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7-89)

언어는 문화의 표상이고, 사회의 형상이다. 사회의 발전변화는 언어의 발전과 변화 를 야기한다. 특히 당대 사회구조에 나타난 급격한 변혁은 경제, 정치, 문화, 과학기술, 교육, 위생 방면에서 거대한 변화가 일어났고, 새로운 사물, 새로운 현상, 새로운 상황 이 발생할 때, 이러한 변화는 신조어로 나타난다. 따라서 신조어를 학습하고 연구하는 것은 새로운 사물과 지식의 습득뿐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상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 신조어에 관하 여 현재까지 얼마만큼 연구되었는지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90년대에 이르러 중국의 신조어 연구는 일반적인 신조어 연구나 순수언어학적 측면보다는 사회와 문화에 초점 을 두고 사회 언어학적 측면에서 바라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고, 국내의 경우 는 형식적인 측면과 사회적 의미에 중점을 둔 경향이 대부분이었다.

Ⅱ장에서는 신조어의 개념과 생성배경, 경로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조어의 개념은 사회 변화의 필요성에 의하여 생겨나고 일정 시간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된 단어를 말하 며, 여기에는 신선한 느낌을 주는 단어라는 것이다.

신조어의 생성배경에 대해서는 사회 배경과 심리 배경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

다. 신시기 이래 개혁 개방의 가속화로 중국은 정치, 경제, 문화, 과학기술, 교육, 보건 의 사회적 변화와 사람들의 사상관념과 생활방식 등의 변화가 일어났고, 이러한 변혁 은 신조어 생산을 촉진시켰다. 그 밖에, 신조어의 출현은 사람들이 전에 겪지 못한 인 간의 사회심리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인간의 사회심리상태인 경제를 중 시하는 심리,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심리, 아름다움과 우아함을 추구하는 심리의 3가 지 방면에서 나타났다.

신시기 이후 신조어의 증가는 여러 경로를 통해 다방면에서 나타났지만, 본고에서는 5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외래어의 유입, 중국 남방지역 방언의 활약, 개혁 개방 이 후 다시 유행한 옛 단어의 부활, 전문용어의 보편화, 그리고 새로운 사물과 관념을 표 현하기 위한 신조어의 창조이다. 신조어의 생성 경로는 신시기 이후 개혁 개방이라는 거대한 사회변혁의 영향으로 대량 발생하였다. 특히 외국과의 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외국의 과학기술 및 문화현상 등을 반영하는 신조어가 대량 생산되었고, 남방의 방언 은 남쪽 경제중심지를 근거로 여러 경로로 유입되어 신시기에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언어사용자의 적극적인 사용으로 인해 중국 각지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171개 신조어를 분야별로 분류하고, 조어방식, 조어특징, 어휘사용 특징 을 살펴보았다. 먼저 신조어를 시사정책, 법률제도, 인터넷 과학기술, 상업경제, 사회생 활, 문화교육, 심리관념, 체육오락, 위생보건, 혼인가정 등의 분야로 분류하였다. 그 중 에서 ‘사회생활분야’관련 신조어가 가장 많았고, 그 시대의 도시생활과 현대오락방식을 표현하는 단어가 대다수였다. 이는 경제의 성장과 소득의 증가에 따라 삶의 질을 우선 으로 하고, 물질문화뿐만 아니라 정신문화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은 ‘고급화’, ‘건강지향’, ‘유행중시’, ‘개성중시’, ‘여가선호’, ‘대중문화의 열광’ 등의 모습으로 신조어에 반영되었다.

2.1절에서는 조어방식을 ‘결합과 부가’, ‘축약조어’, ‘전문 용어의 일반화’, ‘인터넷 용 어의 통용화’, ‘외래어 흡수’, ‘간행물 신문매체의 어휘’ 등으로 살펴보았다. 171개의 신조어 중 접사화된 신조어의 비율은 약 34%를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후가구조 이다.

언어사용에서 ‘간략화’는 언어사용의 경제원칙을 실천하는 과정이다. 신조어에서 이 원칙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약어’의 사용이다. 본 논문에서는 숫자로 축약한 경우와 다음절단어를 축약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71개 신조어 중에 축약어는 대략 15%에 이르며, 특히 신조어에서 3음절 이상의 다음절어가 증가추세에 있는 것이 약어 의 사용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은 개혁 개방이후 정보 통신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컴퓨터는 대중들의 일상 용품이 되었고, 동시에 이에 따른 인터넷 전문용어들이 빠른 속도로 생산되고 통용되 었다. 인터넷 분야와 관련된 신조어는 16%에 이르렀다.

