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부터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등 5∼6학년 영 어과 검정 교과서 5종에 제시된 문화 요소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문화코너에 소개하고 있는 문화 내용을 문화 소재, 유형, 배경별로 분석하여 보았다. 그리고 5∼6학년 영어과 검정 교과서 문 화코너에 수록된 문화 내용은 어떠한 방법으로 지도하도록 안내되어 있는지 분 석해 보았고, 문화코너에 수록된 문화 내용은 언어 활동과 어떻게 통합하여 제 시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이 교과서의 문화 내 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설문지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교과서 문화코너에서 제시한 문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직 접적인 문화소재 7, 8, 9, 10번의 비율이 낮게는 24%(D교과서), 높게는 56.6%(A 교과서)로 다른 소재들에 비해 다루어지는 횟수가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교과서마다 직접적인 문화소재 빈도의 순위는 약간씩 차이가 있었지만 B교과서, D교과서, E교과서에서는 18번 소재와 19번 소재를 문화 내용으로 다 루는 수치가 높게 나왔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 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영어를 공용어와 외국어로 사용하는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해야하는 현실적인 상황을 잘 반영하였다고 볼 수 있으므 로 교과서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8번 일반 교양 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 19번 학문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이 다 루어졌다는 점은 다양한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위해서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지식 및 소양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과서 및 지도서 문화코너의 문화 내용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5종 교과서 문화 유형 분석의 공통점은 산물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 내고 다음으로 관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세 번째로 공동체에 비중이 높게 나왔는데 관점과 인물은 거의 나오지 않았다.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산물과 관습의 수치도 물론 높게 나오긴 해야겠지만 공동체나 인물을 나타내는 태도, 신념, 가치, 인식을 나타내는 유형에 대한 비중을 더욱 높여야 다양한 문화

권의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때 상대방 문화에 대한 이해심이 많아지고 문화로 인 한 갈등이 초래되지 않으므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 추정되기 때 문에 인물과 관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Kachru(1996)가 제시한 배경별 분석 결과를 살펴본 결과 공통된 특징은 확대되 는 원에 속한 나라의 분포가 모두 60% 이상으로 현저히 높았고, 다음으로 내부 원, 바깥원의 순서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확대되는 원을 세부적으로 대륙별 분석한 결과를 살펴 보면, 5종 교과서 모두 아시아 대륙의 문화를 가장 많이 다루었고, 유 럽 대륙의 문화가 뒤를 이었으며,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남극 및 북극의 문화는 아시아와 유럽 대륙의 문화 비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고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대륙별로 골고루 다른 나라의 문화 를 소개하고 학생들이 문화를 폭넓게 접하여 다른 나라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더라 고 새로운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한다.

둘째, 문화코너에 제시고 있는 문화 내용의 지도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 보았다. 5종 검정 교과서 대부분이 그림, 사진을 보며 추측하기, 동영상 시청, 인 터넷 등을 활용한 검색 방법에 치중하여 지도를 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 기 문화와의 비교, 문화의 섬 환상 체험 부분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 내 용과 연관된 인물을 초빙한다거가 경험담 소개, 문화 질문과 같은 방법은 상당 히 미비하여 영어과 수업에서 문화 내용을 가르칠 때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학생들이 직접 체험을 통해 문화 내용이 가르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 이다.

셋째, 문화코너에서 제시한 문화 내용이 문화코너 내에서 언어 활동과 통합되 었는지 문화코너이외의 활동에서도 통합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문화코너 에서 제시한 문화 내용을 문화코너 내에서 언어 활동과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 는지 분석 결과를 보면, 5종 교과서 중 B, D, E 교과서는 문화 내용을 언어 활 동과 거의 통합하여 제시하였으나 A와 C 교과서에서는 문화 내용을 언어 활동 과 거의 통합하여 제시하지 않아 교과서별로 편차가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났 다.

