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한 식품선택 관련 문헌

식품사슬분석네트워크 대응

2. 최근 FCAN 논의의 정책 시사점

2.1.2. 건강한 식품선택 관련 문헌

○ 기존 관련 문헌은 크게 가. 건강한 식습관이나 건강한 식생활의 개념을 제시 하고 정의를 내리고자 시도한 연구, 나. 인구통계 변수를 포함하여 어떤 요 인들이 건강한 식품선택 및 식습관(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 한 연구, 다. HACCP, GAP, 표시제도 등 식품표시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구 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라. 마지막으로 넛지(nudge)효과를 이용하 여 소비자들의 식품구매행태를 보다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유도 할 수 있는가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로 구분할 수 있다.

가. 건강한 식생활 개념 정의

○ 먼저, 건강한 식습관이나 건강한 식생활의 개념을 제시하고 정의를 내리고자 시도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 건강한 식습관과 관련되어 Kearney et al.(2001)과 Sun(2008)은 건강한 식생 활 태도 개념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 식사시간에 먹는 데 집중하기, 늦은 시간에 먹지 않기, 제 철 채소 먹기, 저지방 식품 먹기,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풀지 않기, 제때 식 사하기, 짜거나 자극적인 음식 먹지 않기 등이 포함된다.

○ 또한 Falk et al.(2001)과 Margetts et al.(1997)은 건강한 식생활을 낮은 지방 (low fat), 자연 또는 가공되지 않은 식품(natural or unprocessed foods), 균형 (balance), 질병 예방(disease prevention), 영양적인 균형(nutrient balance), 질 병관리(disease management), 체중 조절(weight control) 등과 같은 7개의 변 수로 설명하였다.

○ Johansson et al.(1999)은 건강한 식습관에 있어서 풍부한 과일, 채소, 섬유질 과 적은 지방 섭취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건강한 식 이 요법을 유지하는 것에 높은 관심을 보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 해 많은 과일, 채소, 섬유질을 섭취하며 상대적으로 지방을 적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연구 중 이은주 외(1996)에 따르면, 건강유지를 위해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식습관과 운동을 제시하였다. 이들의 연구 결 과를 보면, 응답자들의 80%가 식습관과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나. 건강한 식품선택 영향요인 분석

○ 다음으로 인구통계 변수를 포함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건강한 식품선택 및 식습관(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 연도순으로 볼 때, 가장 먼저 Dittus et al.(1995)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이 들은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건강한 식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과일과 채소 섭취에 대한 장벽이 높은 것으 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Margetts et al.(1997)은 교육수준이 건강한 식이 요법에 대한 인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제시하고 있다.

○ 또한 Johansson et al.(1999)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13년 이상 교육을 받았 는지), 직업이 화이트컬러일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도시에 사는 사람이 과 일, 채소, 무기질을 더 많이 먹으며, 지방 섭취가 낮은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후 Turrell and Kavanagh(2005)은 교육수준이 낮은 소비자나 저소득층에 서 풍부한 섬유질과 지방, 소금, 설탕이 적은 식품 구매 혹은 선택확률이 상 대적으로 낮음을 제시하고 있다.

○ 인구통계 변수 이외의 요인들을 분석한 연구들 중, Sun(2008)은 건강과 질병 에 대한 염려는 건강한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나정기(2016)는 식품에 대한 건강염려 요인 중 성분에 대한 염려는 건강한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질병에 대한 염려는 건강한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제시하였다. 같은 맥락의 연구로, Michaelidou and Hassan(2007)은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을수록 유기농식품 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 이 밖에도 Drewnowski and Specter(2004)는 빈곤과 식량의 불안정성은 식량 지출을 감소시키고, 과일 및 채소 섭취를 낮게 만들고, 전체적으로 식단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전체적으로 볼 때, 선행연구들은 교육수준, 소득수준, 성별, 직업, 건강 염려 혹은 건강에 대한 태도가 건강한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함 을 알 수 있다.

다. 식품표시에 대한 지식/태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 다음으로 HACCP, GAP, 라벨 등 식품표시의 지식과 태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다.

○ 원향례‧윤혜령(2011)은 가공식품 영양지식이 많은 소비자의 경우 그렇지 않 은 소비자에 비해 라벨 등 식품표시를 많이 확인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가 공식품 선택 기준에 있어 영양 지식이 높은 집단은 식품의 신뢰성을 중요시 하고, 그렇지 않은 집단은 TV 광고에 도입된 제품을 중요하다고 간주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이정원‧김동순(2003)은 부모의 교육수준과 식품표시 지식수준이 청소년의 식품표시 확인과 정적 상관을 보인다고 밝히고 있다.

○ 전상민(2017)에 따르면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식품위해불안 이 높을수록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수준이 높던 낮던 식품위해 불안이 높을수록 안전표시식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라. 넛지를 통한 식품선택 유도

○ 마지막으로 넛지(nudge)효과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의 식품구매행태를 보다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 을 들 수 있다.

○ Thapa et al.(2104)은 작은 소도시를 선정한 후 비만과 관련된 각종 교육프로 그램과 식품 표시 등을 통한 소비자들에 대한 넛지가 효과가 있는지를 슈퍼 마켓 구매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 Payne et al.(2015)은 영양에 대한 기준을 설명한 플래카드(placard)를 슈퍼마 켓 카트에 붙인 후 나타나는 소비자들의 구매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들의 연 구결과는 통계적으로 플래카드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간 유의한 구매패 턴 변화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예산을 변화시키지 않고 또한 식품소매점의 이익을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영양 기준에 대한 메시지 를 전달하는 정책의 유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 Wansink et al.(2017)은 식품 구매에 있어서 미리 가정에서 어느 정도 살 것 인가를 확실하게 정하지 않는다면 많은 경우 구매 현장에서 판단이 이루어 진다는 가설에 따라, 슈퍼마켓 카트의 파티션(partition) 크기에 따라 각 식품 유형의 구매량이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 실험하였다. 결과를 보면, 소비자들 은 파티션을 크게 할수록 해당 식품유형의 구매량이 늘리는 것을 자연스럽 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판매자들에게는 보다 이윤이 많은 식품유형의 파티션을 크게 만드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전달해주며, 정책입 안자에게는 보다 건강한 식품유형의 구매량을 늘리도록 유도하는 정책에 활 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마지막으로 최근 Crosetto et al.(2018)은 실험실 구조로 만든 구매상황 실험 을 통해 제품 표시 제시 방법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 품목과 비용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연구들처럼 직접적으로 실험을 통해 소비자 들의 식품 구매 행동 변화를 관찰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만 강준만(2916)은 넛지 커뮤니케이션의 방법론적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이

를 바탕으로 공익적 설득을 위한 넛지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김 민주 외(2016)는 상주시 광골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마을자치 사업에서 농촌 현장포럼의 넛지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박현주(2017)는 쓰레기 불법투기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류하고, 쓰레기 불법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넛지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제시하였다.