 또는 중국현지기업에게 판매)하기 위해 한국에서 부품소재, 디자인, 브랜드를 중국으로 수입하는 우리투자기업들의 중국시장 개척지원

Show-up 마케팅과 K-브랜드 마케팅

① ‘한류 컨텐츠’개발과 스타마케팅은 더욱 강화

② 성회(省會) 및 인근 2, 3선 지급시들을 대상으로 한 한류컨텐츠 ․ 종합상품전을 매년 10회 이상 개최(문화공연, K-Pop연계공연, 스타마케팅, 소비재 및 문화상 품, 중국 주요 온라인 쇼핑몰과 연합하여 동시 개최)하여 대대적인 한국문화컨텐 츠와 한국상품에 대한 붐을 조성

③ (기업) 관련 전시회 지속 참가. 중국현지에서 바이어들을 초청하여 제품에 관한 (단독 또는 공동의) 전문로드쇼를 진행

온라인마케팅 강화

① (기업, 정부기관, 협회) 중국의 유명 인터넷몰과의 연계 및 지원기관을 통한 한국 중소기업(브랜드)제품의 공동쇼핑몰 구성 및 결제문제의 원활화

② (기업) 온라인마케팅 전문인력의 포진

한-중 FTA 활용지원

① (유관기관,협회) ‘한-중 FTA 소비제품 전시회(가칭)’개최,

② (기업)자신들의 제품이 FTA해당 제품이라는 것을 홈페이지, 카탈로그, 명함 등에 중 국어( 및 영어)로 명기하여 홍보

③ (정부, 기관, 협회) 중국바이어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FTA(활용 유망)품목 데이터 (온-오프라인 모두)자료 및 홍보자료의 지속적인 구축을 통한 기업지원이 필요하다.

중국인과의 협력을 통한 중국내수마케팅

① 주요 지역에서 공동으로 한-대만 명품전 개최

② 한-대만의 대륙내 유통채널(따룬파, 롯데마트 등)에서 교차 상품판촉전 정기적 개최

③ 한-대만 기업 공동투자진출

지원기관 함께하는 마케팅

① 기존의 공동물류센터(코트라 설치)의 기능 강화 및 특정분야의 경우 새로운 형태 의 물류센터 구축

② 관련 기관과 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K-Food, K-Design 등에 참여한 기업들의 제품에 대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통합된 K-mall 구축

③ (정부, 협회) 수입허가, 인증, 라벨, 상표권, 검역증명서, 위생증명서 등 수출관련 사전 준비에 있어 크로스 체크 컨설팅시스템을 운영

중국정책과 함께가는 마케팅

① (기업) 거래처를 통해 관련 도시별 정책자료의 입수 및 시장진출과 연계방안 도출

② (정부, 유관기관) 도시별 정책과 시장진출 로드맵 작성 직원과

함께가는 마케팅

본사 직원의 중국전문인력으로 육성, 현지 직원 중간간부로 육성, 경영진과 직원의 가치공유 및 신뢰관계 구축

마케팅 리스크 대응

① (기업) 마케팅 부문에서 리스크대응 팀을 구성하여 상시 대비

② (정부, 기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해외 지재권보호센터의 인력과 예산 강화. 중 국정부와의 공식적인 협의채널도 정례화는 물론 핫-라인 방식으로 강화

[해외문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