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학업스트레스는 성별, 학년별로 차이 가 있는지, 자아정체감은 학업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중학 생들의 바람직한 성장을 돕고 학교현장에서의 학생지도에 필요한 상담자료 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 한 연구문제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정체감 수준의 성별, 학년별 차이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인 안정성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 과는 표5와 같다.

표5 안정성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

( )안은 표준편차

평 균 차이검증 유의도

성 별 남 자 2.46(.57)

t= .83 .41 여 자 2.41(.55)

학년별

1학년 2.54(.56)

F=2.94 .05 2학년 2.41(.58)

3학년 2.37(.53)

전체 2.44(.56)

안정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5에서와 같이 전체 평균이 2.44로 4간척도 의 평균 2.5보다 낮게 나타나 부정적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 학년별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별 집단의 유의

자기존재의 독특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7에서와 같이 전체 평균이 2.66 으로 긍정적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 학년별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 역할인지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8과 같 다.

표8 대인관계 역할인지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

( )안은 표준편차

평 균 차이검증 유의도

성 별 남 자 2.86(.58)

t=-2.23* .03 여 자 2.98(.52)

학년별

1학년 2.98(.57)

F=1.41 .17 2학년 2.85(.59)

3학년 2.91(.51)

전체 2.91(.56)

* P<.05

대인관계 역할인지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8에서와 같이 전체 평균이 2.91 로 긍정적으로 조사되었다. 성별 집단에서만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 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자(2.98)가 남자(2.86)보다 다소 긍정적으로 조사되 었다.

자기수용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9와 같다.

자기수용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1학년과 2학년, 2학년과 3학년은 유의도 .02로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1 학년과 3학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1학년 과 3학년은 자기수용영역에서 다소 긍정적이며 2학년이 가장 부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주장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11과 같다.

표11 자기주장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

( )안은 표준편차

평 균 차이검증 유의도

성 별 남 자 2.76(.58)

t= .30 .76 여 자 2.74(.56)

학년별

1학년 2.76(.56)

F= .18 .84 2학년 2.73(.64)

3학년 2.77(.57)

전체 2.75(.59)

자기주장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11에서와 같이 전체 평균이 2.75로 긍정 적으로 조사되었다. 성별, 학년별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허구척도의 성별, 학년별 차이는 표12와 같이 나타났다.

표12 허구척도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

( )안은 표준편차

평 균 차이검증 유의도

성 별 남 자 2.63(.49)

t=2.32* .02 여 자 2.51(.50)

학년별

1학년 2.59(.51)

F= .43 .65 2학년 2.59(.49)

3학년 2.54(.50)

전체 2.58(.50)

* P<.05

허구척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12에서와 같이 전체 평균이 2.58로 긍정 적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 집단에서만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 이가 나타났다. 이 조사에서는 남자(2.63)가 여자(2.51)보다 다소 긍정적으 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 제시한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별 평균을 종합한 결과는 표13과 같 다.

표13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별 평균

( )안은 표준편차

구 분 성 별 학 년 별

전체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안정성 2.46(.57) 2.41(.55) 2.54(.56) 2.41(.58) 2.37(.53) 2.44(.56) 목표지향성 2.52(.50) 2.56(.52) 2.62(.49) 2.48(.53) 2.54(.50) 2.54(.51) 자기존재의

독특성 2.69(.51) 2.63(.52) 2.69(.56) 2.64(.50) 2.66(.49) 2.66(.52) 대인관계

역할인지 2.86(.58) 2.98(.52) 2.99(.57) 2.85(.59) 2.91(.51) 2.91(.56) 자기수용 2.60(.56) 2.54(.56) 2.63(.55) 2.45(.60) 2.64(.51) 2.57(.56) 자기주장 2.76(.58) 2.74(.56) 2.76(.56) 2.73(.64) 2.77(.57) 2.75(.59) 허구척도 2.63(.49) 2.51(.50) 2.59(.51) 2.59(.49) 2.54(.50) 2.58(.50) 전 체 2.65(.54) 2.62(.53) 2.69(.54) 2.59(.56) 2.63(.52) 2.64(.54)

자아정체감 검사결과 중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은 표13에서와 같이 전체 평 균 2.64로 중간정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자아정체감 수준이 대체로 긍정 적임을 알 수 있다. 각 영역별로는 대인관계 역할인지영역(2.9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정성영역(2.4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성별 집단에서 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목표지향성(남학생 2.52, 여학생 2.56)과 대인관계 역할인지영역(남학생 2.86, 여학생 2.98)을 제외한 안정성(남학생 2.46, 여학 생 2.41), 자기존재의 독특성(남학생 2.69, 여학생 2.63), 자기수용(남학생 2.60, 여학생 2.54), 자기주장(남학생 2.76, 여학생 2.74), 허구척도(남학생

2.63, 여학생 2.51)의 5개 영역에서 높게 나와 전체적으로 남학생(2.65)이 여학생(2.62)보다 자아정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집단에서는 1학년(2.69)의 자아정체감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3학년(2.63), 2학년(2.59)의 순으로 나타났다.

2. 학업스트레스 정도의 성별, 학년별 차이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성적의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를 검증한 결과 표14와 같이 나타났다.