문화코너에 제시된 문화 내용을 문화코너 이외 활동에서 언어 활동과 통합하여 제

시되고 있는지 분석 결과를 보면, 교과서 A, C, D, E 교과서가 50% 이상 언어 활동 과 문화 내용을 통합하여 다루었고, 나머지 B 교과서도 34.6%의 결과가 나왔다.

넷째, 학생들의 문화 내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총 9문항 중에 2번 문화 내용에 대한 흥미도를 살펴보면 B, C, E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교의 경우 평균 60.5%로 높은 수치가 나왔고, 3번 문화 내용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있어서도 평균 60.0%의 수 치가 나왔으며 문화 내용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의 효율성을 살펴보면 54.9%로 높 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영어교과서를 통해 배우는 문화 내용이 흥미가 있 고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영어교과서를 통해 문화 내용 을 비중있게 가르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9번 학생들의 문화 내용이 언어 활동과 연관되어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선택하는 문항에 대한 답변으로는 ① 자기문화와의 비교, ②문화발견 기법, ⑤문화의 섬, 환상 체험,

⑥동영상 시청, ⑧ 교사의 설명이 공통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왔으나 나머지 지도방법 에 있어서는 설문을 한 3개 학교 모두 낮은 수치가 나왔다. 따라서 학생들이 문화 내 용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초등 영어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이 영어 교과서의 문화코너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보았다면 문화 내용에 대한 보다 다양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 거라는 아쉬움이 있다.

본 연구는 2015학년도부터 초등학교 5∼6학년에 적용된 5종 영어과 검정교과서에 제시된 문화 요소를 분석하고 그러한 문화 학습이 학생들의 문화 인식도, 반응을 살 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문화 내용 학습이 의사소 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하고 미비한 점은 보완하며 꾸준한 연구가 지속되어져 야하겠다. 더불어 교사들의 문화 내용 지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살펴보는 연구도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강지영. (2014).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영어 교과서의 문화교육 자료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제 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1-361호.

교육과학기술부.

김가현.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김영미. (2006).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초등영어교육을 중심 으로. Primary English Education.

김혜련, 김영미, 장향진. (2008). 영어과 수업컨설팅: 초등영어 문화교육. 경기: 교 육과학사.

노은영. (2013).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비교. 광주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박선희. (2012). 초등학교 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7차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약우. (2004).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지구어로서의 영어교육. Foreign Languages Education

박영신.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박용규, 박주경. (2011). 초등영어 지도교사의 문화 가치관과 문화 교육에 관한 인 식. 영어영문학21, 24.

변정미. (2013). 초등 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미옥, 이재근. (2014). 2009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영어 교 과서 문화 내용 분석. 초등교과교육연구, 19, 97-120.

손정민. (2011). 문화 주제 중심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단원 개발. 한국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안지영. (2013).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윤여범, 최선희, 윤병주, 서진아, 정헌진, 박희경, 김용구, 남윤미, 임은혜, 최미선, 성은녕, 임영아, 이미경, Edward Povery(2015).「초등학교 영어 5∼6 ①」.

서울: 천재교과서.

윤여범, 최선희, 윤병주, 서진아, 정헌진, 박희경, 김용구, 남윤미, 임은혜, 최미선, 성은녕, 임영아, 이미경, Edward Povery(2015).「초등학교 영어 5∼6 ②」.

서울: 천재교과서.

윤여범, 최선희, 윤병주, 서진아, 정헌진, 박희경, 김용구, 남윤미, 임은혜, 최미선, 성은녕, 임영아, 이미경, Edward Povery(2015).「초등학교 영어 5 지도 서」. 서울: 천재교과서.

윤여범, 최선희, 윤병주, 서진아, 정헌진, 박희경, 김용구, 남윤미, 임은혜, 최미선, 성은녕, 임영아, 이미경, Edward Povery(2015).「초등학교 영어 5 지도 서」. 서울: 천재교과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