171개 신조어 중에 외래어와 외래어의 파생어는 대략 18%를 차지한다. 본고에서는 순음역어, 음역+형태소, 차용어, 단순의역, 글자마다의역, 의역+형태소, 반음 ․ 반의역 등 7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의역이 주를 이루었던 것이 최근에 들어 서는 음역이 점점 늘어가고 있고, 외국 문자와 한자가 결합된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순 외국문자만으로 결합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대외 개방이 추진되면서 외국 사회와의 교류 및 중국인들의 외국에 대한 관심과 동경을 나타내는 심리적 표현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2.2절에서는 조어의 특징을 4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171개 한어 신조어의 음절 구성 비례는 쌍음절(32.75%)과 다음절(66.67%)로 다음절이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 으며, 사용빈도수가 높은 고정단어들이 축약형식으로 나타나 복잡한 사물과 개념을 표 현하고 있다. 부가된 방식으로 파생된 신조어가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그 중에 ‘族’을 접미사로 한 단어가 가장 많으며, 자모나 숫자를 포함하여 어휘를 조성하거나, 완전히 외국어 자모를 사용하는 외래어들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2.3절에서는 어휘 활용 특징을 어의적 특징과 어의적 변화로 살펴보았다. 어의적 특 징은 ① 어법적 의의 ② 어역적 의의 ③ 색채적 의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먼저, 어법적 의의에서 171개 신조어의 품사분포를 살펴보면 명사 및 명사성 구가 142개로 83%, 동사 및 동사성 구가 29개로 17%를 차지한다. 명사는 93개, 명사성 구는 51개이며 동사는 21개이다. 이러한 구성은 신조어가 인명, 사물명칭, 사건명칭 등 고유 명칭의 지칭역할을 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171개 신조어의 어역 의의는 매우 풍부해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보건, 의료, 전자 통신, 일상생활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있으며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고, ‘新(새롭다, 신선하다)’의 의미가 두드러진다. 신조어의 새로운 사물, 새로운 현상, 새로운 관념을 반영하는 것은 同素詞(동소사) 혹은 같은 어소를 포함하는 신조어의 어역의의에서 엿 볼 수 있다.

색채적 의의에서 171개 신조어 중 감정색채가 부가된 경우는 27개로, 어휘 구성성 분이 갖고 있던 기존의 감정색책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부정적 의미 위주이 며, 이미지색채가 부가된 신조어는 51개로 시각적 색채가 주를 이루고 동태적, 촉각적 색채가 일부를 차지한다.

어체 색채의 경우, 대부분의 어휘는 일정한 계통적 색채를 띠었고, 외래적 색채의 경우, 외래어의 어휘조성을 포함한 17개 어휘는 모두 중국어와 다른 이질감을 일으켜 외래적 색채를 생성한다. 특히 9개의 음역어의 경우 외래적 색채가 더욱 분명하게 나 타났다.

어의적 변화란 신조어를 만들고 사용할 때 전체 혹은 일부에서 이성적 의의, 색채적 의의 혹은 어법적 의의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하는데, 171개 신조어에 나타난 어 의 변화의 특징은 첫째, 기존 어휘가 접사의 역할을 하게 된 어소에서 발생한다. 둘째, 기존의 어휘가 어근 역할을 하는 일부 어소에서 어의 변화가 나타난다. 셋째, 다른 색 채의 어휘 조성은 어휘 구성성분의 어의 확대 혹은 전이를 가져온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171개 신조어에 반영된 사회성 해석을 진행하였다. 171개 신조어는 사 회의 각 방면을 반영했지만, 특히 사회생활의 양상을 표현하는 분야에서 신조어가 많 이 생겨났다. 상점과 기업운영 방식을 묘사하고, 시장 경제 배경아래 출현한 새로운 직업군, 경제생활과 부동산 시장에 대한 통제와 보험업계 개혁 및 지역 경제발전에 관 한 법규와 관련된 신조어가 많이 생겨났다.

신조어에 나타난 이러한 사회적 변화들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중국경제의 발전이 기타방면의 수많은 변화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사회주의 시장 경제 체제를 개혁의 목표로 삼은 중국이 앞으로도 경제적 고도성장을 이룩한다면,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고, 이를 반영하는 신조어도 끊임없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2006년도 171개 신조어 속에 반영된 사회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중국어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언어생성규칙과 다양한 중국의 사회문화 현상 을 엿볼 수 있었다. 한 해의 신조어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 별화를 두었고, 신조어 연구는 급변하는 현 중국의 모습을 통해 미래의 모습을 예측함 과 동시에 중국 사회에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들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신조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더욱 체계적이고 전면적인 연구가 나오길 기대해 본 다.

〈참고문헌〉

『사전류』

亢世勇 ․ 劉海潤 主編, ⟪新詞語大詞典⟫, 上海辭書出版社, 2003.

周洪波, ⟪新華新詞語詞典⟫, 上務印書館, 2003.

周 薦 主編,《2006漢語新词语》, 北京: 上務印書館, 2007.

『국내외 단행본』

符准靑,《現代漢語詞匯》, 北京:北京大學出版社, 1985.

王德春,《語言學槪論》, 上海:上海外語敎育出版社, 1998.

陳 原 著,《新詞語》, 北京: 語文出版社, 2000.

陳 原,《社會言語學專題四講》, 語文出版社.

周建民 著, ⟪漢語新詞語与社會生活⟫, 北京: 語文出版社, 2000.07.

김상하 著,《중국인의 라이프 스타일》, 대한상공회의소, 1997.

강춘화,《중국 신조어 최전선》, 바다출판사, 2003.

남궁양석 ․ 이종순 ․ 방준호,《중국의 언어와 문화》, 학고방, 2006.

이용해 著,《문화 심리와 언어 의식》, 도서출판 역락, 2006.

정헌철 ‧ 송상미 편역, 《현대중국어 어휘학 입문》, 학고방, 2008.

최기호 ․ 김미형,《언어와 사회》, 한국문화사, 2000.

최윤경 著,《중국 개혁개방과 신조어》, 제이앤씨, 서울: 2009.

홍인표,《중국의 언어정책》, 고려원, 1994.

페디리코 마시니 著 ․ 이정재 譯,《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7-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