표14 성적에 대한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

( )안은 표준편차

평 균 차이검증 유의도

성 별 남 자 2.95(.85)

t=-.51 .61 여 자 2.99(.96)

학년별

1학년 2.89(.91)

F= .90 .41 2학년 2.98(.94)

3학년 3.04(.84)

전체 2.97(.90)

성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14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균이 2.97로 5간 척도의 평균 3보다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를 별로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 학년별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시험에 대한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15와 같다.

수업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16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균이 2.78로 스트 레스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 집단에서 1학년 평균이 2.62, 2학년 평균이 2.84, 3학년 평균이 2.87로 나타났는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인지 변량분석한 결과 F값이 3.92로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의미 있는 차이가 어느 학년 간에 나타나는가 를 알아보기 위하여 Turkey의 사후검증을 한 결과 표17과 같이 나타났다.

표17 수업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Turkey 사후검증의 유의도 수준

( )안은 평균

1학년 2학년 3학년

(2.62) (2.84) (2.87)

1학년 - .06 .03

2학년 - - .94

* P<.05

수업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1학년과 3학년은 유의도 .03 으로 유의도 .05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1학년과 2학년, 2학 년과 3학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3학년이 수업영역에서 1학년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부에 대한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18과 같다.

공부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1학년과 2학년은 유의도 .01

표21 진로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Turkey 사후검증의 유의도 수준

균이 2.44, 2학년 평균이 2.59, 3학년 평균이 2.78로 나타났는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인지 변량분석한 결과 F값이 3.79로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의미 있는 차이가 어느 학년 간에 나타 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urkey의 사후검증을 한 결과 표23과 같이 나 타났다.

표23 교사관계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Turkey 사후검증의 유의도 수준 ( )안은 평균

1학년 2학년 3학년

(2.44) (2.59) (2.78)

1학년 - .42 .02

2학년 - - .29

교사관계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1학년과 3학년은 유의도 .02로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1학년과 2학년, 2학 년과 3학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3학년이 1학년보다 교사관계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족관계에 대한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24와 같다.

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 학년별 집단 모

표27 학교환경의 학년별 평균에 대한 Turkey 사후검증의 유의도 수준

주위환경에 대한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의 결과는 표29와 같다.

표29 주위환경에 대한 성별, 학년별 평균과 차이검증

( )안은 표준편차

평 균 차이검증 유의도

성 별 남 자 2.42(.88)

t=-.52 .61 여 자 2.47(.94)

학년별

1학년 2.34(.93)

F=1.37 .26 2학년 2.53(.96)

3학년 2.46(.81)

전체 2.45(.91)

주위환경에 대한 조사에서는 표29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균이 2.45로 스트레스를 별로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 학년별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에 제시한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별 평균은 표30과 같다.

표30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별 평균

( )안은 표준편차

구 분 성 별 학 년 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전체

성 적 2.95(.85) 2.99(.96) 2.89(.91) 2.98(.94) 3.04(.84) 2.97(.90) 시 험 3.11(.82) 3.24(.93) 3.04(.91) 3.25(.90) 3.22(.81) 3.17(.88) 수 업 2.71(.74) 2.86(.83) 2.62(.80) 2.84(.80) 2.87(.73) 2.78(.79) 공 부 2.89(.79) 3.04(.89) 2.76(.84) 3.09(.83) 3.02(.82) 2.96(.84) 진 로 2.37(.85) 2.49(.88) 2.18(.88) 2.56(.94) 2.51(.72) 2.42(.87) 교사관계 2.52(.93) 2.71(.03) 2.44(.96) 2.59(1.04) 2.78(.91) 2.61(.98) 가족관계 2.66(.90) 2.55(.91) 2.54(.99) 2.69(.93) 2.60(.91) 2.61(.94) 친구관계 2.24(.80) 2.28(.87) 2.26(.85) 2.30(.82) 2.23(.83) 2.26(.83) 학교환경 2.68(.98) 3.05(.86) 2.66(1.02) 2.95(.92) 2.92(.87) 2.85(.94) 가정환경 2.00(.93) 2.09(1.02) 1.99(1.00) 2.10(1.02) 2.02(.90) 2.04(.97) 주위환경 2.42(.88) 2.47(.94) 2.34(.93) 2.53(.96) 2.46(.81) 2.45(.91) 전 체 2.86(.86) 2.98(.83) 2.77(.92) 2.99(.92) 2.97(.83) 2.91(.87)

학업스트레스 검사결과 표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정도가 전체평균

3. 자아정체감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목표지향성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표32와 같이 나타났다.

유의도 .01 수준에서, 친구관계영역에서는 유의도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자기수용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표35와 같이 나타났다.

든 영역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주위환경영역(-.16)과의 관 계에서 가장 큰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허구척도와 학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표37과 같이 나타났다.

표37 허구척도와 학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성적 시험 수업 공부 진로 교사

관계 가족 관계

친구 관계

학교 환경

가정 환경

주위 환경 허구척도 .06 .06 .06 .04 .03 .06 .09 .08 -.03 .06 .09

허구척도와 학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표37에서와 같이 전체 학업스 트레스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에 제시한 자아정체감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종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